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강 서 론 교재 p. 2
시설원예는 크게 1부 총론과 2부 각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총론에서는 시설원예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함께 시설의
종류, 구조, 건립의 기초, 자재 등을 소개합니다. 또한 시설
내에서 형성되는 특이환경을 온도, 광, 수분, 토양, 공기
등으로 구분하여 그들의 환경관리 요령과 함께 알아봅니다.
제2부 각론은 시설재배론으로 채소, 과수, 화훼의 시설재배의
실제를 강의합니다. 오늘은 그 첫 시간입니다.
강의내용
시설원예의 뜻, 중요성, 역사, 현황, 전망
1. 시설원예란
시설 : 온실 greenhouse - glass house, plastic house
blue house, white house, red house
원예 : 경제작물 - 채소, 과수, 화훼의 집약적 재배
시설원예 horticulture under structure, protected horticulture
'유리온실이나 플라스틱 하우스와 같은 시설내에서 채소, 화훼,
과수 등의 원예작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농업의 한 형태
2. 시설원예의 중요성
생산자의 입장에서
- 단경기 생산, 주년생산 : 소득증대
- 계획적 생산, 계획출하 : 상업영농
- 노동의 생력화, 자동화 : 3D 탈출
소비자의 입장에서
- 주년소비이용, 국민보건향상, 정서함양
- 열대과수, 열대화훼 : 소비의 다양화
- 양액재배, 집약관리 : 저공해 청정식품
그 밖의 입장에서
- 완전제어형 농업생산의 기본 이론축적
- 미래형 농업 : 식물공장의 기초이론 정립
- 폐자원 활용 : 폐온수, 폐타이어, 폐열
3. 시설원예의 역사
서양
01세기 : 고대로마 폼페이 유적 정교한 유리온실 발견
운모판을 이용한 오이, 포도 등의 불시재배
16세기 : 유리온실, greenhouse 용어 등장
신대륙탐험, 외래식물도입 유행 - 온풍난방
18세기 : 광환경개선, 온실구조와 지붕경사도 연구
1767년 미국 온실등장, 1790 스팀난방시스템
19세기 : 온실건축, 관리기술개발, 부대시설개발
1851년 런던엑스포상징, 초대형유리온실건립
20세기 : 상업용 재배온실 성행, 규격화와 대형화
컴퓨터도입, 자동제어시스템도입, 식물공장출현
일본
1870년 : 최초로 유리온실 도입
1900년 : 영리재배용 유리온실 - 포도, 멜론, 토마토 재배
1951년 : 플라스틱 필름(염화비닐) 개발
한국
1920년 : 대전지방 유지창(paper house) - 오이, 가지재배
1930년 : 전북 익산 유리온실 처음 건립 - 딸기촉성재배
1951년 : 김해지방 비닐하우스 설치 - 채소재배시작
1954년 : 하우스피복자재 P.E. 필름 국내생산 시작
1969년 : 농림부 하우스 시설 표준화 사업 시작
1987년 : 시설원예연구회 창립
1991년 : 한국생물생산시설환경학회 창립
4. 시설원예의 현황
세계의 시설원예(면적순) 표 1-1 참조
전체시설면적 : 일본, 한국, 스페인, 터키, 네델란드. 프랑스
유리온실면적 : 네델란드, 독일, 영국, 프랑스, 일본
플라스틱온실 : 일본, 한국, 이탈리아. 스페인, 터키
* 유럽은 유리온실 비중이 크다
일본의 시설원예 표 1-2 참조
시설은 주로 플라스틱 하우스이다(유리 4%)
플라스틱 하우스의 70% 채소, 20% 과수, 10% 화훼
한국의 시설원예 p 10
주요특징 : 면적면에서 세계적인 시설원예국가이다
상업적 재배시설은 주로 플라스틱 하우스이다
작물별로 주로 채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플라스틱 하우스의 현황
주로 논에서 이동식을 이루어진다
시설유형은 터널형과 아치형이다
골격자재는 철재 파이프가 이용된다
피복자재는 PE필름이 주종이다
다중피복의 보온위주로 운영된다
채소의 시설재배의 현황(1997년 자료)
시설면적 시설재배면적 83,875 ha
지역별 : 경남(부산), 경기(서울), 경북(대구)
작물별 : 과채류가 67%, 수 박은 과채류의 37%
화훼의 시설재배의 현황
시설화훼 : 절화생산(국화, 카네이션), 분화생산(난, 관엽)
년차변화 : 1990년 기준 시설>노지 선진국형 생산시대
지 역 별 : 경기, 경남, 서울, 부산 등 대도시 또는 부근
과수의 시설재배의 현황
포도시설재배 : 충북, 대전지방
감귤시설재배 : 제주, 남해안일부
기타시설재배 : 단감, 복숭아, 무화과
* 세계적으로 전 과수에 걸쳐 시설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5. 과제와 전망
주요과제
구조와 자재 : 내구성 자재도입과 표준화 규격사업
환경의 제어 : 제어기술개발, 복합환경제어체계도입
재배관리기술 : 정확한 환경관리 - 생산성 향상
작부체계확립 : 무리한 재배방식 도입 문제크다
품종의 육성 : 노지재배용과 시설재배용을 구분
금후전망
시설원예는 국제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농업분야이다
농산물개방, 무역자유화 시대에 각광받고 있는 농업이다
양액재배와 식물공장은 미래형 농업으로 주목되고 있다
학문적으로 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 크게 발전하고
제2강 시설의 종류와 구조 교재 p. 19
시설의 종류와 구조에 대해 공부한다. 여기서 시설이란 사람이
그 안에서 자유롭게 활동을 할 수 있는 정도여야 한다.
