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紫雲 자연속의 나를 찾아서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역학공부 자료 스크랩 ? 십이운성(十二運星)
紫雲 추천 0 조회 489 12.01.17 11:1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십이운성(총무의 역학노트).hwp

? 십이운성(十二運星) - 총무의 역학노트

 

 

[注] 12 운성 (十二運星)이란 인생의 생로병사(生老病死)를 정밀하게 쪼개어 열두 단계로 모양을 표현한 것이고, 천간의 기운이 자연 속에 실현되는 모양을 열두 지지에 배속한 것이다, 갑자라는 글자를 보면 흔히 수생목(水生木)을 생각하는데, 이것이 도리어 사주해석에서 오류를 만드는 것이다. 갑(甲)이 자(子)를 만나면 12운성으로 보아 목욕지(沐浴地)에 해당하는데 수생목의 오행적인 보조를 받는 것이 아니고 성장 속에 소모나 지출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십이운성(十二運星)의 뜻

 

우주(宇宙) 순환도(循環道)에 있어 좁게는 태양(太陽)을 양(陽) 지구(地球)를 음(陰)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넓게 생각하면 태양(太陽)과 지구(地球)를 양(陽)이라 할 수 있고, 달과 타항성(他恒星)을 음(陰) 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분류법(分類法)에서는 태양(太陽)은 양중양(陽中陽) 곧 태양(太陽)이 되고, 지구(地球)는 양중음 (陽中陰) 소양(少陽)이 된다.

달은 음중양(陰中陽) 소음(少陰)이 되고 항성(恒星)은 음중음(陰中陰) 태음(太陰)이 된다.

우주계(宇宙界)에 실존(實存)하는 모든 천체(天體)는 제가끔 존재(存在) 위치(位置)에서 음양(陰陽)을 이루고 사상(四象)을 형성(形成)하여 일정한 고정좌표(固定座標)를 가지고 우주운동(宇宙運動)을 진행 (進行)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십이운성(十二運星)이란 지구(地球)와 태양(太陽)의 위성(衛星)으로서 일정(一定)한 경사도(傾斜度)와 고정좌표(固定座標)를 유지(維持)하면서 자전(自轉)과 공전(公轉)을 하는 과정(過程)에서 오행(五行)의 정기(精氣)를 받은 인간(人間)이 어떻게 생노병사(生老病死)하는가의 그 과정(過程)을 측정(測定)해보는 방법론(方法論)이다.

 

이 측정(測定)하는 방법(方法)에 있어 오행(五行)은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를 배설(配設)하여 이 변화(變化) 과정(過程)으로써 측정(測定)하는 것이다.

 

1일(一日)은 지구(地球)가 12시간(時間)으로 일자전(一自轉)하면서 우주운동(宇宙運動)을 일회(一回) 완료(完了)하고, 1개월(一個月)은 달이 29일(日) 12시간(時間) 44분(分) 걸려 지구(地球)를 일회전(一回轉) 하는 공전(空轉)하는 공전운동(公轉運動)을 완료(完了)하는 것이다.

이는 지구(地球)가 없어질 때까지 끝없이 반복(反復)하는 천고(千古)의 진리(眞理)인 것이다.

그러면 지구(地球)가 엄격한 이 같은 변화(變化)의 질서(秩序)를 유지(維持)하는데 매년(每年) 매년(每年)은 동일(同一)하지 않고 상이(相異)하느냐 하면 그것은 지구(地球)는 일정(一定)한 경사도(傾斜度)와 고정좌표(固定座標)를 가지고 변함없는 운동(運動)을 한다고 하더라도 태양(太陽)의 고정좌표(固定座標) 월(月)의 고정좌표(固定座標) 타항성(他恒星)들의 운행(運行)의 고정좌표(固定座標)가 제가끔 다르기 때문에 매년(每年)의 동일(同一)한 날이 동일(同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매년(每年)의 기후변화(氣候變化)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란 일정(一定)한 변화(變化) 과정(過程)을 밟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이(相異)한 변화(變化) 과정을 설명(說明)하는 것이 천운오운(天運五運)인 갑기합토(甲己合土), 을경합금(乙庚合金), 병신합수(丙辛合水), 정임합목(丁壬合木), 무계합화(戊癸合火)이고 지지합충 (地支合沖)인 것이다.

 

십이운성(十二運星)의 차례

 

십이운성(十二運星)의 차례란 생노병사(生老病死), 태어나면 자라고 다 자라면 병들고 병들면 죽는다는 것이나, 생장성멸(生長成滅) 태어나면 자라고 자라면 결실(結實)을 맺고 결실(結實)을 맺으면 모체 (母體)는 없어진다는 법(法)과 같다.

 

불교(佛敎)에서는 십이인연법(十二因緣法)으로 설명(說明)한다.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이나 역학(易學)에서는 지지(地支)의 12지(支) 변화(變化)과정에 응용(應用)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說明)한다.

 

절(絶)=포(胞)→ 태(胎)→ 양(養)→ 장생(長生)→ 목욕(沐浴)→ 관대(冠帶)→ 건록(建祿)→ 제왕(帝旺)→ 쇠(衰)→ 병(病)→ 사(死)→ 묘(墓)=장(葬)

 

십이운성(十二運星)의 순역(順逆)

 

태극(太極)의 원리(原理)에서 부음포양(負陰抱陽)이라고 하여 음양(陰陽)의 위치(位置)가 상이(相異)함 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음(陰)은 양(陽)을 위에 싣고 양(陽)은 음(陰)을 감싸 안는다는 것이다.

음양(陰陽)이 성행위(性行爲)를 할 때 이 관계(關係)가 잘 나타나 있다.

또 사람이 물에 빠져 죽거나 죽을 때를 보면 남자(男子)는 앞으로 넘어져 죽고 여자(女子)는 하늘을 보고 반드시 누워서 죽는다.

이것이 음양(陰陽)의 순환(循環)의 방법(方法)이 다름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음양(陰陽)을 간지오행(干支五行)으로 표시(表示)하기 때문에 십이운성(十二運星)을 말함에는 일간(日干)이 양간(陽干)이냐 음간(陰干)이냐에 따라서 양간(陽干)일 때는 십이운성(十二運星)이 순행(順行)하 고 음간(陰干)일 때는 십이운성(十二運星)이 역행(逆行)한다.

 

그 기준(基準)은 양생음사(陽生陰死)라고 하여 양간(陽干)의 장생지(長生地)에서 음간(陰干)은 사(死)가 되고 양간(陽干)의 사지(死地)에서 음간(陰干)은 장생(長生)하게 된다.

