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 50:22-26 요셉이 백십 세에 죽으매
22 요셉이 그의 아버지의 가족과 함께 애굽에 거주하여 백십 세를 살며
23 에브라임의 자손 삼대를 보았으며 므낫세의 아들 마길의 아들들도 요셉의 슬하에서 양육되었더라
24 요셉이 그의 형제들에게 이르되 나는 죽을 것이나 하나님이 당신들을 돌보시고 당신들을 이 땅에서 인도하여 내사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맹세하신 땅에 이르게 하시리라 하고
25 요셉이 또 이스라엘 자손에게 맹세시켜 이르기를 하나님이 반드시 당신들을 돌보시리니 당신들은 여기서 내 해골을 메고 올라가겠다 하라 하였더라
26 요셉이 백십 세에 죽으매 그들이 그의 몸에 향 재료를 넣고 애굽에서 입관하였더라
요셉은 애굽의 권세와 풍요 속에서도 하나님의 약속을 바라보며, 이스라엘 자손이 언젠가 약속의 땅으로 돌아갈 것을 확신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죽은 후에라도 자신의 유골을 가나안으로 옮길 것을 유언합니다.
요셉의 죽음(22-24) 요셉은 110세까지 장수하며 에브라임의 후손까지 보는 복을 누렸습니다. 하지만 애굽의 안락한 삶에 만족하지 않았고 이스라엘 자손이 언젠가 약속의 땅으로 돌아갈 것을 확신합니다. 그는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고 형제들과 후손을 불러 하나님께서 반드시 이스라엘을 돌보시고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실 것이라고 강조하며 유언을 남깁니다. “반드시 돌보실 것이다”라고 표현을 반복하며, 강한 믿음을 나타냅니다(24, 25). 아울러 자신의 유골을 가나안으로 옮겨달라고 요구하면서 즉시 매장하기보다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인도해 내실 때 함께 옮길 것을 당부하는 것입니다. 이는 그의 유언이 단순한 당부가 아니라 후손들에게 출애굽을 기억하고 기대하게 하는 신앙적 선언이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결국, 이 맹세는 대대로 전해졌고, 출애굽 때 모세가 요셉의 유골을 가지고 나왔으며, 가나안 정착 후 여호수아가 이를 세겜에 장사하는 것으로 성취되었습니다.
요셉의 유언(25-26) 창세기는 요셉의 죽음과 애굽식 장례로 마무리되지만 그의 유언은 출애굽을 예고합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언약 성취를 기대하게 만듭니다. 창세기가 창조로 시작하여 죽음으로 끝나지만, 이는 단순한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요셉은 애굽에서 총리가 되어 큰 권세를 누렸지만, 하나님의 약속을 바라보며 이 땅의 풍요와 안락함에 안주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죽은 후에도 자신의 유골을 통해 하나님의 약속을 실현하려 했고, 이를 통해 성도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 나라를 실상으로 여기며 살아가야 한다고 교훈합니다. 우리도 요셉처럼 현재의 삶이 아닌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하며 살아야 합니다. 그의 삶과 유언은 믿음의 후손들에게 신앙의 본이 되었고, 이 땅의 삶을 넘어 하나님의 언약을 바라보는 믿음의 자세를 깨닫게 합니다.
적용: 요셉처럼 이 땅의 안락함에 만족하지 않고, 하나님의 약속을 믿으며 영원한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는 신앙인이 됩시다.
파괴력이 가장 강한 무기는 사람을 다치게 하는 창이 아니다. 성벽을 무너뜨리는 공성포가 아니다.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다. 말은 핏자국 한 점 남기지 않고 인생을 망가뜨릴 수 있으며, 말로 인해 생겨난 상처는 결코 아물지 않는다. 그러니 우리는 혀를 잘 간수하고 말의 노예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파울로 코엘료 <아크라 문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