시설원예에서 대상으로 하는 시설은 유리온실과 플라스틱
온실을 말한다. 이들의 종류에 어떤 것들이 있으며 기본적인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는 살펴본다
강의내용
시설의 종류, 기본구조, 설계, 그리고 건립의 기초적 사항
1. 시설의 종류
온실 greenhouse
유리온실 glasshouse
플라스틱온실 plastic house (플라스틱하우스)
1) 유리온실
장점 : 시설의 내구연한이 길다
부대장치 도입이 용이하다
각종 환경관리가 용이하다
단점 : 시설의 건축이 어렵다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유리온실의 종류(지붕모양에 따라)
외 지 붕 형 : 가정용, 취미오락용
스리쿼터 형 : 교육용, 멜론재배용
양 지 붕 형 : 더치라이트형, 곡선지붕형
둥근지붕 형 : 대형 관상식물용
연동형 온실 : 대규모 시설재배용
벤로형 온실 : 시설비절약, 골격율 감소
2) 플라스틱 온실 = 플라스틱 하우스
장점 : 조립 해체 이동이 간편하다
시설의 설치비가 저렴하다
단점 : 시설의 내구년한이 짧다
각종의 환경조절이 어렵다
플라스틱온실의 종류(지붕모양에 따라)
지붕형 하우스 : 외지붕, 양지붕, 스리쿼터형
터널형 하우스 : 대형터널, 반원형 하우스
아치형 하우스 : 양측벽, 곡면지붕, 파이프골격
3) 특수시설
에어하우스(air house)
펠레트하우스(pellet house)
과수재배용온실
이동식,회전식 온실
식물원, 식물공장
2. 시설의 기본구조
1) 유리온실
온실의 크기 : 농가보급형 모델온실
나비 7.5 m X 간고(처마) 1.9m X 길이 50 m
지붕 기울기 : 기후조건(바람, 적설량), 재배작물
일반온실의 적정기울기 26.5 - 29.0 도
2) 플라스틱온실
파이프 아치형 하우스(표 2-2 참조)
단동형 1-1 4.5 X 1.2 X 2.4 m 나비 X 처마높이 X 지붕높이
단동형 1-3
연동형 2-1
농가보급형 현대화 하우스(표2-3 참조)
개략도, 골재 규격 기초피복재 부대장치
개량아치단동형
개량아치연동형
현대화 하우스의 특징
크기를 중 대형화 하였다
골격재를 크게 강화하였다
장치를 반자동, 자동화하였다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3. 시설의 기본설계
1) 온실부재의 명칭
p. 31 그림 2-6 참조, 중요한 명칭 이해
예 : 서까래, 중도리, 왕도리, 갖도리 등
2) 온실하중과 안정성
온실의 하중
고정하중 : 골격자재
적재하중 : 작업시설
적설하중 : 눈적설량
특수하중 : 풍압, 지진력
안정성과 강성
안정성 : 골조의 안정
강 성 : 변형에 대한 저항정도
3) 시설의 구비조건
최악의 기상조건에서도 견뎌야 한다
적정 환경조성에 효율적이어야 한다
재배면적이 최대한 확보되어야 한다
내구년한이 길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시설비가 적게드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시설의 건립기초
1) 시설의 입지
기상환경 : 온난, 일조풍부 - 부산과 김해
토양수리 : 비옥, 배수양호 - 좋은 물 공급
사회경제 : 연로, 노동확보 - 교통과 유통
2) 시설의 방향
동서동 : 외지붕형, 스리쿼터형, 촉성재배
남북동 : 양지붕형, 연동형온실, 반촉성재배
3) 시설의 건립
기반의 조성 : 배수시설, 바닥면, 시설간격 조정
기초의 설계 : 영구시설 - 독립기초와 연속기초
골격의 조립 : 유리온실(전문가),간이시설(농민)
피복재 피복 : 판유리, 경질판, 경질필름, 연질필름
부 대 장 치 : 온도조절, 관수, 전기, 베드, 벤치
제3강 시설의 자재
교재 p. 40 제3장 시설의 자재를 공부한다. 시설의 기본적인 자재는
크게 골격자재와 피복자재로 구분한다. 각종 자재의 종류별 특징을 자세히 알아본다
강의내용
골격자재 - 죽재, 목재, 철재, 경합금재
피복자재 - 기초피복재, 추가피복재
1. 골격자재
시설의 기본 구조물인 골격을 구성하는 이용되는 자재
죽재, 목재 -> 철재 -> 경합금재
1) 죽재
초기, 터널형 하우스
내구년한 3년 정도
11-12월 수확 대나무
2) 목재
초기, 경제적 하우스
편백, 벚나무, 삼나무
적송, 미송, 가문비나무
3) 철재
유리온실 : 형강 - 앵글, 채널, 스퀘어튜브, 파이프
플라스틱온실 : 펜타이트파이프, PVC파이프, 앵글
4) 경합금재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가볍고 다루기가 쉽다, 내부식성이다, 골격율을 낮춘다
2. 피복자재
피복재에 따른 온실의 분류(미국)
glass green house
film plastic green house
rigid panel green house
피복자재의 종류 p. 43 그림 3-2 참조
