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분무 소화설비의 설계목적
1) 소화
2) 연소제여
3) 연소확대방지
4) 화재예방
2. 항목 및 살수밀도
1) 소화
가. 표면냉각
- 가스, 인화성 액체, 저인화점(60도미만) 액체는 유효하지 않음
- 인화점을 떨어 뜨리기 쉬운 고인화점 액체화재에 유효
- 비교적 낮은 살수밀도 요구(작은 물입자)
나. 질식소화
- 충분한 증기가 생성될 수 있는 강도가 큰 화재의 경우 적용
- 예상 화재구역 전체에 걸쳐 살수 도어야 함
- 산소가 자체 방출되는 자기반응성물질에는 부적합
- 충분한 증발량을 위해 높은 살수 밀도가 요구됨
다. 희석효과
- 물과 혼합도는 물질에 대하여 적용 가능
- 액제를 비가연성으로 희석
- 필요한 시간내에 소화하기 위해 큰 살수밀도 요구
라. 유화효과
- 물과 혼합도지 않는 액체의 경우에 적용
- 인화성 액체 전체부분에 살수되어야 함
- 유화를 위해 물의 표면장력을 줄이는 첨가제 혼합할 수도 있음
- 낮은 살수밀도 요구
2) 연소제어
가. 개념
- 연소중인 물질의 완전소모, 누출물질의 확산방지, 소화작업이 이루어 질 때까지 열방출율이 증가되지 않고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
나. 살수밀도 : 비교적 높은 살수밀도가 요구됨
- 펌프, 컴프레셔 등 : 20.4lpm/m^2이상의 살수밀도 요구
- 인화성 액체의 pool fire 제어 : 12.2 pm/m^2이상
3) 연소확대방지(노출부분 방호)
가. 개념
- 화재 노출부로 연소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분무를 화재의 지속시간 동안 방사하는 것
- 화재의 지속시간
' 가연성물질의 특성과 양, 수동식 소화설비의 예상효과 등을 고려해서 결정
' 비교적 장시간의 물분무가 요구될 수 있음
나. 살수밀도
- 방호대상별 살수밀도
' 가연성 액체 용기 : 노출된 용기 표면에 대하여 10.2 ㅣlpm/m^2이상
' 수직구조용 강제 : 10.2pm/m^2이상
' 케이블 트레이 : 수직투명면적에 대해 12.2lpm/m^2이상
' 변압기 : 전면부 투영면에 대해 10.2 lpm/m^2이상
- 보정계수 : 2.0pm/m^2 추가
- 물분무의 분사패턴이 겹칠 수 있도록 노즈 간격을 결정한다.
4) 화재예방 : 연소하한계(LFL미만화 필요) - 높은 살수밀도 요구
가. 개념
- 인화성 증기, 가스, 위험물질을 용해, 희석, 분산 또는 냉각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 동안 물분무를 방사하는 것
나. 살수밀도
- 인호성물질 등에 대한 현장 경험과 시험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결정
- 가연성 물질의 농도를 연소하한계 미만으로 신속하게 희석시켜야 하므로 높은 살수 밀도 요구
- 주위 잠재적인 누출원까지도 포용하여 물분무를 살수해야 함
3. 결론
물분무 소화설비는 여거가지 필요성에 맞춰 다양한 설계목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표에 따라 다양한 살수밀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이러한 설계목표별로 다양한 살수밀도를 적용할 수 있는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