 

 

음양간(陰陽干) 십이운성(十二運星) 비교표(比較表)

 

 

 

 

陽干

長生

冠帶

祿

陰干

祿

冠帶

長生

 

 

십이운성(十二運星) 해설(解說)

1. 절(絶)포(胞)

 

가. 의의(意義)

만물(萬物)이 땅속에 있을 때 형체(形體)가 없는 것과 같이 모복중(母腹中)에 아직 태(胎)가 형성(形成)되지 않음과 같다.

절처봉생(絶處逢生)이라 하여 만유성명(萬有性命)이 최초(最初)로 태식(胎息)을 갖게 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나. 특징(特徵)

이때는 무념무상(無念無想), 지극히 정적(靜的)인 상태(狀態)이고 외부(外部)의 충동(沖動)에 동요(動搖)하기 쉽다.

인정(人情)에 흔들이고 실리면(實利面)에 투쟁(鬪爭)하지 못함으로 손해(損害)를 보고 여자(女子)는 남자(男子)의 거짓 달콤한 소리에 정조(貞操)를 잃기 쉽다.

 

다. 직업(職業)

사색가(思索家), 교육자(敎育者), 철학자(哲學者), 종교인(宗敎人), 학자(學者), 연구가(硏究家) 등에 적합하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재성(財星)이 절지(絶地)이면, 재산(財産)의 어려움과, 남자(男子)는 처(妻)가 질병(疾病), 사별(死別) 등 의 일을 겪는다.

관성(官星)이 절지(絶地)이면, 여자(女子)는 남편연(男便連)이 박(薄)하다.

또 공직수임(公職受任)이 어렵고 명예(名譽)가 없는 사람이다.

식신(食神)이 절지(絶地)이면, 의식주생활(衣食住生活)에 어려움이 많고 활동(活動)에도 장애(障碍)가 많다.

여자(女子)는 자녀(子女)두기가 어렵다. 자녀(子女)가 있어도 훌륭한 자녀(子女)가 되지 못한다.

비겁(比劫)이 절지(絶地)이면 형제(兄弟), 친우(親友), 동료(同僚), 동기(同期)의 덕이 없다.

인성(印星)이 절지(絶地)이면 조부(祖父), 모(母)의 덕(德)이 없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에 절(絶)이면 부모(父母)와 인연(因緣)이 박(薄)하고 조업(祖業)을 승계(承繼)하지 못하고 타향(他鄕)에서 생활(生活)한다.

(2) 월지(月支)에 절(絶)이면 육친무덕(肉親無德)에 변화(變化)가 많고 형제(兄弟) 고독(孤獨)하며 범사 (凡事)에 손실(損失)이 많다.

(3) 일지(日支)에 절(絶)이면 부모(父母)의 인연(因緣)이 없고 장남(長男)이라도 타향(他鄕)살이 한다. 주관성(主觀性)이 없어 남의 꾐에 빠지기 쉽고 호색(好色)으로 인한 망신(亡身), 부부(夫婦)의 인연 (因緣)이 좋지 않다.

여자(女子)가 갑신(甲申) 신묘일(辛卯日)에 태어나면 성질(性質)이 급(急)하고 부부궁(夫婦宮)이 나쁘다.

(4) 시지(時支)에 절(絶)이면 자녀(子女) 인연(因緣)이 나쁘다.

 

2. 태(胎)

 

가. 의의(意義)

사람이 부정모혈(父精母血)을 받아 수태(受胎)됨과 같고 천지만물(天地萬物)이 음양교접(陰陽交接)하여 지중(地中)에서 새 생명(生命)이 움터옴과 같다.

 

나. 특징(特徵)

이때 에는 수양(受養)과 보호(保護)를 받는 상태(狀態)에서 장래(將來) 희망(希望)과 발전(發展)을 꿈꾼다.

주체성(主體性)이 약(弱)하고 의타심(依他心)이 있으며 색정문제(色情問題)를 일으킨다.

지능(知能)과 사색(思索) 연구(硏究)와 기억(記憶)은 우월(優越)하나 활동(活動), 외교(外交), 처세(處世)가 부족(不足)하다.

 

다. 직업(職業)

어린 생명(生命)을 귀여워하고 화초(花草)나 종자(種子) 묘목(苗木) 등에 호기심(好奇心)을 갖는다.

산부인과(産婦人科), 탁아소(託兒所), 아동보호소(兒童保護所), 화원(花園), 종묘원(種苗園)등에 적성(適性)이 있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재성(財星)이 태지(胎地)면 처(妻)가 잉태(孕胎)하거나 재산(財産)의 늘어남이 있다.

식신(食神)이 태지(胎地)면 의식주생활(衣食住生活)의 상승세(上昇勢)를 나타내고 여자(女子)는 잉태(孕胎)를 하는 수가 있다.

관살(官殺)이 태위(胎位)면 자녀(子女) 임신(姙娠) 소식이 있고 공직상(公職上) 전망(展望)이 예견(豫見)된다.

인성(印星)이 태위(胎位)면 학문발전(學問發展) 연구생활(硏究生活)에 진전(進展)이 있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에 태위(胎位)면 어렸을 때 부모(父母)의 변화(變化)가 있었고 조상(祖上)은 발전(發展) 하였다.

(2) 월지(月支)에 태위(胎位)면 청년기(靑年期)에 직업전환(職業轉換)이 많고 계획(計劃)과 방침(方針) 이 자주 혁신(革新)된다.

(3) 일지(一支)에 태위(胎位)면 어릴 때는 허약(虛弱)하여 죽을 고비를 겪지만 중년(中年)부터는 건강 (健康)하여 진다. 부모형제(父母兄弟)의 연(聯)이 박(薄)하고 직업(職業)을 자주 바꾸며 한 가지 일에 투철(透徹)하지 못 하나 중년이후(中年以後) 발전(發展)한다.

여자(女子)는 고부간(姑婦間)에 불화(不和)가 많고 특히 여자(女子)가 병자(丙子) 기해일생(己亥日生)은 가정불화(家庭不和)가 많다.

(4) 시지(時支)에 태(胎)면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의 업(業)을 변경(變更)한다.

 

3. 양(養)

 

가. 의의(意義)

양(養)은 태(胎)가 모복중(母腹中)에서 성형(成形)하여 태어나기 전(前)까지 모복중(母腹中)에서 자라나 는 것을 말한다.

이때에는 외부적(外部的) 투쟁(鬪爭)이 없이 안정(安定)과 보호(保護)속에서 양육(養育) 성장(成長)하 는 것이다.

