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海印의 뜨락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영어불서읽기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7월 3일 후기/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9)
호암산 추천 0 조회 52 15.05.16 07:16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7월 3일 후기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9)

 

서울경기강원지역방 2977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2977

의 후속타입니다.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7월 3일 후기.hwp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아홉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반야화 법우, 환희장엄 법우, 저 관문 이렇게 3명이 참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e Dalai Lama and Howard C. Cutler, The Art of Happiness> Part II Human Warmth and Compassion: CHAPTER 6 Deepening Our Connection to Others 전반부를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85페이지 처음부터 93페이지 밑에서 6째 줄까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읽는 동안의 후기는 영어와 저희가 시도해 본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번역본으로 <달라이 라마 & 하워드 커틀러/류시화 옮김,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김영사> 를 가끔씩 참고하겠습니다.

 

Part II Human Warmth and Compassion

제2부 인간적인 따스함과 자비

 

CHAPTER 6 Deepening Our Connection to Others

제6장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깊게 하기

 

One afternoon following his public lecture, I arrived at the Dalai Lama’s hotel suite for my daily appointment. I was a few minutes early. An attendant discreetly glided into the hallway, to relate that His Holiness was occupied in a private audience and would be several more minutes. I assumed my familiar post outside his hotel suite door and used the time to review my notes in preparation for our session, trying at the same time to avoid the suspicious gaze of a security guard -- the same look perfected by convenience store clerks for use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oitering around the magazine racks.

어느 날 오후 존자님의 대중 강연이 끝난 후, 나는 우리가 매일 만나기로 한 시간에 맞춰 호텔에 도착했다. 내가 약속 시간보다 약간 일찍 도착하자, 방 안에 있던 수행원이 조심스럽게 복도로 살그머니 걸어 나와 존자님이 지금 방문객을 맞고 있어서 조금 시간이 걸릴 거라고 말했다. 그때 내가 종종 앉아 있던 복도 근처의 한 장소가 생각났고, 나는 그곳에서 우리의 만남을 위해 준비한 메모를 검토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그것은 또한 경호원들의 의심스러운 눈길을 피하는 방법이기도 했다. 존자님의 보안 요원은 잡지가 놓인 선반을 어슬렁거리는 중학생을 주시하는 편의점 점원처럼 나를 쳐다보곤 했던 것이다.

 

Within a few moments, the door opened and a well-dressed middle-aged couple were shown out. They looked familiar. I remembered that I had been briefly introduced to them several days earlier. I had been told that the wife was a well-known heiress and the husband an extremely wealthy high-powered Manhattan attorney. At the time of introduction we had only exchanged a few words, but they had both struck me as unbelievably haughty.

잠시 후에 문이 열리면서 옷을 잘 차려입은 중년 부부가 모습을 드러냈다. 낯익은 얼굴이었다. 나는 며칠 전 누군가의 소개로 그들과 잠깐 인사를 나눈 일이 생각났다. 부인은 굉장한 유산을 상속받은 여자였고, 남편은 엄청난 부자에다 힘 있는 맨하탄의 변호사라는 것을 들어 알고 있었다. 우리는 서로를 소개하며 겨우 몇 마디 인사말 정도만 나누었지만, 그들은 둘 다 나에게 믿을 수 없을 만큼 거만한 인상을 주었었다.

 

As they emerged from the Dalai Lama’s hotel suite I noted a startling change. Gone was the arrogant manner and smug expression, and in their place were two faces suffused with tenderness and emotion. They were like two children. Streams of tears ran down both faces. Although the Dalai Lama’s effect on others was not always so dramatic, I noticed that invariably others responded to him with some shift of emotion. I had long marveled at his ability to bond with others, whatever their walk of life, and establish a deep and meaningful emotional exchange.

그들이 존자님의 호텔 방에서 나오는 순간, 나는 놀라운 변화를 알아차렸다. 거만하고 잘난 체하는 표정은 사라지고 그 대신에 두 사람의 얼굴에는 부드럽고 다정한 느낌이 가득했다. 그들은 마치 두 명의 아이처럼 보였다. 그들의 얼굴에선 눈물이 하염없이 흘러내리고 있었다. 존자님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이 언제나 극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른 사람들이 존자님을 대하고 나면 언제나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는 반응을 나타낸다는 걸 난 알고 있었다. 나는 존자님이 어떤 계층의 사람과도 유대감을 형성하고, 깊고 의미 있는 감정의 교환을 확실하게 하는 능력에 언제나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Establishing Empathy