기초피복재 : 유리온실 - 판유리, 형판유리, 복층유리
플라스틱 - 연질필름, 경질필름, 경질판
추가피복재 : 시설외면 - 거적, 이엉, 메트
소형터널 - 연질필름, 한냉사, 부직포
지면피복 - 연질필름, 반사필름
커튼보온 - 연질필름, 반사필름
차광피복 - 한냉사. 부직포, 네트
1) 기초피복재
유리피복재
유리종류 : 판유리, 형판유리, 산광유리, 복층유리, 열선흡수 유리
보통유리:투명판유리-3혹은mm,가시광선투과율 91%
파장이 짧은 자외선, 파장이 긴 열선은 투과 불가능
플라스틱피복재
가.연질필름 : 두께 0.05 - 0.1 mm의 부드럽고 얇은 플라스틱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염화비닐필름, 에틸렌아세트산필름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PE)
1958년 국내생산 시작, 우리나라 하우스 기초피복의 70% 이상
장점 : 광선투과율이 높다.
서로 달라 붙지 않는다
먼지가 잘 부착되지 않는다
약품에 대한 내성이 크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다
단점 : 내후성이 작아 수명이 짧다
항장력과 신장력이 작다
보온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염화비닐필름(polyvinyl chloride, PVC)
1939년 미국개발, 1950년부터 피복재로 이용
가소제(탄성강화), 열안정제(수지분해 방지),
자외선 흡수제(내후성 강화)를 첨가
장점 : 광선투과율이 높다
보온력이 뛰어나다(장파투과율과 열전도율이 낮음)
항장력과 신장력이 크다
내후성과 강하다
화학약품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
단점 : 먼지가 잘 달라 붙는다(광선투과율 저하)
서로 잘 달라 붙는다(취급 불편)
가격이 비싸다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
PE 와 PVC의 중간
특징 : 광선투과율이 높고, 항장력과 신장력이 크며, 먼
지 부착이 적고 화학약품에 대한 내성이 큰 것
외에 저온에서 굳지 않느다
고온에서 흐물되지 않는다
가스발생이나 독성이 없다
나. 경질필름
두께 0.1 - 0.2 mm 플라스틱 필름
종류 : 염화비닐과 폴리에스테르 필름
경질염화비닐 필름 : 수명 3년
자외선 투과율은 낮다
장파장 투과율은 높다
내충격성이 큰 편이다
인장강도가 낮다
유적성이 나쁘다
경질 폴리에스테르 필름 : 수명 7-8년
장파장의 투과가 잘 안된다
보온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인장강도가 크고 유정이 좋다
자외선투과형과 차단형이 있다
다. 경질판
두께 0.2 mm 이상의 플라스틱판
종류 : FRP, FRA, MMA, 복층판
FRP fiber reinforced polyester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유리섬유 보강
충격에 강하고 굽힘강도 보유, 열수축 무
수명이 길어 8 - 10년 연속 사용가능
FRA fiber reinforced acryl
아크릴 수지에 유리섬유를 샌드위치 처럼 주입
내후성이 크고 광선 투과율이 높다
산광성 피복재로 자외선 투과율이 높다
MMA polymethyl methacrylate
유리섬유를 추가하지 않는 100% 아크릴 수지판
유리와 같은 광선투과율에 보온성이 뛰어나다
내충격성이 떨어지고 열에 의한 팽창과 수축이 크다
복층판 double wall skin
4 - 20mm 공간을 갖는 2중 구조의 중공판
아크릴 복층판, 폴리 카보네이트 복층판
커튼 1겹과 같은 보온성을 나타낸다
값이 비싸고 광선투과율이 낮다
2) 추가피복재
추가피복목적 : 보온, 차광, 보광 등
추가피복종류 : 외면, 지면, 터널, 커튼, 차광
주요 추가피복재
반사필름 : 알루미뉼분말 혼입필름, 알루미뉼박필름, 알루미늄증착필름
부 직 포 : 폴리에스테르 긴 섬유로 짠 천 모양의 시트
매 트 : 폴리에틸렌 발포 시트 : 저배율과 고배율
거 적 : 짚으로 만든 피복재, 단열효과가 크다
한 냉 사 : 비닐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실모양 섬유로짠것
네 트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의 노끈 모양의 섬유로 짠 것
제5강 시설의 온도환경
70 p. 시설의 온도환경 중에서 냉방에 대하여 알아본다. 시설에
서 난방, 환기 냉방의 필요성, 종류, 방법 등에 대하여 계속해서 공부한다
강의 내용
1. 시설의 난방
2. 시설의 환기
3. 시설의 냉방
1. 시설의 난방
우리나라는 보온위주의 시설재배를 하고 있다.
