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口)을 속인다(欺)
唯有一物可欺-오직 속일 수 있는 물건이 딱 하나 있다.
卽自己口吻-그것은 바로 자기의 입(口)이다.
須用薄物欺罔-거친 음식이라도 잘 씹고 속여
瞥過暫時-넘겨서 잠시 잠깐 지나간다면
斯良策也-이것이 좋은 방법이다.
今年夏-올 여름
余在茶山-나는 다산(茶山)에 있었다.
用萵苣葉包飯-상치 잎에 밥을 얹어 쌈을 싸서 먹었다.
客有問者曰-어떤 손님이 물었다.
包之有異乎菹之乎?-싸서 먹는 것이 절여 먹는 것과 뭐가 다른가요?
余曰-내가 말했다.
此先生欺口法也-이것은 내가 입을 속이는 방법이라네.
每喫一膳-매번 한 끼를 먹을 때마다
須存此想-이 같은 생각을 지닌다면
不要竭精殫智-정력과 지혜를 쏟아
爲溷圊中效忠也-뒷간(화장실)을 위해 충성할 필요가 없다.
다산(茶山)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조선 후기 최고의 학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저술을 총정리한
문집(文集)으로 154권 76책의 활자본이다.
“여유(輿猶)”는 노자(老子)에 나오는 말이다.
여(與)는 (豫라고도 하는데)와 여(猶)는 원래 짐승이름이다.
의심과 겁이 많아 소리만 나면 나무 위에 올라가 숨는다.
“여유(輿猶)”는 매사에 조심하라는 뜻이다.
다산이 강진 유배 18년을 생각하며 남은 인생 조심하며 살아야겠다고
당호(堂號집이름)를 “여유(輿猶堂)”이라 짓고 자식들에게도
함부로 나서지 말고 마치 코끼리가 얇은 얼음판위을 걷듯
조심하며 살라고 교훈하였다.
다산(茶山)선생은 역사의 명성(名聲)과는 다르게 사생활은 불행한
사람이다
자식을 모두 6남 3녀를 낳았는데,
살아남은 아이가 2남 1녀이고,
죽은 아이가 4남 2녀이니,
죽은 아이가 살아남은 아이의 두 배다.
다산 선생의 마음이 어떻겠는가 !
그중 한 아들의 이름을 벼슬하지 말고 농사나 지으면서 조용히
살라고 “농(農)”이라고 이름을 지었는데 이 아들도 죽었다.
“아아, 내가 하늘에 죄를 지어 이처럼 잔혹하구나.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
※정약용 선생의 호(號)인 “다산(茶山)”은 정약용 선생이 18년 동안
강진유배생활 중에 10년 동안 머물렀던
전남 강진군 귤동(橘洞)마을 다산초당(茶山草堂)의 뒷산의 이름이다.
이 산길을 넘어가면 다산(茶山) 선생의 외갓집인
고산(孤山) 윤서도(尹善道)의 녹우당(綠雨堂)이 나온다.
필자는 40년전 이 “다산(茶山)”의 산길을 걸어 녹우당(綠雨堂)을
답사하였다.
(쓰다 보니 원제목 글보다 다산선생의 글이 길어졌다.)
잘 씹어 삼키고 말을 똑똑하게 잘하려면 입안이 건강해야 !!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가량인 일본에서는 어디서나
나이 들어도 활력 있게 지내려면 씹고 말하고 삼키는 입안(口腔)
기능 운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입안(口腔) 기능이 떨어지면 음식물(飮食物)을 씹는 능력(咀嚼)이 떨어진다.
점차 씹기가 힘들어진다.
자연히 물렁하고 부드러운 음식만 찾게 된다.
입안(口腔)의 기능이 약해져 힘 있는 입놀림 운동은 할 수 없게 된다.
입안도 신체의 일부이기 때문에 팔다리 힘없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런 악순환이 지속되면 입맛이 떨어(食慾低下)지고
영양 부실로 인하여 근육감소증(筋肉減少症)과 나이에 비하여
노쇠현상(老衰現狀)이 이곳저곳에서 나타난다.
얼굴에 팽팽함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입안건강이 전신건강의 입구(入口)라는 말이 나온다.
입안건강 기능의 원활함은 혀, 입술, 볼등 입의 천장 부분으로
코안과 입안의 경계선 부분이다.
