오늘은 강화도 투어입니다.
당산역 - 전등사 - 고려궁지 - 외규장각 -정족사고 - 강화풍물시장 - 광성보입니다.
전등사는 강화에서 가장 큰 절이다. 삼랑성 안에 창건되어 강화의 역사를 더불어 열어 왔다.
전등사의 창건설은 멀리 고구려 시대로 올라간다.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 아도화상이 신라의 일선군(一善郡, 지금의 경북 선산)에 불교를 전파하기 전, 이곳 강화 전등사의 개산조가 되었다는 유서 깊은 설이 있다. 지금 전등사에 고려 중기 이전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지만, 이곳은 백제 땅, 아도화상은 태백산 줄기를 타지 않고 평양에서 이곳 백제로 곧장 내려와 신라로 들어갔을 가능성이 더 많다. 현재 전등사로 들어가는 문은 둘이다.
전등사 정문인 삼랑성문이 동문이고 남문이 외돌아 있다. 삼랑성문을 들어서면 오른쪽에 병인양요에서 승리한 양헌수 장군의 승전비가 서 있다.
아래로 한참을 걸으면 대조루에 닿는다. 대조루를 비껴서면 대웅보전이 있는데, 이 건물의 특징은 창방뿌리에 연꽃을, 공포 위 보머리에 도깨비를, 그리고 추녀 밑에는 나체의 여인상을 조각해놓았다는 점이다.
전형적인 산지 가람배치를 따르고 있는 전등사는 보물 제178호인 대웅전이 정남을 향하고 있다. 그 왼쪽 옆으로는 대웅전과 같은 형식으로 지은 약사전이 있어 마치 두 채의 대웅전을 보는 느낌이다.
1880년에 조성한 대웅전의 후불탱화, 1544년 정수사에서 개판한 법화경 목판 104매, 중국 북송 때 주조한 범종, 고려시대 유물로 보이는 청동물동이, 대웅전에 불을 밝혔던 옥등이 유물로 남아 있다.
숙종 4년(1678), 조정에서 실록을 보관하기 시작해 사고(史庫) 역할을 하면서 전등사는 조선왕조와 더욱 깊은 연관을 맺게 된다. 1707년 강화유수 황흠은 사각(史閣)을 고쳐 짓고 별관을 지어 취향당이라 이름했으며, 이곳을 왕조실록과 왕실의 문서를 보관하는 곳인 보사권봉소(譜史權奉所)로 정한다.
전등사 입구
전등사 올라가는 길 옆에 피어 있는 벚꽃
강화 삼랑성 동문
동문에서 전등사 올라가는 입구
병인양요 양헌수 장군 전승비
전등사
전등사
전등사 대웅보전
전등사 대웅보전 추녀밑 연인상
전등사 장독대
전등사 대웅보전 부처님
강화 정족사고 입구
강화 정족산 사고지
전등사
전등사 경내
삼랑성문의 남문인 종해루
삼랑성
강화풍물시장
풍물시장내 봄꽃
강화유수부 동헌 명휘헌
외규장각
1782년 2월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도서관으로,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奎章閣)의 부속 도서관 역할을 하였다. 설치 이후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儀軌)를 비롯해 총 1,000여 권의 서적을 보관하였으나,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습격하면서 왕실의 주요행사를 기록한 의궤 191종(유일본 30종 포함) 297책을 포함한 도서 359점을 약탈했다. 나머지는 불에 타 없어졌다.
1975년 프랑스국립도서관의 촉탁 직원으로 일하던 박병선 박사가 도서관에 조선시대의 도서가 보관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목록을 정리하여 그 존재가 알려졌다. 서울대학교는 1991년에 정부에 도서 191종 279권의 반환 추진을 요청하였고 1992년에 정부는 외규장각 도서목록을 프랑스에 전하여 도서 반환을 요청했다.
그러나 반환 협상이 연기되거나 프랑스 측에서 계속 협상을 지연시키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역사·학술·시민 단체의 외규장각 도서 반환운동이 확산되는 등 여전히 미해결의 과제로 남아 있다가, 2010년 11월 12일 G20정상회의에서 양국의 대통령 간에 외규장각 도서를 5년마다 계약을 갱신하는 임대형식으로 대여하기로 합의하였고, 2011년 6월 11일 145년 만에 우리나라로 돌아왔다.
외규장각
외규장내 내 병인양요 관련 자료
현재 외규장각내 조선왕조실록은 없습니다.
광성보
조선 광해군 10년(1618년)에 고려시대의 외성을 보수하고, 1656년 광성보를 설치했는데, 이 보의 돈대는 1679년에 축조된 것이며 오두, 화도, 광성의 돈대와 오두정 포대가 이 보에 소속되었다. 1745년 완전한 석성으로 개축되어 당시 성문도 설치되었다.
광성보는 신미양요 당시 가장 격렬했던 격전지로서, 1871년 4월 24일 미국의 로저스가 통상을 요구하면서 함대를 이끌고 1,230명의 병력으로 침공하였을 때, 상륙부대가 초지진, 덕진진을 점령한 후 광성보에 이르러 백병전을 전개하였다. 당시 조선군 지휘관 어재연 장군 이하 전 용사가 열세한 무기로 용감하게 싸웠는데, 포탄이 떨어지면 칼과 창으로 싸우고 칼과 창이 부러지면 돌과 맨주먹으로 싸워 한 사람도 물러서지 않고 장렬히 순국하였다고 한다.
이 전투 후 성책과 문루가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던 것을 1977년 안해루, 광성돈, 손돌목돈, 용두돈과 전사한 무명용사들의 묘, 그리고 어재연 장군의 쌍충비각 등이 모두 보수 정화되었으며, 이 때 세운 "강화 전적지 정화기념비"가 용두돈대 위에 서 있다.
광성보는 현재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매년 음력 4월 24일에는 어재연 장군을 비롯하여 장렬하게 전사한 무명용사들에 대한 광성제가 봉행된다. 이 광성보는 당시에 사용한 대포와 포대, 성이 잘 남아 있어 답사 오기에 좋으며, 바다를 내려다보는 전망과 돈대의 곡선 모양이 인상적이다.
안해루
신미양요 순국 무명 용사비
어재영장군 어재순장군 형제의 쌍충비각
신미양요 때 순국하신 신미순의총
신미양요때 광성보 일대에서 미해군과 격전하다가 전사한 51인의 용사들은 신원을 분별할 수가 없어 7기의 분묘에 나누어 합장하여 그 순절을 기리고 있다.
손돌목 돈대
용두돈대
강화 전적지 정화기념비
용두돈대 수자기 조형물
강화도는 제주도보다 가까운 곳인데, 실제로는 제주도는 자주 관광으로 방문을 하지만, 강화도는 수도권에 가까운 곳에 위치함에도 방문하기 쉽지 않은 곳이다.
전등사와 외규장각 그리고 광성보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 방문하는 강화도는 그냥 평범한 관광지에 불과하지만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통과하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조그만한 고찰만 있으면 그 당시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한 조상님들의 처절함 절로 고개 숙여지는 곳이다.
이런 훌륭한 조상님의 덕분에 현재의 우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병인양요, 신미양요 때 프랑스와, 미국을 상대로 용감히 싸운 조상님께 감사드립니다.
첫댓글 2016년,2019년 안양문교과 MT를 다녀온 강화도.
임재호님 덕분에 잊혀졌던 추억이 되살아 났네요....
다시 재학생으로 가고 싶네요....
권이혁 선배님
잊혀져던 추억이 되살아 났다니, 기쁜 마음 입니다.
선배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