 

나. 특징(特徵)

신중(愼重)하고 봉사적(奉事的)이나 어려움을 당하면 두려워하고 물러서게 된다.

착실(着實)하고 온건(溫健)하며 낙천적(樂天的)인데 특색(特色)이 있으며 선두(先頭)에서 과단성(果斷性)있게 지도(指導)하기 에는 부족(不足)하다.

 

다. 직업(職業)

양어장(養魚場), 각종(各種) 사육장(飼育場), 양로원(養老院), 탁아소(託兒所), 요양소(療養所) 등에 적성 (適性)이 있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양위(養位)면 이복형제(異腹兄弟)가 있고 형제(兄弟)들이 온순(溫順) 선량(善良)하다.

식신(食神)이 양위(養位)면 의식주(衣食住)와 관계(關係)된 사육(飼育), 재배(栽培), 가축사육(家畜飼育) 으로 성공(成功)한다.

상관(傷官)이 양위(養位)면 조모(祖母)가 양육(養育)하는 일이 있고,

재성(財星)이 양위(養位)면 재물(財物)이 풍족(豊足)하지 못하다.

관성(官星)이 양위(養位)면 명리(名利)가 그리 높지 못하다.

편인(偏印)이 양위(養位)면 이복형제(異腹兄弟)에다 계모(繼母)가 있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가 양위(養位)면 아버지가 양자(養子)하였거나 자기(自己)가 양자(養子)하거나 분가(分家)한다.

(2) 월지(月支)에 양위(養位)면 중년(中年)에 호색(好色)으로 파산(破産)한다.

(3) 일지(日支)에 양위(養位)면 어릴 때 생모(生母)아닌 사람에게 양육(養育)된다.

일주(日柱)가 진양(眞養)이라면 양자(養子)로 나간다. 아니면 분가(分家)한다. 호색(好色)하여 재혼(再婚)하거나 일부일처(一夫一妻)를 지키지 못하는 수가 있다.

여자(女子)는 일주(日柱) 양(養)이면 행복(幸福)하고 어진 자녀(子女)를 둔다. 경진일생(庚辰日生)은 부 운(夫運)이 좋지 않다.

(4)시지(時支)에 양위(養位)면 늙어서 자녀(子女)의 효양(孝養)을 받는다.

 

4. 장생(長生)

 

가. 의의(意義)

사람이 모복(母腹)에서 태어남과 같고 만물(萬物)이 지상(地上)의 일원으로 발생(發生)하여 향영(向榮) 하는 것과 같다.

 

나. 특징(特徵)

자성(資性)이 온건(溫健), 명민(明敏)하고 개척(開拓)과 전진(前進) 창조(創造) 창의(創意) 신장(伸長) 발 전(發展)을 기약(期約)한 희망(希望)과 의욕(意慾)이 건왕(健旺)하다.

자존심(自尊心)과 진취력(進就力)이 욱일승천(旭日昇天)하는 격(格)으로 장래(將來)가 촉망(囑望)된다. 타인(他人)과 다투지 않는 두령격(頭領格)이다.

 

다. 직업(職業)

학자(學者) 발명가(發明家) 창조자(創造者) 개척자(開拓者) 박사(博士) 사장(社長) 중책(重責)을 수임 (受任)하는 고위(高位) 관리직(管理職) 사원(社員)이 된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재성(財星)이 장생(長生)이면 거부(巨富)가 된다. 비전만경(肥田萬頃)이라 했다.

관성(官星)이 장생(長生)이면 영예(榮譽)스러운 직책(職責)을 얻고 남자(男子)는 현자(賢子)를 두며, 여 자(女子)는 휼륭한 남편(男便)을 얻는다.

인성(印星)이 장생(長生)이면 문장(文章)으로 이름을 얻고,

편인(偏印)이 장생(長生)이면 인기상승(人氣上昇)하고,

식신(食神)이 장생(長生)이면 의식주(衣食住) 혜택(惠澤)을 받고 가업(家業)이 흥왕(興旺)한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가 장생(長生)이면 선대(先代)가 발흥(發興)하고 복록(福祿)이 증진(增進)한다.

충형파(沖刑破) 공망(空亡)되면 복록(福祿)에 손상(損傷)을 입는다.

(2) 월지(月支)가 장생(長生)이면 부모형제(父母兄弟)가 창성(昌盛) 발달(發達)하고 인덕(人德)이 있고 윗사람을 잘 모신다.

(3) 일지(日支)가 장생(長生)이면 부부(夫婦) 금슬(琴瑟)이 좋고 현처(賢妻)을 얻고 차자(次子)라도 부 모(父母)의 혜택(惠澤)이 있으며 언행(言行)이 온화(溫和)하다.

남녀공(男女共)히 무인일(戊寅日) 정유일(丁酉日)은 복(福)이 적고 임신일(壬申日) 병인일(丙寅日)에 태어난 여자(女子)는 박학무용(博學無用)으로 부궁(夫宮)이 좋지 않다고 한다.

(4) 시지(時支)에 장생(長生)이면 귀(貴)한 아들을 낳고 말년(末年)이 발복(發福)하여 가업(家業)이 번 영(繁榮)한다.

 

5. 목욕(沐浴)

가. 의의(意義)

사람이 생후(生後) 삼일(三日)에 목욕(沐浴)함과 같이 만물(萬物)이 처음 태어날 때 강(强)한 것은 기르고 약(弱)한 것은 뽑아 버리는 시기(時期)와 같다.

어린아이가 처음으로 목욕(沐浴)하면 얼굴이 아름답기도 하지만 춥고 숨 막히는 고통(苦痛)과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도화살(桃花殺), 함지살(咸池殺), 패살(敗殺), 궁살(窮殺)이라고도 한다.

 

나. 특징(特徵)

미색(美色)과 유행(流行)에 치우치며 이성간(異性間)의 색정관계(色情關系)나 화려(華麗)한 현실생활(現實生活)에 도취(陶醉)되어 저축(貯蓄)보다는 목전(目前)의 만족(滿足)을 위(爲)한 생활(生活)을 한다.

재산(財産)의 낭비(浪費) 주색(酒色) 방탕(放蕩) 등(等)으로 실패(失敗)와 유랑(流浪)을 거듭하는 사례 (事例)가 많다.

 

다. 직업(職業)

이 같은 원리(原理)는 동지(冬至), 하지(夏至), 춘분(春分), 추분(秋分)과 같이 이산(離散) 작별(作別) 배신 (背信) 분열(分裂)이 바탕이 된다.

