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세광옹달샘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믿음의 이야기 샘 스크랩 이족(?族)에 관한 이야기 ②
봉봉7 추천 0 조회 299 12.03.20 20:5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 이족(彛族)의 언어(言語) 

 

          

                    ▲ 이족미녀(彛族美女)

 

이족(彛族)은 6,7천년전 중국고대 서북지역에서 생활하던 저강족(?羌族)의 후예이다. 이족(?族)은 넓게 분산되어 작은 집단을 이루면서 모여 사는 것이 특징인데, 다른 민족과 잘 어울리면서 생활한다.  이족(?族)은 자기들의 고유한 언어와 문자를 가지고 있다.  이족(?族)의 언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 장면어족(藏緬語族)

의 이어지(彛語支)에 속하는데, 6가지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본래는 일종의 표의문자(表意文字)였는데, 역사에서는 낭문(囊文)이라고 하였으며, 아직도 음절문자로 된 것을 알고 있는 사람도 있다.  

                        ▲ 이족미녀(彛族美女)

 

① 동북부방언지역 :

- 3개의 제2방언과 9개의 토속어(土語)가 있으며, 초웅이족자치주(楚雄彛族自治州)의 무정 (武定)、원모

   (元謀)、록풍(祿豊) 등지에서 약 10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 이족미녀(彛族美女)

 

② 동남부방언지역 :

 - 4개의 토속어(土語)가 있으며, 로남(路南)、미륵(彌勒)、화령(華寧)、문산(文山) 등지에서 약 7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 이족(彛族)의 공연내용 프랜카드에 이족문자(彛文)와 한문(漢文)을 동시에 써두었다. 

 

③ 서부방언지역 :

  - 2개의 토속어가 있으며, 외산(巍山)、미도(彌渡)、영평(永平)、보산(保山) 등지에서 약 7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 이족문자(彛族文字) 기록물 

 

④ 남부방언지역 :

 - 3개의 토속어가 있으며, 건수(建水)、각구(各舊)、신평(新平)、아산(峨山) 등지에서 약 10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 이족문자(彛族文字) 기록

 

⑤ 북부방언지역 :

 - 2개의 제2방언과 5개의 토속어가 있으며, 화평(華平)、영승(永?)、녕랑(??) 등지에서 약 8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 이족문자(彛族文字) 기록물 

 

⑥ 중부방언지역 :

 - 2개의 토속어가 있으며, 초웅(楚雄)、모정(牟定)、대요(大姚)、영인(永仁) 등지에서 약 6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 이족문자(彛族文字) 기록물 

 

  ◐ 6개의 방언 사이에는 차이가 크며, 서로 의사소통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많다. 일부 지 역에서 지역 간에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소통이 불가능하며, 간혹 한어(漢語)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 이족필마문화(?族?摩文化) 운동 

 

 1975년 사천성(四川省)에서《이문규범시행방안(?文?范?行方案)》을 제정하여 819개의 이족문자(彛族文字)규범을 확정함과 동시에 사천성(四川省)량산이족자치주(凉山?族自治州)에서 널리 보급하며 시행하고 있다.  지금 사용하는 문자는 음절문자(音?文字)인데,  이 이족문자(?文)를 사용하여 이족(?族)의 역사、문학、의약학(?藥?) 등을 기록하고, 민간에 전하는 무수한 구전문학에 더하여 그 내용이 넘쳐나고 풍부한 여러 저작물에 이르기까지 이문(?文)으로 기재하여 두었다.  

    ▲ 이족문자(彛族文字)의 서법(書法) 

 

● 이족(?族)의 문화 

이족(彛族)은 최근에 자기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언어 및 전통을 발굴하고 계승발전시켜 나가자는 이족필마문화(?族?摩文化)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 이족필마문화(?族?摩文化)운동에 민족의 뜻있는 사람들이 많은 심혈을 기울여 새로운 연구생을 길러내어 연구를 위촉하고 또 전 민족이 이 사업에 적극 동참하도록 부추기고 있다.  