보온만으로는 생육적온을 유지하기가 힘들다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위험부담, 재배의 제약,
수량과 품질의 저하, 때로는 치명적 저온장해
적극적인 가온, 즉 난방이 요구된다, 아니면
최소한 보조난방설비라도 갖추는 것이 좋다
비용을 절감하면서 난방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 모색!!
1) 난방설계
가. 난방의 기본요건
① 최악의 기상조건에서도 적온유지
② 설비 및 운전비용이 경제적일 것
부수적으로 고려해야될 것들
균일한 실내온도분포, 정확한 온도조절능력
설비에 의한 차광, 재배면적 잠식, 작업성 제약
나. 난방부하의 계산
난방부하 heating load
적정온도 유지를 목표로 난방하는 동안 실외로 방출되는 전
체 열량가운데 난방설비로 충당해야될 열량
최대난방부하 : 재배기간 중 기온이 가장 낮은 시간대에 소
비되는 열량 난방 설비 용량의 결정지표
기간난방부하 : 재배기간중에 소비되는 열량, 연료소비량 예측에 이용
(1) 최대난방부하
① 열손실과 난방부하
열손실을 고려한 난방부하계산
열손실 : 관류열량(Qt), 환기전열량(Qv), 지중전열량(Qso)
관류열량이 60% 이상을 차지한다
난방부하의 계산
Qg = {Ag(Qt+Qv) + AsQso}fw
여기서 Qg = 난방부하(kcal/h)
Ag = 시설표면적(m2)
As = 시설상면적(m2)
fw = 풍속에 관한 보정계수
열손실의 계산
□ 관류열량
관류열량 -> 피복재를 통과하여 나가는 열
열관류율 -> PE 필름이 가장 높다(표4-7)
열절감율 -> 이중커텐, 외면피복 최고(표4-10)
Qt = ht (θin-θou)(1-fr)
여기서 Qt = 단위면적당 관류열량(kcal/m2/h)
ht = 열관류율(kcal/m2 /h/oC)
θin = 실내설정온도(oC)
θou = 실외설정온도(oC)
fr = 보온피복의 열절감율(%)
□ 환기전열량
틈새환기와 함께 밖으로 새 나가는 열량
환기전열계수를 이용한 환기전열량 계산
Qv = hv (θin-θou)
여기서 Qv = 단위면적당 환기전열량(kcal/m2/h)
hv = 환기전열계수(kcal/m2 /h/oC)
□ 지중전열량
토양표면에서 지중으로 일어나는 열의 이동
시설내외의 기온차에 따른 지중전열량
Qso (kcal/m2/h)= 하향성열류(+), 상향성열류(-)
② 부하계수와 난방부하
난방부하계수란
시설내외의 온도차가 1 oC일 때 단위표면적당, 시간당 방열량
시설별, 보온방법별, 피복자재별 난방부하계수 표 4-10 참조
부하계수를 이용한 난방부하의 계산
Qg = AgU(θin-θou)(1-fr)
여기서 Qg : 난방부하(kcal/hr)
Ag : 온실표면적 ㎡
U : 난방부하계수 kcal m-2hr-1oC-1
θin : 설정실온 oC
θou : 설정외온 oC
1-fr : 보정항
f r : 열절감율
온실난방에 필요한 열량은 대체로 온실의 표면적과 안팎의 온도차에 비례함
③ 난방기용량의 결정
Qb = Qwfh(1+r)
여기서 Qb : 난방기의 용량(kcal)
Qw : 최대난방부하(kcal)
fh : 송풍방식에 의한 보정계수
r : 안전계수
(2) 기간난방부하 Qn
① 하루중 난방부하
최대난방부하에서 1일동안의 난방부하를 나타내면
즉, 일일난방부하 Qd는
Qd(kcal/day) = Ag t1t2U(θin-θou)(1-fr)dt
; t1=난방개시 시간, t2=난방종료 시간