유흥업소(遊興業所) 극장업(劇場業) 주류업(酒類業) 당구장(撞球場) 등(等) 업(業)에 적성(適性)이 있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재성(財星)이 패위(敗位)면 가산(家産) 탕진(蕩盡)의 위험(危險)이 있고

관살패위(官殺敗位)는 직업(職業)에 애로(厓路)가 많고 명예(名譽)가 오래 가지 못하며 남자(男子)는 자식(子息)이 낭비벽(浪費癖)이 있고 여자(女子)는 남편(男便)이 주색(酒色)에 빠진다.

인성(印星)이 패위(敗位)면 어머니가 외정(外情)이 있고,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패위(敗位)면 형제자매(兄弟姉妹) 등(等)이 주색(酒色)으로 가업(家業)을 탕진 (蕩盡)한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에 목욕(沐浴)이면 집안은 좋았으나 선대(先代)에 주색(酒色) 파가(破家)하여 빈궁(貧窮) 하다.

(2) 월지(月支)에 욕지(浴地)면 모친(母親) 재가(再嫁) 등 가정환경(家庭環境)이 불미(不美)하고 부부연 (夫夫緣)이 바뀌거나 장자(長子)와 멀어진다.

한가지 일을 끝까지 하지 못하는 용두사미격(龍頭蛇尾格)이다.

(3) 일지(日支)에 욕지(浴地)면 부모무덕(父母無德)하고 어릴 적부터 고생(苦生)이 많고 주색풍파(酒色風波)를 조심(操心)해야 한다.

사교성(社交性)이 좋지 않다.

을사일생(乙巳日生) 남명(男命)은 덕망(德望)있고 존경(尊敬)을 받으나 만약(萬若) 부자(富者)가 되면 병신(病身)이 된다.

갑자일(甲子日) 신해일생(辛亥日生)은 고집(固執)이 세며 부부(夫婦) 이별(離別)의 수(數)가 있다.

4) 시지(時支)에 목욕(沐浴)이면 처자(妻子)가 무정(無情)하고 말년(末年)이 고독(孤獨) 쇠운(衰運)하여 불쌍한 처지에 빠진다.

 

6. 관대(冠帶)

 

가. 의의(意義)

목욕(沐浴)이 어려서부터 4세(歲) 5세(歲)까지 천방지축(天方地軸)으로 걷는 때라면, 관대(冠帶)는 유치 원(幼稚園)에 다니고 부터 고등학교(高等學校)를 졸업(卒業)할 때까지라 할 것이다.

사람이 자라서 의관(衣冠)을 구비(具備)함과 같다.

이는 학생복(學生服)을 입고 중고등학교(中高等學敎) 모자를 쓰고 공부하는 성장과정(成長過程)에 해 당(該當)한다.

 

나. 특징(特徵)

진취심(進取心)과 자아독립욕(自我獨立慾)에 사로잡혀 고통(苦痛)을 인내(忍耐)하고 부정(不正)과 불의 (不義)에 대항(對抗)하여 싸우는 것이 특징(特徵)이다.

 

다. 직업(職業)

실업가(實業家) 관리(官吏) 군인(軍人) 학자(學者) 종교인(宗敎人) 등(等)에 적성(適性)이 있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재성(財星)이 관대(冠帶)면 가산(家産)이 증진(增進)하고 처(妻)가 고집(固執)이 세고 주권활동(主權活動)을 하게 된다.

식신(食神)이 관대(冠帶)면 여자(女子)는 자녀(子女)가 크게 발전(發展)하며 남자(男子)는 직장(職場)의 승진(昇進)이 있고 사업(事業)이 확장(擴張)된다.

관성(官星)이 관대(冠帶)면 시험합격(試驗合格)하고 관직(官職) 승진(昇進)하고 관직(官職)에 중용(重用)된다.

상관(傷官)이 관대(冠帶)하면 지능발달(智能發達)하나 남자(男子)는 직장(職場)을 잃게 되고, 여자(女子)는 남편(男便)과 이별(離別) 질병(疾病) 또는 남편(男便)의 하는 일에 장애(障碍)가 온다.

편인(偏印)이 관대(冠帶)면 기예(技藝)의 발전(發展)이 있든지 사기(詐欺)를 당(當)하고 , 여자(女子)는 자녀(子女)들의 재난(災難)이 있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

(1) 년지(年支)에 관대(冠帶)면 명문출신(名門出身)으로 유복(有福)하여 유산(遺産)을 받고 일찍 출세(出世)한다.

늙어서 재차(再次) 결혼(結婚)하는 수가 있다고 한다.

(2) 월지(月支)에 관대(冠帶)면 개성(個性)이 뚜렷하고 완고(頑固)하며 집념(執念)과 고집(固執)으로 명 예(名譽)와 출세(出世)를 위하여 수단(手段)과 방법(方法)을 가리지 않는다.

(3) 일지(日支) 관대(冠帶)면 형제간(兄弟間)에 의리(義理)가 있고 준재(俊才)로서 공명(功名)을 얻으나 애정(愛情) 실패(失敗)나 주소(住所) 변동(變動)이 잦다.

여자(女子)는 이날에 태어나면 단정(端正)하고 좋은 연분이 있다.

임술일(壬戌日) 계축일생(癸丑日生) 여자(女子)는 부군횡사(夫君橫死)할 위험(危險)이 있고 늙은 신랑 (新郞)를 맏이하게 된다.

(4)시지(時支)에 관대(冠帶)면 자녀(子女)가 발복(發福)하여 그 덕(德)을 받는다.

 

7. 건록(建祿)

 

가. 의의(意義)

만물(萬物)이 다 자라서 열매를 뽑아냄과 같고 사람이 직장(職場)에 나아가 보수(報酬)를 받음과 같다.

록(祿)이란 사회(社會)의 구성원(構成員)으로서 국가(國家)와 사회(社會)에 일한데 대한 보수(報酬)나 대가를 받음과 같다.

 

나. 특징(特徵)

부정(不正)과 불의(不義)를 배격(排擊)하고 공명정대(公明正大)하며 인격(人格)과 책임위주(責任爲主)의 생활(生活)을 한다.

명예(名譽)와 체면 상하질서(上下秩序)관계를 엄격(嚴格)히 준수(遵守)한다.

 

다. 직업(職業)

국가(國家)나 공공기업(公共企業)에 근무 보수생활(保守生活)을 하고 자존심(自尊心)과 사명감(使命感) 이 강하다.

공무원(公務員) 공직(公職)인 지휘관(指揮官) 훌륭한 중견간부(中堅幹部) 심복 간부로 일하게 된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식신(食神)이 록위(祿位)면 의식주(衣食住)의 형복(亨福)을 누리고 공직생활(公職生活)에 향영발전(向榮發展)한다.