               ▲ 이족필마문화(?族?摩文化) 연구소고찰(硏究所考察) 연구원 기념촬영(楚雄)  

                  ▲ 이족(?族)의 사치(奢侈)스런 분묘(墳墓)

 

이족(?族)음악은 넉넉한 특색이 있으며, 춤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는데 항상 노래와 서로 동행한다. 역사가 흐르면서 이족(?族)문화는 그 범위가 더 넓어지고, 분파가 다양하게 되면서 더욱 풍부해지게 되었다. 다른 민족과 뒤섞여 사는 큰집단과 소취거(小聚居), 넓은 지역의 분포로 같은 이족(?族)끼리도 문화가 서로 다른 점이 있다. 호랑이 숭배, 검정색을 중시하는 일, 불을 숭배하는 일, 무(武)를 중히 여기는 일 등은 뚜렷하게 드러나는 이족(?族)문화의 특징이다.  

              ▲ 이족여인(彛族女人)의 무도(舞跳)    

        

                 ▲ 이족(彛族)의 삼현(三弦) 연주 

        

                ▲ 이족(彛族)의 월금(月琴) 연주  

 

그리고 이족(?族)은 월력을 태양력으로 쓴다.  이것은 차라리 세계에서 높은 명성을 듣고 있는 멕시코지역의 마야문명(Maya文明)과도 견줄 만하다. 이족(?族)사람들은 <타타육(??肉)>을 먹고, <간간주(杆杆酒)>마시기를 좋아한다. 노래하거나 춤출 때는 특징적인 독특한 기구를 사용한다.  전통적인 공예미술은 페인팅(漆?)、자수(刺?)、스팽글(spangle)、조각(雕刻)、회화(??) 등 한쪽으로 기울어진 듯한 민족적 특색을 드러내 보인다.  

     ▲ 이족(彛族) 여성들의 아름다운 다양한 복장(服裝)  

 

● 이족(?族)의 연애와 결혼

<파화방(爬花房)>은 고통을 감수하면서 견뎌내야 하는 이족(彛族)의 젊은 남녀가 결혼을 위한 연애를 하는 특유한 풍속이다.  처녀가 만16살이 되면 부모는 자기 딸을 자기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초막으로 지은 외딴 오두막집에서 혼자 밤을 지새우게 하는데, 그렇게 되면 만20살이 넘는 청년남자가 밤중에 처녀의 초막에 찾아 들어와 진심으로 사랑할 것을 맹세하고 남녀 간에 둘만의 사랑을 서로 나눌 수 있다.

                           ▲ 이족(彛族) 결혼식에서의 신랑과 신부

 

그들 처녀총각은 함께 밤을 지내면서 서로가 작은 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서로 조율하면서 사랑과 연애의 감정을 나눠 갖게 된다. 그리고 설령 두 사람의 처녀총각이 순조로운 조율이 이루어지지 않아 서로 대립적인 관계가 일어나는 경우라도 어떤 구속도 받지 않고 자유로운 마음상태로 둘의 관계를 끝내는 것이다. 일단 사랑이 무르익으면, 남녀쌍방은 부모의 동의를 구하기만 하면 바로 결혼할 수 있으며, 쌍방의 부모는 보통 자녀들의 선택에 어떤 간섭도 할 수 없다.  

               ▲ 이족(彛族) 남녀교제를 주제로 한 횃불절공연(楚雄)

 

운남성(云南省) 소량산이족(小凉山?族)의 결혼식은 좀 색다르다. 결혼할 때, 남자 측에서 말안장을 갖춰서 술、베(布)、고기(肉)、목화 등 예물을 잔뜩 가지고 신부를 맞으려 간다. 여자 쪽 동네의 신부친구인 처녀들이 신부를 맞이하러 온 신랑 측 사람들의 몸에다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물을 흠뻑 뿌리고, 필사적으로 손을 잡아끌어 신부집으로 못 들어가게 하면서 골탕을 먹이는 놀이를 행하는데, 이렇게 하여 신부가 더욱 돋보이게 되고 처녀들의 얼굴이 은근히 들어나게 되어 처녀들 자신을 알리는 역할을 하는 즐거움을 맛보게 된다.  