감정 이입 하기

 

While we had spoken of the importance of human warmth and compassion during our conversations in Arizona, it wasn’t until some months later at his home in Dharamsala that I had an opportunity to explore human relationships with him in greater detail. By that time I was very eager to see if we could discover an underlying set of principles that he uses in his interactions with others -- principles that might be applied to improve any relationship, whether it be with strangers, family, friends, or lovers. Anxious to begin, I jumped right in:

아리조나에서 했던 우리의 대화 동안 존자님과 나는 인간의 따뜻한 마음과 자비심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했었지만 인간관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탐구할 기회는 몇 달 뒤 존자님의 집이 있는 다람살라에서 가질 수 있었다. 그 당시 나는 존자님이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경우 염두에 두는 기본 원칙이 무엇인지 몹시 알고 싶었다. 낯선 사람, 가족, 친구 또는 연인과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원칙을 알고 싶었던 것이다. 빨리 이야기를 시작하고 싶은 마음에 나는 곧바로 질문을 던졌다.

 

“Now, on the topic of human relationships . . . what would you say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or technique of connecting with others in a meaningful way and of reducing conflicts with others?”

“인간관계라는 주제에 있어서 . . . 갈등을 줄이고 다른 사람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나 기술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He glared at me for a moment. It wasn’t an unkindly glare, but it made me feel as if I had just asked him to give me the precise chemical composition of moon dust.

존자님은 잠시 쏘아보았다. 불친절한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진 않았지만, 존자님은 마치 달에서 가져온 먼지의 정확한 화학적 성분을 알려달라는 부탁을 받은 것 같은 표정을 지었다.

 

After a brief pause, he responded, “Well, dealing with others is a very complex issue. There is no way that you can come up with one formula that could solve all problems. It’s a bit like cooking. If you are cooking a very delicious meal, a special meal, then there are various stages in the cooking. You may have to first boil the vegetables separately and then you have to fry them and then you combine them in a special way, mixing in spices and so on. And finally, the end result would be this delicious product. Similarly here, in order to be skillful in dealing with others, you need many factors. You can’t just say, ‘This is the method’ or ‘This is the technique.’ ”

잠시 후 존자님은 말했다. “글쎄요, 사람들을 대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문제입니다.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한 가지 공식을 찾아낼 순 없지요. 이 문제를 푸는 방법은 요리를 하는 것과 다소 비슷합니다. 맛있고 특별한 음식을 요리하려면 당신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할 것입니다. 먼저 야채를 따로 삶고, 다시 그것을 볶고, 그 다음엔 특별한 방법으로 야채들을 섞고, 양념 등을 가미해야 하겠지요. 그러면 마침내 맛있는 음식을 얻게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사람을 대하는 것에 능숙하려면 여러 요소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이것이 그 방법이다.’ 또는 ‘이것이 그 기술이다.’라고 말할 순 없겠지요.”

 

It wasn’t exactly the answer I was looking for. I thought he was being evasive and felt that surely he must have something more concrete to offer. I pressed on: “Well, given that there is no single solution to improving our relationships, are there perhaps some more general guidelines that might be useful?”

그것은 내가 바라던 정확한 대답이 아니었다. 나는 존자님이 대답을 회피하고 있으며, 틀림없이 좀 더 구체적인 방법을 알고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계속 밀어붙였다.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 유일한 방법이 없다 해도 도움이 될 만한 일반적인 지침은 있지 않을까요?”

 

The Dalai Lama thought for a moment before replying, “Yes. Earlier we spoke of the importance of approaching others with the thought of compassion in one’s mind. That is crucial. Of course, just telling someone, ‘Oh, it’s very important to be compassionate; you must have more love‘ isn’t enough. A simple prescription like that alone isn’t going to work. But one effective means of teaching someone how to be more warm and compassionate is to begin by using reasoning to educate the individual about the value and practical benefits of compassion. And also having them reflect on how they feel when someone is kind to them and so on. In a sense this primes them, so there will be more of an effect as they proceed in their efforts to be more compassionate.

존자님은 잠시 생각하더니 이렇게 말했다. “네, 있지요. 우리는 앞에서 자비심을 갖고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정말로 그런 자세가 중요합니다. 물론 누군가에게 ‘자비심을 갖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그러므로 당신은 더 많은 사랑을 간직해야 한다. ’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단순한 명령이 효과를 가져 오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더욱 따뜻하고 자비로운 마음을 갖도록 가르쳐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은 자비심의 가치와 실제적인 혜택에 대해 설명하고, 아울러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친절을 베풀었을 때 어떤 느낌을 받았는지 생각해보라고 가르치는 일입니다.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사람들에게 자비심에 대한 기초 지식을 주는 일입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더 많은 자비심을 가지려고 꾸준히 노력할 테고, 효과도 더욱 커질 것입니다.