입술은 음식물을 씹어 부술(咀嚼)때 입을 다물어 입안(口腔)의
압력을 유지하고 음식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안쪽으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한다.
볼은 혀와 함께 음식물을 윗이빨 아랫이빨이 맞닿는 부분(咬合面)에
놓게 하여, 음식이 잘 씹히어 어깨 지도록 한다.
입천장 입 안의 윗벽(口蓋)은 입안(口腔)의 벽인데
혀가 음식을 밀어 올려서 그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혀(舌)는 입안(口腔)에서 음식의 딱딱한 정도, 형태, 위치, 음식물 이동을
느끼어 알게(感知)하며 음식물(飮食物)을 씹는(咀嚼) 기능 전체를
지휘한다
혀(舌)는 입속에서 나오는 침샘(唾液) 분비(分泌)를 촉진(促進)하여
소화를 돕는다.
혀(舌)가 맛을 느끼는 감각(味覺)과 촉각(觸覺)으로 삼키기가
적당하지 않은 음식을 걸러낸다.
입안(口腔)의 볼 벽이나 혀등 구조물 대부분이 근육으로 되어 있다.
나이 들어도 근육 훈련을 하면 근육감소증(筋肉減少症)을
막을 수 있듯이, 입안(口腔) 근육과 혀도 평소에 움직이는 운동을
열심히 하면, 입안(口腔) 건강 기능(機能)을 끝까지 잘 지킬 수 있다.
일본 도쿄도립 건강장수의료센터와 도쿄 치과의사회는 입안(口腔) 기능
운동 방법을 만들어 매일 훈련하도록 권장한다.
국민체조 캠페인 벌이듯 지역사회마다 입안(口腔) 기능 체조 필요성을
알리고 입안병 예방 지도자를 통해 체조 방법을 전파하고 있다.
입안(口腔) 기능 체조는 입안(口腔)뿐만 아니라, 입안(口腔) 주변의
목과 어깨, 팔 운동을 포함하고 있다.
입안(口腔) 주변이 부드러워야(柔軟) 말도 바르게 하고, 음식물도
잘 씹고 삼킬 수 있다는 의미다.
입안(口腔) 운동은
숨을 크고 깊게 들이쉬었다가 한 번 참고, 입을 오므려서 천천히
내쉬게 하는 복식호흡(腹式呼吸)도 입안 운동에 도움을 준다
항상 목을 앞뒤 옆으로 부드럽게 움직이는 운동을 하면 음식물을
삼키는 동작에 도움을 준다
삼킴 근육과 혀 근육 강화를 위해서는 입을 천천히 최대한 벌리는 동작을
추천한다.
입을 꽉 다물고, 입술 양끝에 힘을 주며 어금니를 꽉 물면 좋다
혀 기능을 위해서 입을 크게 벌리고 혀를 최대한 빼낸다.
수시로 혀끝으로 윗입술 만지면 좋다.
입을 다물고 뺨을 최대한 고무풍선처럼 부풀리고 수축하는 운동은
입술을 둘러싼 모든 뺨 근육을 튼튼하게 만든다.
도쿄 건강장수의료센터 연구부장을 역임한 김헌경 박사는
"입안(口腔)기능이 떨어지면 사회적 활동도 줄고 무엇을 보고 판단하는
기능(認知機能) 저하 치매가 까지 온다”며
“매일 꾸준히 입안(口腔) 기능 체조를 하면 음식물(飮食物)을 씹는(咀嚼)
기능과 삼킴 능력이 발전하고 건강해 진다는 것이 논문 연구로
입증됐다“고 말했다.
(위의 내용은 2024.03.28. 조선일보 의학전문기사이다
기사내용이 대부분 의학용어가 어려운 한자어(漢字語)로 되어 있어
“그것도 한자가 없는 한글로만 쓰여 있기에”
필자가 우리말로 읽기 좋게 풀어쓴 것이다)
※덧붙이는 글
위의 내용은 한 3년 전인가?
필자의 친구 한사람이 차를 마시면서
“농월 양볼에 바람을 넣어 고무풍선을 만들고 혀와 입을
좌우로 돌리고 얼굴을 찡그리는 입운동을 하세요”라고 했다
그 후로 아마 1년은 열심히 한 것으로 일기장에 적혀있다
게을러서 하다 안하다 했는데 지금 이 기사를 보니
친구 생각이 나서 얼굴 운동을 다시 해야겠다.
농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