                       ▲ 이족(彛族)의 多産을 상징하는 여성상 -  四川省?源? 母山

                      ▲ 이족(彛族)의 多産을 향한 힘차고 굳센 남성상 - 四川省?源? 公山

 

결혼할 때 신부 쪽 집안사람들이 신부를 데리고 신랑 집으로 후행하는 사람들은 전부 남자만 갈 수 있는데, 신부가 남자 쪽 집의 문앞에 이르러서도 해가 져야 비로소 문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문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한 사람이 양고기와 집에서 빚은 술을 나무 공기에 한 주발을 받쳐 들고 신부의 머리 위로 한 바퀴 돌리고 나서 문을 통과한다. 이것은 혼인이후에 결혼생활이 풍요롭고 넉넉해지기를 기원하는 표징이다. 그러고 나서 신부는 남형제계열 사람의 등에 업혀서 집안으로 들어간다.

 

  

 

                              ▲ 이족(彛族)의 도채(跳菜) 접대(接待) 

 

<도채(跳菜)>는 이족(?族)이 가무를 즐기면서 동시에 연회를 베푸는 장소인데, 무도와 식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운남성(云南省)의 무량산(无量山)、애뢰산(哀牢山)에 있는 이족(?族)의 일반대중이 음식을 차려 손님을 접대하는 독특한 형식으로 최고 예의를 갖추어 진행하며, 그것은 무도、음악과 서커스를 완전히 결합한 형태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음식문화이다. 손님에게 향연을 베풀 때 통상 사각탁자를 사용하여 양측을 끼고 음식을 쪼르르 진열하여, 손님들은 세 방면에 둘러앉고 중간에 하나는 <도채(跳菜)>의 통로로 남겨놓는다.  

              ▲ 함께 노래부르며 춤추는 이족(彛族) 여인들 

 

세 가지 소리를 내는 징을 치고, 징(大?)、호생(芦笙)、삼현금(三弦)、민적(?笛)、나뭇잎(??) 등으로 이족(?族)의 민족음악을 합주하면서 <도채(跳菜)>의 서막을 알린다. 이때 처녀총각들은 합성을 지르고, 주문을 외면서 큰소리로 악악거린다. 머리위로 쟁반을 든 이족(?族)남자들을 슬쩍 보면 두 손을 맞잡고 읍하면서, 스텝이 올랐다 내렸다 하고, 한편으론 보폭이 빨라졌다 느려졌다 한다. 다른 한 사람은 머리위에 양팔로 모두 24개의 공기가 놓여있는 큰 쟁반을 단단히 받쳐 들고는 그 뒤에 입장한다.   

       ▲ 이족(彛族)음식 - 금과계면(金瓜?面) 

       ▲ 이족(彛族)음식 - 화원염국계(?源???)

         ▲ 이족(彛族)음식 - 흑정소맥(黑井??) 

      ▲ 이족(彛族)음식 - 흑정태사병(黑井太??)

                   

그들은 결국 수수하고 옛스러우면서도 순박하고 두터운 이족(?族)민족음악의 협주곡을 들려준다. 얼굴에는 익살스럽고 괴상한 표정을 지으면서, 몸을 뛰어오르다가 비틀어 비스듬하게 왔다 갔다 하다보면, 경쾌하고도 우미하면서 거침없이 연속으로 춤의 스텝이 이어지고, 앞서거니 뒷서거니 무대에 등장하게 된다. 두 사람이 파트너를 이뤄 덩실덩실 춤을 추면서 갖가지 형태의 괴기한 모양을 연출하는데, 그 모양이 마치 예쁜 색깔의 나비가 보통 꽃에서 노는 것과 같이, 갑자기 앞으로 뒤로 그리고 좌로 우로 돌면서 호위하여 춤을 추는 것이다.  

     ▲ 아름다움과 협동심이 돋보이는 이족(彛族)의 단체율동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