 

“Now in looking at the various means of developing compassion, I think that empathy is an important factor. The ability to appreciate another’s suffering. In fact, traditionally, one of the Buddhist techniques for enhancing compassion involves imagining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sentient being suffering -- for instance, like a sheep about to be slaughtered by the butcher. And then try to imagine the suffering that the sheep may be going through and so on . . .” The Dalai Lama stopped for a moment to reflect, absently running a string of prayer beads through his fingers.

“자비심을 키우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할 때, 감정 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감정 이입은 다른 사람의 고통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사실, 전통적으로 자비심을 높이는 불교의 수행법 중에는 생명을 가진 존재가 고통 받는 상황을 상상하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푸줏간 주인이 막 도살하려고 하는 양을 상상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양이 겪게 될 고통에 대해 상상하려고 노력하면서 . . .” 존자님은 잠시 말을 멈추고 생각에 잠기더니, 무심코 손으로 염주의 끈을 돌렸다.

 

He commented, “It occurs to me that if we were dealing with someone who was very cold and indifferent, then this kind of technique may not be very effective. It would be as if you were to ask the butcher to do this visualization: the butcher is so hardened, so used to the whole thing, that it wouldn’t have any impact. So, for example,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explain and utilize that technique for some Westerners who are accustomed to hunting and fishing for fun, as a form of recreation . . .”

존자님이 말했다. “우리가 냉정하고 무관심한 어떤 사람을 대하고 있다면, 그 사람에겐 이런 방법이 큰 효과가 없을지도 모르겠군요. 그것은 푸줏간 주인에게 양의 고통을 상상하라고 요구하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동정을 느끼기에는 푸줏간 주인의 마음은 너무 굳어있고, 또 그는 그런 일에 너무 익숙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그 방법은 아무 효과도 없을 것입니다. 또한 사냥이나 낚시질을 하면서 여가를 즐기는 것에 익숙한 서양인들에겐 그런 방법을 설명하고 활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 .”

 

“In that case,” I suggested, “it might not be an effective technique to ask a hunter to imagine the suffering of his prey, but you might be able to awaken feelings of compassion by beginning with having him visualize his favorite hunting dog caught in a trap and squealing with pain . . .”

내가 말했다. “그런 경우에 사냥꾼에게 자신이 잡은 동물의 고통을 상상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겠지요. 하지만 그가 아끼는 사냥개가 덫에 걸려 비명을 지르는 모습을 상상하게 해서 자비심을 일깨울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Yes, exactly . . .” agreed the Dalai Lama. “I think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ne might modify that technique. For instance, the person may not have a strong feeling of empathy towards animals but at least may have some empathy towards a close family member or friend. In that case the person could visualize a situation where the beloved person is suffering or going through a tragic situation and then imagine how he or she would respond to that, react to that. So one can attempt to increase compassion by trying to empathize with another’s feeling or experience.

존자님이 내 말에 동의하며 말했다. “맞습니다. 분명히 그럴 겁니다. 우리는 상황에 따라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동물의 고통을 느낄 수 없는 사람이라도 최소한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의 고통은 어느 정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경우에 그 사람은 사랑하는 연인이 고통을 겪거나 비극적인 일을 당하는 상황을 마음에 그리며, 연인이 그 일에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 상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는 다른 사람의 느낌이나 경험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려고 하는 노력을 통해 자비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

 

“I think that empathy is important not only as a means of enhancing compassion, but I think that generally speaking, when dealing with others on any level, if you’re having some difficulties, it’s extremely helpful to be able to try to put yourself in the other person’s place and see how you would react to the situation. Even if you have no common experience with the other person or have a very different lifestyle, you can try to do this through imagination. You may need to be slightly creative. This technique involves the capacity to temporarily suspend insisting on your own viewpoint but rather to look from the other person’s perspective, to imagine what would be the situation if you were in his shoes, how you would deal with this. This helps you develop an awareness and respect for another’s feelings,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conflicts and problems with other people.”