비견(比肩)이 록위(祿位)면 형제(兄弟)가 발전(發展)하고 배경(背景)이 좋다.

재성(財星)이 록위(祿位)면 재물(財物)의 풍요(豊饒)로는 혜택(惠澤)을 입고 공직생활(公職生活)에 발전(發展)이 있다.

관살(官殺)이 록위(祿位)면 공직생활(公職生活)에 심복(心腹) 부하(部下)를 많이 거느린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에 록위(祿位)면 선대(先代)가 번창(繁昌)하였거나 부친(父親)이 자수성가(自手成家)하였다.

(2) 월지(月支)에 록위(祿位)면 형제(兄弟)가 자수성가(自手成家)하고 자립심(自立心)이 강(强)하며 고 집(固執)이 세다.

여자(女子)는 맞벌이를 하거나 여자(女子)가 경제생활(經濟生活)을 한다.

(3) 일지(日支)에 록(祿)이면 독립심(獨立心)이 강(强)하고 건전사상(健全思想)으로 성공(成功)하지만 애정(愛情)은 남녀공(男女共)히 원만(圓滿)하지 못하다.

남자(男子)는 형제중(兄弟中) 장자(長子)의 역할(役割)을 하는 수가 있고 중년전(中年前)에 발복(發福) 한 사람은 중년후(中年後) 가세(家勢)가 기울고 초년(初年)에 고생(苦生)한 사람은 중년후(中年後) 발 복(發福)한다.

여자(女子)는 부군(夫君)이 작첩(作妾)하거나 혼자되기 쉽고 생활전선(生活戰線)에서 고생(苦生)한다.

(4) 시지(時支)에 록(祿)이면 귀록(歸祿)이라 하여 자손(子孫)이 발복(發福)하고 말년(末年)이 좋다.

 

8. 제왕(帝旺)

 

가. 의의(意義)

제왕(帝旺)이란 최고(最高)의 강왕(强旺)한 것을 말하며 기세(氣勢)가 극왕(極旺)한 것을 나타낸다.

만물(萬物)이 성숙(成熟)하고 사람이 극도(極度)로 흥왕(興旺)함과 같다.

불굴정신(不屈精神)과 강인(强忍)한 의지(意志) 강자(强者)에는 반항심(反抗心) 사회공익(社會公益)과 정의(正義)로운 일에는 몸과 마음을 바치고 헌신(獻身) 투쟁(鬪爭) 솔선수범(率先垂範)한다.

 

나. 특징(特徵)

과강(過强)한 피해(被害)를 조심(操心)해야 하고 강왕(强旺)한 기세(氣勢)가 뚫고 나갈 돌파구(突破口) 를 찾아야 한다.

불화(不和) 독선(獨善)을 자초(自招)한다.

다. 직업(職業)

군인(軍人)이나 의사(醫師)와 같은 생명(生命)을 좌우(左右)하는 직업(職業)에서 능(能)히 감당(勘當)할 수 있으며 고집(固執)이 세고 타인(他人)의 조언(助言)을 잘 받아들이지 않는다.

군인(軍人) 법관(法官) 의사(醫師) 도살업자(屠殺業者) 재단사(裁斷師) 요리사(料理師) 이발사(理髮師) 등(等)에 적당(適當)하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1)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왕위(旺位)에 있으면 과강치상(過强致傷) 나를 해(害)치지 않으면 남을 해 (害)친다.

(2) 재성(財星)이 왕위(旺位)에 있으면 재물(財物)이 다모여서 나가기 쉽다.

(3) 관살(官殺)이 왕위(旺位)에 있으면 권위(權威)의 직(職)이나 생살지권(生殺之權)을 갖는다.

(4) 식신(食神)이 왕위(旺位)에 있으면 왕성(旺盛)한 경제활동(經濟活動)을 하고 의약업(醫藥業)이나 식품업(食品業)에 인연(因緣)이 있다.

(5) 상관(傷官)이 왕위(旺位)에 있으면 남을 해(害)치지 않으면 나를 해(害)친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가 왕위(旺位)면 선대(先代)가 완고(頑固)한 부귀명망가(富貴名望家)이다. 본인(本人)이 자비심(慈悲心)이 많다.

(2) 월지(月支)가 왕위(旺位)면 타인(他人)을 무시(無視)하고 고집(固執)이 세며 독립심(獨立心)이 강 (强)하고 수완(手腕)이 좋아 두령(頭領)노릇을 한다.

부모형제(父母兄弟)와 인연(因緣)이 박(薄)하다.

(3) 일지(日支)가 왕위(旺位)면 부모(父母)와 인연(因緣)이 박(薄)하거나 고향(故鄕)을 떠나게 되고 처 연(妻緣)이 변(變)하기 쉽다.

여자(女子)도 자립(自立)독립(獨立) 의지(意志)가 강(强)하여 혼전(婚前) 혼후(婚後)에도 사회활동(社會活動)을 하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본인(本人)의 질병(疾病) 수가 있다.

무오(戊午) 병오(丙午) 정사(丁巳) 기사(己巳) 계해일생(癸亥日生)은 부연(夫緣)이 변(變)하거나 이별후 (離別後)에 과부명(寡婦命)이다.

제왕(帝旺)이 중(重)하면 배우자(配偶者)에 해(害)롭고 반드시 과강(過强)한 피해(被害)를 입는다.

(4) 시지(時支)에 왕위(旺位)면 귀자(貴子) 발흥(發興)으로 말년(末年)이 좋으며 학문(學文)연구(硏究)를 좋아한다.

가명(家名)을 빛낸다.

 

9. 쇠(衰)

 

가. 의의(意義)

만물(萬物)이 왕성(旺盛)한 기운(氣運)이 지나면 점차 쇠퇴(衰退)하는 것과 같고 사람의 기운(氣運)이 쇠진(衰盡)함과 같다.

록(祿)이 20세(歲)에서 35세(歲)라면 제왕(帝旺)은 36세(歲)에서 45세(歲)에 해당(該當)하는 시기(時期) 라 할 수 있고 쇠(衰)는 45세(歲) 이후(以後) 60세(歲)까지 점차(漸次) 쇠퇴(衰退)하여 정년(停年) 퇴직 (退職)함과 같다.

 

나. 특징(特徵)

만물(萬物)이 성장(成長)이난 상승(上昇)하는 기세(氣勢)는 한계(限界)가 있어 극왕(極旺)한 경지(境地)를 벗어나면 점차(漸次) 쇠퇴(衰退)하기 마련이다.

