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김씨는 신라 왕실의 삼성(三姓, 박, 석, 김) 가운데 하나이다. 시조 김알지(金閼智)의 7세손인 미추왕(신라 13대)에 이르러 비로서 왕위에 오르게 됨으로서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敬順王, 김알지의 28세손)에 이르기 까지 38명이 왕위를 계승하였고 935년 경순왕이 고려 태조 왕건에게 나라를 빼앗기자 그의 아들 9형제중 맏아들 김일(마의태자)은 망국의 한을 품고 입산 하였고 둘째 김굉은 나주김씨, 세째 김명종은 경주김씨의 영분공파, 네째 김은열은 경주김씨 은열공파, 다섯째 김석(錫)은 의성김씨, 여섯째 김건은 강릉김씨, 일곱째 김선은 언양김씨, 여덟째 김추는 삼척김씨, 아홉째 김덕예는 울산김씨 등의 시조가 되었다. 이와 같이 경주김씨는 경순왕의 세째 김명종과 네째 김은열로 부터 기원하였다. 그후 후손들이 번성함에 따라 현달한 인물이나 살고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분관되어 나갔다.
|
[ 분파(分派), 계파(系派) ] ·영분공파(永芬公派) : 경순왕의 셋째 아들 김명종(鳴鐘) ·은열공파(殷說公派) : 파조 대안군(大安君) 김은열(殷說)은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왕자이다. 중시조는 고려의 장군 김순응(順應)이다. ·태사공파(太師公派) : 태사공 김인관(仁琯)은 경순왕의 후손, 혹은 헌강왕의 7대손이라는 설이 있다. ·판도판서공파(判圖判書公派) :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은열의 후손 김장유(將有)를 파조로 하고 있다. ·대안공파 ; 1세조 김은열 ·병판공파 ; 김은열의 14세손 김덕재 ·백촌공파 ; 김은열의 17세손 김문기 ·정백공파 ; 김은열의 후손 김정백 ·태사공파 ; 김은열의 후손 김인관 ·장사랑공파 ; 김은열의 16세손 김존일 ·순응공파 ; 경순왕의 후손 김순응 ·계림군파 ; 김순응의 13세손 김곤 *문헌에 호장공파가 있다고 전하지만 '언양김씨'이며 실제로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