“감정 이입은 자비심을 키우는 방법일 뿐 아니라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개 어느 경우든 사람을 대할 때면 어려움에 부딪칠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자신을 그 사람의 입장에 놓고 생각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당신과 그 사람이 공통된 경험을 갖고 있지 않거나 생활 방식이 판이하게 다르더라도, 당신은 상상력을 발휘해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신은 다소 창조적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기술을 발휘하려면 자기 생각을 내세우는 일을 잠시 중단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상대방 입장에 서서 그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자신이라면 그 일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상상하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이 방법은 다른 사람의 느낌을 깨닫고 존중하는 마음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그런 마음은 갈등을 줄여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Our interview that afternoon was brief. I had been fitted into the Dalai Lama’s busy schedule at the last minute, and like several of our conversations, it occurred late in the day. Outside, the sun was beginning to set, filling the room with a bittersweet dusky light, turning the pale yellow walls a deep amber, and illuminating the Buddhist icons in the room with rich golden hues. The Dalai Lama’s attendant silently entered the room, signaling the end of our session. Wrapping up the discussion, I asked, “I know that we have to close, but do you have any other words of advice or methods that you use to help establish empathy with others?”

그날 오후의 인터뷰는 간단히 끝났다. 존자님의 바쁜 일정의 맨 마지막에 우리 약속이 잡혀 있어서, 전에도 몇 번 그랬듯이 그날도 오후 늦게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대화를 나누는 사이에 해가 뉘엿뉘엿 지기 시작하면서, 방안은 어슴푸레한 붉은 빛으로 가득 찼다. 햇살은 엷은 노란색 벽을 황토색으로 바꾸고, 방안의 불상들을 황금색으로 찬란히 빛나게 만들었다. 존자님의 수행원이 조용히 방으로 들어와 대화를 끝낼 때가 되었음을 알려주었다. 이야기를 마무리하는 의미에서 내가 물었다. “이제 대화를 끝낼 시간이 되었군요. 끝으로 감정 이입을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충고나 방법에 대한 말씀을 한 마디 해주시겠습니까?”

 

Echoing the words he had spoken in Arizona many months before, with a gentle simplicity he answered, “Whenever I meet people I always approach them from the standpoint of the most basic things we have in common. We each have a physical structure, a mind, emotions. We are all born in the same way, and we all die. All of us want happiness and do not want to suffer.

몇 달 전 아리조나에서 했던 말을 되풀이하듯이 존자님은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게 대답했다. “나는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것들을 생각합니다. 우리들 각자는 몸과 마음과 감정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똑같은 방법으로 태어났고, 모든 사람들은 예외 없이 죽습니다. 우리 모두는 행복을 원하며 고통을 원하지 않습니다.

 

“Looking at others from this standpoint rather than emphasizing secondary differences such as the fact that I am Tibetan, or a different color, religion, or cultural background, allows me to have a feeling that I’m meeting someone just the same as me. I find that relating to others on that level makes it much easier to exchange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With that, he rose, smiled, clasped my hand briefly and retired for the evening.

“나는 내가 티벳인이고, 남들과 피부색과 종교와 문화적 배경이 다르다는 2차적인 차이점을 강조하기보다는 공통점이 훨씬 많다는 생각을 갖고 다른 사람들을 바라봅니다. 그러면 나와 똑같은 사람을 만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됩니다. 이런 차원에서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면 서로 대화를 나누기가 훨씬 쉽지요.” 이 말과 함께 존자님은 자리에서 일어나, 나와 간단히 악수를 나눈 뒤 잠자리로 향했다.

 

The following morning, we continued our discussion at the Dalai Lama’s home.

“In Arizona we spoke a great deal about the importance of compassion in human relationships, and yesterday we discussed the role of empathy in improving our ability to relate to one another . . .”

“Yes,” the Dalai Lama nodded.

“Besides that, can you suggest any additional specific methods or techniques to help one deal more effectively with other people?”

다음 날 아침, 존자님의 집에서 우리는 계속 대화를 나누었다. 내가 말했다. “아리조나에서 우리는 인간관계에서 자비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고, 어제는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데 감정 이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이야기했습니다 . . .”

존자님이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그렇습니다.”

“그것 말고 다른 사람들을 좀 더 효과적으로 대하도록 도울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나 기술을 제시해주시겠습니까?”

 

“Well, as I mentioned yesterday, there is no way that you can come up with one or two simple techniques that can solve all problems. Having said that, however, I think there are some other factors that can help one deal with others more skillfully. First, it is helpful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background of the people you are dealing with. Also, being more open-minded and honest are useful qualities when it comes to dealing with others.”