여기서 난방부하계수(U), 보온피복열절감율(1-fr)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Qd = AgU(1-fr) t1t2(θin-θou)dt
; U 평균난방부하계수 (일반난방부하계수보다 25% 적다. 즉,
U = U×0.75)
② 난방디그리아워
하루중 난방부하 계산식에서 적분항을 특정기간동안 적산한 것
난방기간중 시설내외의 온도차를 적산한 것
Heating Degree Hour(DHn, K℃/h)
DHn = ∑[ t1t2(θin-θou)dt]i
지역별, 설정온도별 난방디그리아워 -> 그림 4-15 참조
③ 기간난방부하
난방을 하는 일정기간 동안의 난방부하
기간중 연료소비량을 예측하는 주요지표
Qn = AgU(1-fr)DHn
여기서 Qn : 기간난장부하(kcal)
U : 평균난방부하계수(kcal/㎡/h/℃)
DHn : 난방디그리아워(℃)
n : 적산기간의 일수
③ 연료소요량
Vf = Qn/hη
; Qn : 기간난방부하, Vf : 연료소비량(l), h :연료의 발열량
kcal/l , η : 열이용효율
2) 난방설비
① 난방방식의 결정
스팀, 전열, 난로, 온풍, 온수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최대난방부하, 경제성, 시설규모, 작물에 따라 결정한다
예, 대면적 3000㎡ 이상-스팀, 소면적-온수, 스토브, 멜론-온수
② 난방방식의 종류와 특성
ᄀ. 난로난방 - 석유,연탄, 설치비 저렴 / 가스장해, 온도분포불명
ᄂ. 전열난방 - 전열선, 전열온풍기, 설비, 보수, 작업성, 온도근
절, 소음․유해가스無 소규모에 적합, 운전경비 多
ᄃ. 온수난방 - 온수보일러, 수온조절, 온도분포, 보온력, 내구성
/파이프동결, 설비비
ᄅ. 증기난방 - 스팀보일러, 방열량 多(대규모시설), 고온장해위
험, 취급과 운전면허 요구됨
ᄃ. 온풍난방 - 공기를 덮여 투입, 플라스틱 duct이용
시설, 비용, 가열속도, 작업성/ 보온성 低, 건조,가스장해
3) 난방비 절감대책
온도관리 : 주간과 야간 변온관리
방열억제 : 다중피복,보온력 향상
난방효율 : 자동온도조절장치도입
지중열유입 : 지중열축열장치도입
대체에너지 : 태양에너지, 지열 등
2. 시설의 환기
실내외의 공기를 서로 바꾸어 주는 것
1) 환기의 의의
실내온도의 조절
실내습도의 조절
탄산가스의 공급
유해가스의 배출
2) 환기량의 표시방법
환기량 : 단위시간당 환기에 의한 외부공기의 유입량
환기율 : 환기량을 시설의 바닥면적(상면적)으로 환산
환기횟수 : 환기량을 시설용적(온실용적)으로 환산
이들 3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환기량(㎥/h) = 환기율(㎥/㎡/h) x 온실상면적(㎡)
= 환기횟수(회/h) x 온실용적(㎥)
환기율 = 환기량 ÷ 온실상면적 = 환기횟수 x 온실평균높이
환기횟수 = 환기량 ÷ 온실용적 = 환기율 ÷ 온실평균높이
3) 환기의 종류
자연환기 : 천창과 측창, 출입문을 이용한 환기
내외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환기력
외부바람에 의하여 생기는 풍압력
환기창의 면적 전체표면적의 15%
강제환기 : 외부기온 상승, 자연환기로 역부족
환풍기를 이용한 강제환기가 필요
환기량 ÷ 가동풍량->환풍기수량
3. 시설의 냉방
고정시설의 고온기 시설이용시 환기만으로는 온도를 낮출 수가 없다.
