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조선시대때 빨간관복은 누가, 파란관복은 누가 입었나요?
A :
성종(成宗) 때 완성된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보면 공복(公服)에있어
일품(一品), 이품(二品), 삼품(三品)까지 당상관 이상은 붉은 옷,
삼품종(三品從)에서 사, 오, 육품까지 당하관 이하는 푸른 옷,
칠, 팔, 구품은 초록빛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때 복색뿐만 아니라 관복의 띠에 사용되는 색도 제한했으며
장병(將兵)의 복색도 계급에 따른 제한이 있었다.
임금은 홍포라고 해서 붉은색의 옷을 입었습니다.
참고로 옛날 결혼식에서 벼슬을 못한 양반이나 천한 상인(놈)들이 청색 관복을 입고 신부는 원삼 족두리를 쓰도록 했는데,
벼슬이 없는 사람이 관복을 입거나 원삼 족두리를 하면 관을 사칭했다고 처벌을 받았으나 단, 결혼식에서만은 이를 허용하였다고 합니다.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 질문 답변 칼럼
[네이버]
조선시대때 빨간관복은 누가, 파란관복은 누가 입었나요?
宮闕守門將
추천 0
조회 2,161
03.10.17 00:28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