“글쎄요, 어제 말씀드렸다시피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한두 가지 간단한 기술을 찾아낼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다른 요소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당신이 대하는 사람들의 배경을 이해하고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다른 사람들을 대할 때 좀 더 마음을 열고 정직한 자세를 갖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I waited, but he didn’t say anything more.

“Can you suggest any other methods of improving our relationships?”

The Dalai Lama thought for a moment. “No,” he laughed.

I felt that these particular bits of advice were too simplistic, commonplace really. Still, as that seemed to be all he had to say on the subject for the moment, we turned to other topics.

나는 다음 말을 기다렸지만 존자님은 더 이상 말을 하지 않았다.

“인간관계를 향상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존자님은 잠시 생각하고 나서 웃으면서 말했다. “없습니다.”

나는 존자님의 특별한 충고는 사실 너무 단순하고 진부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그 순간 그가 하고 싶은 말은 그것이 전부인 듯했다. 그래서 우리는 주제를 다른 것으로 돌렸다.

 

That evening, I was invited to dinner at the home of some Tibetan friends in Dharamsala. My friends arranged an evening that proved to be quite lively. The meal was excellent, featuring a dazzling array of special dishes and starring Tibetan Mo Mos, a tasty meat dumpling. As dinner wore on, the conversation became more animated. Soon, the guests were swapping off-color stories about the most embarrassing thing they ever did while drunk. Several guests had been invited to the gathering, including a well-known couple from Germany, the wife an architect and the husband a writer, author of a dozen books.

그날 저녁 나는 다람살라에 사는 티벳인 친구들로부터 저녁 식사 초대를 받았다. 친구들은 무척 활기 넘치는 저녁 시간을 마련해 놓고 있었다. 눈이 휘둥그레질 만한 특별한 음식들이 차려져 나왔다. 그중에서도 고기만두처럼 생긴 티벳 음식 모모가 가장 눈에 띄었다. 식사를 하면서 사람들의 대화는 점점 활기를 띠어갔다. 곧 손님들은 술을 마시면서 자신이 겪은 가장 당황스런 일에 대해 상스러운 이야기도 나누게 되었다. 모임에는 서너 명의 다른 손님들도 초대되었는데, 그 중에는 유명한 독일인 부부도 끼어 있었다. 아내는 건축가이고 남편은 십여 권의 책을 쓴 작가였다.

 

Having an interest in books, I approached the author and began a conversation. I asked about his writing. His replies were short and perfunctory, his manner blunt and standoffish. Thinking him rather unfriendly, even snobbish, I took an immediate dislike to him. Well, at least I made an attempt to connect with him, I consoled myself, and satisfied that he was simply a disagreeable person, I turned to conversation with some of the more amiable guests.

책에 관심이 많은 나는 그 작가에게 다가가 말을 걸었다. 나는 그의 저서에 대해 물었다. 그 남자는 내 질문에 짧고 형식적으로 대답했으며, 말하는 태도도 무뚝뚝하고 냉정하기 짝이 없었다. 그가 불친절하고 잘난 체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나는 곧바로 그가 싫어졌다. 적어도 그에게 다가가는 시도는 했다고 스스로를 위로할 수밖에 없었다. 그가 불쾌한 사람이라는 것을 확인한 것에 만족하며 나는 상대를 바꿔 좀 더 상냥한 손님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The following day, I ran into a friend at a cafe in the village and over tea I recounted the events of the evening before.

“. . . I really enjoyed everyone, except for Rolf, that writer . . . He seemed so arrogant or something . . . so unfriendly.”

“I’ve known him for several years,” my friend said, “I know that he comes across that way, but it’s just that he’s a bit shy, a bit reserved at first. He really is a wonderful person if you get to know him . . .”

다음 날 마을의 카페에서 우연히 한 친구를 만나, 커피를 마시며 어제 저녁에 있었던 일들을 자세히 들려주었다.

“. . . 난 어제 모든 사람들과 정말 즐겁게 어울려 놀았어. 롤프라는 작가만 빼고 말이야. . . 그는 너무 거만하고 불친절하더라구.”

내 친구가 말했다. “난 롤프와 여러 해 동안 서로 알고 지낸 사이지. 그가 남들에게 그런 인상을 준다는 건 나도 알고 있지만, 그것은 그 친구가 수줍음을 타고 무엇보다 과묵하기 때문이야. 자네가 그 친구를 제대로 알게 된다면 그가 훌륭한 사람이라는 걸 깨닫게 될 거야.”