적극적인 냉방이 필요한데 주로 간이냉방법을 이용한다
우리나라는 고온기 공중습도가 높아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1) 냉방의 의의
시설의 주년이용이 가능하다
생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계획생산과 출하가 가능하다
유입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작물해충의 발생이 억제된다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2) 기화냉방법 = 간이냉방법
기화냉방법, 기화냉각법이란
공기와 물이 접촉하면 증발하기 위해 기화열이 필요하다
물의 기화시 기화열로 냉각된 공기를 시설내에 투입하여 냉방
종류 : 팬 앤드 패드, 미스트, 포그방법
① 냉각효율
냉각효율 : 88 p. 하단 참조
공중습도가 낮을수록 냉각효율이 높아진다
즉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차이가 크면 효율이 높다
유입기온과 습구온도가 같을 때 냉각효율은 100%
② 팬 앤드 패드 방법 fan and pad
89 p. 그림 4-23 패드를 만들어 물을 흘러내리고 반대편에
pan을 달아 실내공기를 뽑아내면 젖은 패드를 통과한 공기가
냉각되면서 유입된다
고려사항 : 패드의 충전량, 패드의 면적, 통풍량, 기밀도,
유하수량, 냉각수(지하수)의 수온 등
③ 팬 앤드 미스트 fan and mist
90 p. 그림 4-25 패드 대신에 미스트(50-100㎛ 미세수적) 분무실
제적장치(eliminator) :
100㎛(0.1㎜) 내외수적 즉 기화되지 않은 미세수적을 제거해준다
⑤ 팬 앤드 포그 fan and fog
91 p. 그림 4-26 패드, 미스트 대신에 포그(50㎛ 이하, =0.05mm)
흡기창 설치, 천장에 환기선을 설치, 입기칸막이(큰 물방울 제거)
3) 보조냉방법
분무냉방
지붕분무냉방 : 지붕 바깥에 분무하면 내면에 접한 공기가 냉각
작물체분무냉방 : 관엽식물, 녹지삽목에 적용
기타보조
차광(발, 한냉사), 옥상유수(지붕면 냉각) 열선흡수유리(적외선흡수)
제6강 시설의 광환경
96 p. 제5장 시설의 광환경. 시설의 여러 가지 환경 가운데 광환
경을 공부한다. 광이란 태양에너지로서 식물의 광합성에 절대적으로 필
요한 환경이다. 태양광이 없으면 식물이 존재할 수가 없고 따라서 동물
도 사람도 지구상에서 존재할 수가 없다. 작물과 광환경과의 관계를 시
설재배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본다
---- 강의 내용
1. 광환경과 작물생육
2. 시설내 광환경의 특징
3. 시설내 광환경의 개선
1. 광환경과 작물생육
광환경 : 광질 - 광선의 종류
광도 - 광량, 일사량
일장 - 하루중 낮의 길이
1) 광의 본질
광선(빛)이란
입자이면서 파동의 성질을 지닌 전자파
광원이 무엇이냐에 따라
자연광 : 태양광, 태양복사, 복사에너지
인공광 : 백열등, 형광등, 수은등 등등
태양광(복사에너지, 햇빛)을 설명함
태양을 광원으로 하며 파장이 다른 광선이 혼재한 혼합광
지구에 도달하기까지 흡수, 반사되어 지면에는 약 47% 도달
지면에 도달하는 광선은 300㎚~2500㎚ 사이의 빛이다
320㎚ 이하 - 자외선
700nm이상 - 적외선
380~780㎚ - 가시광선, 지면 수광량의 50%
일사량 또는 광량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이 받는 방사에너지
사용단위 w, cal, ly, lux(조도 ?)
2) 광질과 작물생육
광의 영향 - 광질, 광량, 일장 (일조시간)
광합성, 개화반응, 형태형성
광질 태양광은 혼합광, 파장이 다른(빛의 종류가 다른) 여러 가지 광선
97 p. 표 5-1 광질과 식물생육
시설내외의 광질은 서로 다르다
3) 광량과 작물생육
광량 = 일사량; 빛의 세기 = 광도
단위면적당, 단위시간당의 수광량 - 광합성에 영향
광보상점, 광포화점의 이해
표 5-2 주요채소의 광포화점(포화광도)
광합성에는 광도 외에 광질, 일조시간(일장)도 관여한다
시설내는 광도가 낮아지기 쉽다
4) 일장과 작물생육
일장 = 광주율, 일장반응, 일장효과, photoperiodism
하루 낮의 길이가 식물의 개화, 인경비대, 줄기생장, 낙엽, 휴면,
성표현 등에 영향을 미친다. 개화반응이 중요 !!