안정(安定)을 위주(爲主)로 하는 방향(方向)으로 흘러 모험(冒險)을 피(避)하고 내실(內實)을 기(期)하 며 보수(保守) 수세적사고(守勢的思考) 평화적(平和的) 대화(對話)를 요구(要求)한다.

 

다. 직업(職業)

안정(安定) 위주(爲主)로 온순(溫順) 진실(眞實)하고 매사(每事) 타협적(妥協的)이다.

교원(敎員) 연구가(硏究家) 발명가(發明家) 사색가(思索家) 고리대금업(高利貸金業) 등(等)이 적업(適業)이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쇠위(衰位)면 배경(背景) 세력(勢力)이 퇴조(退潮)하고 형제동기(兄弟同期)가 쇠락(衰落)한다.

재성(財星)이 쇠위(衰位)면 재산(財産)이 줄거나 가업(家業)이 쇠퇴(衰退)해 진다.

식신(食神)이 쇠위(衰位)면 활동(活動)이 저조하고 사고력(思考力)이 감퇴(減退)한다.

관살(官殺)이 쇠위(衰位)면 직위(職位) 하락(下落)하고 자녀(子女)가 유약(柔弱)하며 가문(家門)이 번성 (繁盛)하지 못한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가 쇠위(衰位)면 선대(先代)가 점차(漸次) 쇠퇴(衰退)하고 가정(家庭)에는 성실(誠實)하나 사회적(社會的)으로는 두각(頭角)을 나타내기 어렵다. (

2) 월지(月支)가 쇠위(衰位)면 부모형제(父母兄弟)의 운세(運勢)가 약(弱)하고 청년기(靑年期) 발전(發展)이 없으며 남의 형편(形便)을 보아주다 금전(金錢)으 손실(損失)을 당(當)한다.

(3) 일지(日支)에 쇠(衰)면 허영(虛榮)과 사치(奢侈)가 없이 경제적(經濟的)이며 차분(差分)하고 조용한 운세(運勢)다.

남의 보증(保證)을 조심(操心)해야 한다.

여명(女命)은 현모양처(賢母良妻)요, 생각(生覺)이 깊어 실수(失手)가 없다.

여명(女命)에 갑진(甲辰) 경술(庚戌) 신미일생(辛未日生)은 부부궁(夫婦宮)이 불안(不安)하여 해로(偕老)하기 어렵다.

(4) 시지(時支)에 쇠위(衰位)면 자녀덕(子女德)이 약(弱)하고 자녀(子女)로 인(因)하여 근심 걱정이 있고 말년(末年)에 고독(孤獨)하거나 고생(苦生)이 많다.

 

10. 병(病)

 

가. 의의(意義)

사람이 쇠(衰)해지면 병(病)에 걸리는 것과 같다.

만물(萬物)의 결실시기(結實時期)다.

사색(思索)과 공상(空想)에 치우쳐 외적(外的)인 활동(活動)보다 내적(內的)인 지성개발(知性開發)에 힘쓴다.

난관(難關)에 부딪히면 좌절(挫折) 낙심(落心)하며 가급적(可及的) 경쟁(競爭)을 피(避)한다.

 

나. 특징(特徵)

유아(幼兒) 시절(時節) 몸이 약(弱)한 편이요 허장성세(虛張聲勢)를 부리나 실천(實踐)은 과감(過感)하 지 못하다.

공상적(空想的) 사색(思索) 신경질(神經質)이 있으나 밖으로는 표시(標示)하지 않고 정치생활(政治生活) 외교(外交) 사교(社交) 군인(軍人)으로서 전공(戰功)을 세우는데 별 취미가 없다.

 

다. 직업(職業)

작가(作家) 교원(敎員) 철인(哲人) 연구발명가(硏究發明家) 설계사(設計士) 참모(參謀)나 기사(技士)로 적업(適業)이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비견(比肩)이 병위(病位)면 형제자매(兄弟姉妹)에 질병(疾病)이 있고

식신(食神)이 병위(病位)면 식도(食道)에 병(病)이 있거나 병(病)에 걸려 눕는다.

관살(官殺)이 병위(病位)면 자녀(子女)가 잔질(殘疾)이 많거나 신분(身分) 직위(職位)가 미천(微賤)하다.

인수(印授)가 병위(病位)면 부모(父母)가 유고(有故)하고 부모덕(父母德)이 없다.

재성(財星)이 병위(病位)면 처궁(妻宮)에 질액(疾厄)이 있거나 자산(資産)이 쇠락(衰落)한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에 병위(病位)면 선대(先代)가 곤궁(困窮)하고 어릴 때 건강(健康)이 좋지 않다.

(2) 월지(月支)에 병위(病位)면 부모형제중(父母兄弟中) 유고(有故)하거나 청년기(靑年期)에 운기(運氣) 쇠퇴(衰退)하고 병(病)이 많거나 가사(家事)로 인(因)하여 마음 아픈 일이 있다.

(3) 일지(日支)에 병위(病位)면 다정다감(多情多感)하고 어릴 때 병약(病弱)하며 부모연(父母緣)과 처연 (妻緣)이 박(薄)하다.

양일간자(陽日干者)는 진취성(進就性)이 있으나 성질(性質)이 급(急)하다.

음일간자(陰日干者)는 활발하지 못하다.

형제(兄弟)가 있으면 사이가 좋지 못하고 힘이 되기 어렵다.

여명(女命)에 무신(戊申) 임인(壬寅) 계유일생(癸酉日生)은 다재다능(多才多能)하지만 고독(孤獨)하다.

(4) 시지(時支)에 병(病)이면 말년(末年)이 좋지 않고 자식(子息)으로 인(因)한 근심 걱정이 있다.

 

11. 사(死)

 

가. 의의(意義)

만물(萬物)이 병(病)들고 죽음이 사람의 수명이 다하여 죽음과 같다.

오곡백과(五穀百果)가 다 익어 모체(母體)에서 분리(分離)하는 시기(時期)에 해당(該當)한다.

이별(離別)의 고통(苦痛)이요, 만물(萬物)의 정적지상(靜寂之象)이다.

사고(思考)만이 깊어 사색(思索)과 연구(硏究) 명상(瞑想)과 기도(祈禱) 등(等)에 관심(觀心)을 갖는다.

 

나. 특징(特徵)

성품(性品)이 고요하고 자성(資性)이 담백(淡白)하여 정직(正直) 근면(勤勉) 노력(努力)하는 상(象)이다

매사(每事)에 순종(順從)하고 복종한다.