 

I wasn’t convinced. My friend continued, explaining, “. . . even though he is a successful writer, he has had more than his share of difficulties in his life. Rolf has really suffered a lot. His family suffered tremendously at the hands of the Nazis during World War II. And he’s had two children, whom he has been very devoted to, born with some rare genetic disorder that left them extremely physically and mentally handicapped. And instead of becoming bitter or spending his life playing the martyr, he dealt with his problems by reaching out to others and spent many years devoting himself to working with the handicapped as a volunteer. He really is quite special if you get to know him.”

나는 친구의 말을 믿기 어려웠다. 친구는 계속해서 그 남자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성공한 작가지만, 자신의 삶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일들을 겪었어. 롤프는 정말 많은 고통을 겪었지. 그의 가족은 2차 세계대전 동안 나치에 의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을 받았어. 그리고 그에겐 자기 몸처럼 헌신적으로 아끼는 두 아이가 있는데, 그 아이들은 희귀한 유전병을 갖고 태어나 육체적 정신적으로 심한 장애를 갖고 있지. 그러나 그는 삶을 비관하며 고통스럽게 보내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손을 뻗어 자신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했어. 여러 해 동안 자원봉사자로 일하면서 헌신적으로 장애인들을 도와주었지. 자네가 그 사람을 알게 된다면, 그 친구가 정말 특별하다는 걸 깨닫게 될 거야.”

 

As it turned out, I met Rolf and his wife once again at the end of that week, at a small strip field serving as the local airport. We were scheduled on the same flight to Delhi, which turned out to be canceled. The next flight to Delhi wasn’t for several days, so we decided to share a car to Delhi, a grueling ten-hour ride.

나는 주말에 롤프와 그의 아내를 다시 한 번 만나게 되었다. 그 지역에서 공항으로 이용하는 조그마한 활주로 들판에서 그들을 본 것이다. 우리는 같은 비행기 편으로 델리로 갈 계획을 갖고 있었지만, 그 비행기가 취소되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델리로 가는 비행기가 그 이후로 며칠 동안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함께 차를 타고 델리로 가기로 했다. 그것은 생각만 해도 끔찍한 열 시간의 긴 여행이었다.

 

The few bits of information that my friend had shared with me had changed my feeling toward Rolf, and on the long ride down to Delhi I felt more open toward him. As a result, I made an effort to sustain a conversation with him. Initially, his manner remained the same. But with just that little bit of openness and persistence, I soon discovered that, as my friend had said, his standoffishness was more likely due to shyness than snobbery. As we rattled through the sweltering, dusty northern Indian countryside, moving ever deeper into conversation, he proved to be a warm, genuine human being and a stalwart traveling companion.

내 친구가 알려준 몇 가지 정보 덕분에 롤프에 대한 내 느낌이 많이 달라져 있었다. 델리로 가는 긴 여행 동안 나는 좀 더 열린 마음으로 그에게 다가갈 수 있었다. 그래서 나는 그와 계속 대화를 하려고 노력했다. 처음에 그는 전과 똑같은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이해심을 갖고 조금 기다리자, 내 친구가 말한 것처럼 그가 냉정하게 보이는 이유는 거만함 때문이 아니라 수줍음 때문이란 것을 곧 알 수 있었다. 찌는 듯이 무더운 날씨에 먼지 나는 북인도 시골길을 덜컹거리며 달리면서 우리는 점점 깊은 대화에 빠져들었다. 결국 나는 그가 따뜻하고 진실한 사람이며, 용감한 나의 동료 여행자라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By the time we reached Delhi, I realized that the Dalai Lama’s advice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people’ was not as elementary and superficial as it first appeared. Yes, it was simple perhaps, but not simplistic. Sometimes it is the most basic and straightforward of advice, the kind that we tend to dismiss as naive, that can be the most effective means of enhancing communication.

우리가 델리에 도착할 즈음 나는 ‘사람의 배경에 대해 이해하라.’는 존자님의 충고가 처음에 생각한 것처럼 상식적이고 고리타분한 것이 아님을 깨달았다. 언뜻 단순하게 보이지만 그것은 극단적으로 단순한 말은 아니었다. 그것은 우리가 너무 순진한 생각이라고 무시해 버리기 쉽지만, 때로 소통을 넓혀가는 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는 정말로 근본적이고 피부에 와 닿는 충고이다.

 

 

 
다음검색
댓글
  • 15.05.16 22:35

    첫댓글 _()()()_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