일장반응에 따른 식물의 분류
한계일장을 기준으로 단일식물, 장일식물, 중성식물
저온기 시설재배는 주로 단일조건에 이루어진다
일장조절의 농업적 이용 예 - 국화의 차광재배, 전조처리
2. 시설내 광환경의 특징
1) 광질의 변화
피복재의 종류에 따라 가시광선은 비슷하게 투과하나 자외선과 적
외선은 투과율에 차이를 보인다. 예를들면
① 유리 = 판유리
자외선과 장파장(3㎛=3000㎚ 이상)은 전혀 투과시키지 못함
열선흡수유리는 적외선을 잘 흡수한다
② 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 PVC
자외선을 잘 투과시키고 장파장은 유리보다는 투과율이 높다
가소제와 자외선흡수제 첨가로 PE보다 투과율이 낮아진다
③ 폴리에틸렌
피복재 가운데 자외선과 장파장의 투과율이 가장 높다
④ 경질플라스틱판
유리섬유강화판으로 자외선과 장파장의 투과가 억제됨
2) 광량의 감소
골격재에 위한 차광, 피복재의 반사와 흡수, 피복재의 오염, 물방울
① 골격재에 의한 차광
시설의 유형별 골격구조재의 차이 - 차광율이 다르다
유리온실 20%, 대형하우스 15%, 파이프하우스 5%, 에어하우스 0%
② 피복재의 흡수와 반사
가. 반사 : 101 p. 그림 5-1 판유리
내외면에서 반사, 입사각이 커질수록 반사율 증대
나. 흡수 : 무색 투명한 피복재가 1% 흡수
유색, 오염, 물방울 여부와 정도에 따라 흡수율 증가
③ 피복재의 광선투과율
가. 피복재의 종류 : 대전성, 착색여부에따라 투과율의 차이
나. 빛의 종류 : 파장에 따라 투과율이 달라진다
다. 빛의 입사각 : 60o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 - 입사각이 작을수록 투과율은 증가한다
④ 시설의 방향과 투과광량
103 p. 그림5-3, 표 5-4
동서동 > 남북동
시간대에 따라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30%, 최고 68% 차이
3) 광분포의 불균일
원인 - 구조재에의한 부분적인 광차단으로 그늘이 생긴다
피복재에의한 입사각의 차이로 인하여 약광대가 형성된다
약광대의 형성
그림 5-4 남북동의 경우 오전 11시 동측벽에
동서동의 경우는 하루중 계속해서 북쪽벽에
연동형하우스 - 특정부위에 약강대가 형성됨
표 5-5 위치별로 볼 때 북측벽은 조도가 낮다
4) 시설내의 일장조건
외면피복, 다중피복 - 일장단축
인위적인 일장처리, 일장조절
단일처리 - 암막상자, 암막이용
장일처리 - 보광, 교호조명, 광중단
3. 시설내 광환경의 개선
적극적인 방법 : 인공광의 도입, 자연광의 재현, 인공기상실
소극적인 방법 : 시설의 설치방향, 피복재, 보온재의 선택 등
1) 투과광량의 증대와 광의 효율적 이용
① 골격재의 선택
구조재 - 프레임율, 광선차단율을 낮춘다
형강철재, 목재보다는 파이프를 이용(하우스의 경우)
② 피복재의 선택
피복재 -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
아크릴판 > 유리 > 플라스틱필름
무적필름 > 유적필름, 무색필름 > 유색필름
③ 피복재의 세조
가소제의 첨가로 대전성을 가짐
부착되는 먼지를 물로 씻어 내는 것이 좋다
④ 시설의 설치방향
남북동보다는 동서동이 투과광량이 많다
단, 유리온실과 같은 고정시설은 고온기의 지나친 기온상승을 고
려해야하기 때문에 남북동으로 설치한다
⑤ 반사광의 이용
동서동의 북측벽에 반사판을 설치한다
108 p. 그림 5-6 입사각이 35o 일 때 투과광 74%, 반사광 38%
총투과광량 112%, 반사판은 알미늄박
부등식변유리온실 - 전동모터에 의한 조절반사
판을 설치하여태양고도에 따른 반사율을 높힌다
⑥ 산광피복재의 이용
우유색필름, 아크릴판 - 투과광을 분사시킨다
그늘이 없어지고 광분포가 균일해진다
⑦ 경종적 방법
내음성 품종을 선택한다
관엽식물인 엽채류를 선택한다
재식간격을 넗히고 지주재배를 한다
2) 인공광의 도입
부족한 광량을 인공광으로 보충시켜준다
비용 등을 고려, 육묘기간 정도로
인공광의 종류
백열등, 형광등, 수은등, 메탈헬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 강의를 마치면서
시설의 광환경을 공부하였다. 빛과 작물생육간의 관계를 먼저 이해
하고 시설의 광환경은 노지와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불리한 광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몇가지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7강 시설의 공기환경
강의에 들어가면서
우주공간에 분포하는 가벼운 기체성분을 공기라고 한다. 중력권 범위에
있는 지상의 공기를 대기라고 한다. 그리고 공기의 이동을 대류 또는