인자(仁慈)하며 타인(他人)에게 동정을 기울이는 호인(好人)이다.

 

다. 직업(職業)

학자(學者) 연구가(硏究家) 발명가(發明家) 종교인(宗敎人) 문예작가(文藝作家) 기획조정관(企劃調定官) 설계자(設計者) 효자(孝子) 효부(孝婦) 등(等)이 많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1) 비견(比肩)이 사지(死地)면 형제자매(兄弟姉妹)의 발전(發展)이 없고 어려움을 겪는 상(象)이다.

(2) 재성(財星)이 사지(死地)면 가산(家産)이 도괴(倒壞)한다.

(3) 식신(食神)이 사지(死地)면 의식주생활(衣食住生活)에 어려움이 많고 재화(財貨)가 줄어든다.

(4) 관성(官星)이 사지(死地)면 명리(名利)를 구(求)하지 않는 것이 좋고 여명(女命)은 남편(男便)과 생 별(生別) 사별(死別)하게 된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가 사위(死位)면 선대(先代)가 빈천(貧賤)하였다.

(2) 월지(月支)가 사위(死位)면 부모형제(父母兄弟)와 인연(因緣)이 박(薄)하고 고독(孤獨)하다.

(3) 일지(日支)가 사위(死位)면 어려서 큰 병(病)을 앓거나 부모생존중(父母生存中)에는 유산(遺産)을 받을 수 없다.

처(妻)도 신병(身病)이 있거나 처연(妻緣)이 박(薄)하다.

자식(子息) 얻기가 어렵고 사자(嗣子) 때문에 근심을 한다.

을해일(乙亥日) 경자일생(庚子日生) 여명(女命)은 해(害)가 심(甚)한 것으로 극부(剋夫)하거나 좋은 자 식(子息) 얻기 어렵다.

(4) 시지(時支)에 사위(死位)면 자식(子息)의 인연(因緣)이 약(弱)하다.

말년운(末年運)이 나쁘다.

 

12. 묘(墓)

 

가. 의의(意義)

만물(萬物)이 창고(倉庫)에 저장(貯藏)됨과 같고 사람이 죽어 묘(墓)에 들어가는 것 과 같다.

곡식(穀食)을 창고(倉庫)에 저장(貯藏)하고 현금(現金)을 은행(銀行)에 예치(豫置)하는 것 과 같다.

하루의 일과(日課)가 끝나면 가정(家庭)에 돌아가 잠자리에 드는 것과 같다.

사람이나 동물(動物)이 죽으면 매장(埋葬)하는 것과 같으니 완전(完全) 정적(靜的)이면서도 가장 안정 (安定)된 상태(狀態)이다.

 

나. 특징(特徵)

매사(每事)에 침착(沈着)하고 안정(安定)함을 위주(爲主)로 하여 견실(堅實)하고도 안정(安定)된 생활(生活)로서 봉급생활(俸給生活) 부동산(不動産)을 이용(理容)한 고정수입(固定數入) 등(等)에 생활(生活) 근거(根據)를 두게 된다.

내핍생활(耐乏生活)로서 낭비(浪費) 허식(虛飾)없이 건전(健全)하고도 실리적(實利的)인 생활(生活)을 추구(追求)한다.

 

다. 직업(職業)

모든 것을 끌어들여 쌓아 놓으려는 성질(性質)로 인색(吝嗇)하다.

종교인(宗敎人) 학자(學者) 미술가(美術家) 은행원(銀行員) 장의사(葬儀社) 창고업(倉庫業) 보관업, 관리인(管理人) 계리사(計理士) 전당포(典當鋪) 등(等)이 적업(適業)이다.

 

라. 십신(十神)과의 관계(關係)

재성(財星)이 입묘(入墓)면 현금축재(現金蓄財)를 하며 출납(出納)하지 않는 수전노상(守錢奴象)이다.

비겁(比劫)이 묘지(墓地)면 형제(兄弟)가 편안(便安)한 곳에 안주(安住)하거나 혹(或) 알지 못하는 사이에 입옥(入獄)하거나 사별(死別)하기도 한다.

식신(食神)이 입묘(入墓)면 물자(物資)를 저장(貯藏)하고 재산(財産)을 저축(貯蓄)하나 때로는 요절(夭折)하기도 한다.

상관(傷官)이 입묘(入墓)면 학예(學藝) 전당(殿堂)을 일으키고 기예(技藝)로서 명성(名聲)을 날리나 요절(夭折)하기도 한다.

관성(官星)이 묘위(墓位)면 직위(職位)와 명리(名利)는 기대(期待)할 바 없다.

인성(印星)이 묘위(墓位)면 선영(先塋)의 정기를 받고 윗사람으로부터 혜택(惠澤)을 입으며 지혜(智慧) 의 계시(啓示)를 받는다.

 

마. 명주(命柱)와의 관계(關係)

(1) 년지(年支)에 묘(墓)면 선조(先祖)의 묘(墓)를 치산(治山)하며 끝자식이라도 선조(先祖)의 묘(墓)를 돌본다.

(2) 월지(月支)에 묘(墓)면 부모(父母) 형제(兄弟) 처(妻)와 인연(因緣)이 박(薄)하고 남 때문에 출비(出費)가 많다.

월일(月日)이 충(沖)하면 부잣집에 태어나서 재록(財祿)을 얻는다.

운(運)이 늦게 열리고 장남(長男)이든 차남(次男)이든 봉묘(奉墓)한다.

(3) 일지(日支)에 묘(墓)면 부모(父母) 형제(兄弟) 처(妻)와 인연(因緣)이 박(薄)하고 고향(故鄕)을 떠나 타향(他鄕)에서 곤고(困苦)한 생활(生活)을 하고 주거이동(住居移動)이 빈번(頻繁)하다.

가난한 집에 태어난 사람은 중년이후(中年以後) 발복(發福)하고 부가출생자(富家出生者)는 중년(中年) 때부터 쇠퇴(衰退)한다.

여명(女命)으로 정축(丁丑) 임진일생(壬辰日生)은 부연(夫緣)이 박(薄)하고 남편(男便)으로 인(人)하여 근심 걱정이 있다.

(4) 시지(時支)에 입묘(入墓)하면 신체허약(身體虛弱)하고 자식(子息)으로 인(因)하여 근심걱정이 있다.

 

갑(甲)기준 

겨울(水)

봄(木)

여름(火)

가을(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십이운성(十二運星)과 사맹(四孟), 사정(四正), 사계(四季) 기타..

십이운성(十二運星)은 태(胎), 중(中), 말(末)이라는 삼단계 순환운동(循環運動)을 계속하고 있는데 이 를 사맹(四孟) 인신사해(寅申巳亥), 사정(四正) 자오묘유(子午卯酉), 사계(四季) 진술축미(辰戌丑未)로 나눌 수 있다.

1. 사맹(四孟) 사맹(四孟)이란 인신사해(寅申巳亥)를 말하는데 인(寅)은 병화(丙火)의 장생지(長生地), 신(申)은 임수 (壬水)의 장생지(長生地), 사(巳)는 경금(庚金)의 장생지(長生地) 해(亥)는 갑목(甲木)의 장생지(長生地) 가 된다.

이 장생지(長生地)를 발생지국(發生之局)이라 하여 사물(事物)에 대한 발명(發明), 발상(發想), 개발(開發), 창의(創意), 설계(設計), 계획(計劃), 창조(創造)의 특성(特性)을 갖는다.  

2. 사정(四正) 사중(四仲) 또는 사패(四敗)라고 말하는데 자오묘유(子午卯酉)가 이에 해당(該當)한다. 사정(四正) 또는 사중(四仲)이란 말은 기세(氣勢)의 순수(純粹)한 정기(正氣)란 의미도 되며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한가운데 달이 됨을 나타내는 말이다.

인신사해(寅申巳亥)가 각 계절의 첫 달인 맹월(孟月)이 됨에서 비교(比較)되는 말이다. 사패(四敗)란 십이운성상(十二運星上) 목욕지(沐浴地)에 해당함을 말한다. 갑목(甲木)은 자(子)에서 욕지(浴地)가 되고 경금(庚金)은 오(午)에서 욕지(浴地)가 되며 임수(壬水)는 유(酉)에서 욕지(浴地)가 되고 병화(丙火)는 묘(卯)에서 욕지(浴地)가 된다.

사정(四正)은 양인(羊刃)으로서 강왕(强旺)한 기운(氣運)을 나타내며 불굴(不屈)의 의지(意志)와 강인 (强忍)한 정신투쟁(精神鬪爭), 실력행사(實力行使)를 뜻한다. 사욕지(四浴地)는 옷을 벗고 목욕(沐浴)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조관념(貞操觀念)의 결핍(缺乏), 낭비(浪費), 사치(奢侈), 정신적(精神的)인 혼미(昏迷), 풍파(風波), 망신(亡身)을 뜻한다.  

3. 사계(四季) 사묘(四墓) 또는 사고(四庫)라고도 말하며 진술축미(辰戌丑未)를 말한다. 사계(四季)란 하나의 계절(季節)의 마지막 달을 말한다.

3월은 진월(辰月)로서 봄의 마지막이 되고 6월은 미월(未月)로서 여름의 마지막이 되고 9월은 술월(戌月)로서 가을의 마지막이 되고 축월(丑月)은 12월로서 겨울의 마지막이 된다.

사묘(四墓) 사고(四庫)란 가을에 거두어들인 곡식을 창고(倉庫)에 저장(貯藏)을 하거나 죽은 시신(屍身)을 무덤에 매장(埋葬)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사묘(四墓)는 사물(事物)의 종료(終了), 저장(貯藏), 보관(保管), 흡수(吸收), 종합(綜合), 조화(調和)의 뜻을 내포(內包)하고 있다.

이같이 만유사물(萬有事物), 인간(人間)의 생로병사(生老病死)는 시작(始作), 성장(成長), 결실(結實), 죽 음이라는 과정을 밟아 부단(不斷)한 순환질서(循環秩序)를 되풀이 하고 있는 것이다.

사주추명학(四柱推命學)에서 유기(有氣), 무기(無氣)를 말하는데 유기(有氣)란 십이운성상(十二運星上) 태(胎), 양(養), 생(生), 욕(浴), 대(帶), 록(祿), 왕(旺) 이 칠운(七運)을 말하고 무기(無氣)란 쇠(衰), 병 (病), 사(死), 묘(墓), 절(絶) 이 오운(五運)을 말한다.

이는 일간(日干) 중심(中心)으로 이야기할 때도 있고 용신(用神) 중심(中心)으로 이야기 할 때가 있다.

※ 십이운성(十二運星)을 귀(貴), 평(平), 기(忌)로 분류(分類)한다면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사귀(四貴) ∼ 장생(長生) 관대(冠帶) 록(祿) 묘(墓) 사평(四平) ∼ 태(胎) 양(養) 제왕(帝旺) 쇠(衰) 사기(四忌) ∼ 사(死) 절(絶) 욕(浴) 병(病)  

※ 십이운성을 구분하여 활용하는 3가지 방법.

1. 봉(逢)하는 十二運2. 거(居)하는 十二運3. 인종(引從)하는 十二運.

봉(逢)하는 십이운이란, 日干을 年月日時 4 地支에 각각 대비해 십이운성을 정하는 법.

거(居)하는 십이운이란, 生年月時 각각의 天干에서 아래의 地支와 대비하여 십이운을 정하는 것으로서 대운. 세운에도 응용.

인종(引從)하는 십이운이란, 사주중의 각 六親의 天干과 대운. 세운의천간을 생년월일시및 대운. 세운의 지지에 각각 끌어당겨서 십이운을 정하고 파악해보는 방법.

예를 들면 일지에 官星의 묘(墓)가 있는 女命이라면 남편의 자리에 무덤을 가지고 있는 형태로 남편과의 인연이 박하거나 항상 근심걱정을 묻어두고 살게  된다는. 또 대운이나 세운에서 관성의 묘운(墓運)이 와도 마찬가지의 해석을 내리는 것임. (참조만 하시라는...)

* 丙火와 戊土, 丁火와 己土는 즉 火土는 同宮이라 하여 십이운성이 모두 같음.

 

ps ; 학우님들 중에는 최근에 나온 서적들 중에서 "신살"은 무시해도 좋다 !.라는 말에 고무되어 이 "십이운성"에 대해서 질문들 많이 하시는데..

취사선택은 어느 정도 공부가 무르익어 나름 자신만의 관법을 갖추기 시작하는 단계여야지, 아직 초급, 중급 수준에서부터 "젓가락질" 하시면 나중에 다시 되돌아 오게 됩니다.

맞다! 틀리다! 확신을 갖기도 전에 "골라보기"하다보면 얼치기 도사가 됩니다.

편식하는 습관은 공부하는 바른 자세가 아니지요, 아, 이런 것도 있구나 ! 하고 진중하게 살펴야지요.

이것이 옳다!, 그르다!. 할 수 있는 수준에 올라 설 때까지는 "논하되, 평하지 마시길,,"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