바람이라고 하는 것이다. 공기의 조성성분이나 바람은 작물생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 노지에서는 공기환경의 조절이 어렵지만 시설에서는 적
극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시설원예는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
에 특별히 공기환경에 관심을 갖게 된다
강의내용
1. 공기환경과 작물생육
2. 시설내 공기환경의 특징
3. 시설의 탄산시비
4. 시설의 유해가스
1. 공기환경과 작물생육
지구 대기권의 이해 - 수개의 권역으로 구분된다
대류권 : 지상 12 km까지. 대기의 80% 집중
각종 기상현상이 일어나는 권역이다
1) 공기의 조성
115 p. 표 6-1 참조 순수한 건조 공기의 성분조성비
질소 78.1%, 산소 21.0%, 아르곤 1%, 탄산가스 0.05%
미량성분, 유해가스, 화분, 분진, 수분, 미생물, 포자 온실효과와 양산효과
2) 공기의 이동
공기의 상하이동 -> 대류
공기의 수평이동 -> 바람
바람의 역할 : 식물에게 유리하게, 불리하게 작용한다
2. 시설내 공기환경의 특성
시설은 외부와 차단되어 노지와 크게 다르다
특정성분의 기체가 크게 높거나 낮다
공기의 이동 즉 바람이 거의 없다
위치별 공기성분의 분포농도가 다르다
탄산가스와 유해가스환경이 중요하다
1) 탄산가스 환경
가. 탄산가스 농도의 감소
저온기 밀폐시설 탄산가스 공급차단
광합성에 의한 주변 탄산가스의 소모
외부 350 ppm, 내부 50 - 125 ppm
지역, 계절, 시설종류에 따라 다르다
나. 탄산가스 농도의 일변화
118 p. 그림 6-2 참조
일출직전 1,500 ppm, 일출후 3시간 350 ppm,오후 1시이후 100 ppm 이하 시설의 종류, 작물의 종류, 기상조건, 토양 유기물의 함량에 따라 다르다
다. 탄산가스의 농도분포
탄산가스이 시설내 위치별 농도분포가 다르다
그 이유는 내부에는 바람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작물이 무성한 곳은 낮고 통로부근은 높다(그림 6-3참조)
2) 유해가스의 환경
토양유기물 분해 - 암모니아가스, 아질산가스
난방기 연소가스 - 일산화탄소, 아황상가스 등
시설내에 축적되기 쉬우며, 피해가 쉽게 나타난다
뒤에 자세하게 설명함
3. 시설의 탄산시비
원예작물에 탄산가스이용
; CA저장, 자가불화합성 타파, 탄산시비
탄산시비란
; 시설내에 탄산가스를 공급하여 생육을 촉진
1) 탄산시비의 의의
탄산가스농도와 광합성량과의 관계 121 p. (그림 6-4 참조)
탄산가스 농도가 증가하면서 광합성이 증가한다
탄산가스 보상점 : 30 - 80 ppm
탄산가스 포화점 : 1,200 - 1,800 ppm
대기중의 탄산가스 농도 350 ppm
시설내부는 탄산가스가 부족되기 쉽다
시설재배의 경우는 탄산가스 공급이 가능하다
2) 탄산시비의 효과
수량증대와 품질향상
3) 탄산시비의 방법
가. 시비량과 시비시기
시비량의 결정
작물별 적정 탄산가스 농도 122 p. 표 6-2 참조
일반적으로 다른 조건이 적당한 경우 1,000-1,500 ppm
시비량 계산식 123 p.
고려사항 : 시설규모, 환기상태, 대기중 탄산가스농도
하루중 시비시기
광합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간대
일출후 1시간 지난후 2-3시간 정도
단계별 시비시기
본잎이 1매(박과채소), 또는 2-3매(가지과 채소) 전개되었을 때 부터
나. 탄산가스 시용방법
액체탄산이용법 - 탄산가스 봄베통 이용
고체탄산이용법 - dry ice의 승화
유기물 연소법 - 천연가스 프로판가스, 석유연소
탄산가스발생제 - 탄산칼슘 + 묽은 산 반응
4. 시설의 유해가스
여러 가지 유해가스가 집적되기가 쉽다
시설작물은 연약하여 민감하게 반응한다
집약도가 높아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1) 유해가스의 종류
시설내에 유입 또는 축적되는 유해가스는 다양하다
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에틸렌, 팬, 불화수소, 염소가스, 유화수소, 염산, 미분진
화학반응에 따라, 독성정도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2) 유해가스의 발생원
126 p. 그림 6-7 참조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 -> 팬, 오존, 불화수소
토양유기물, 유기태질소의 이민화, 암모니아화, 질산화, 탈질작용->암모니아, 질산가스
시설내 난방기의 연소 ->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에틸렌가스 등
3) 유해가스의 피해증상
장해의 발생기작
효소작용교란 ->대사작용 저해 -> 세포, 조직, 기관의 손상
세포의 막투과성, 기공개폐, 세포내 소기관 파괴, 전자전달시스템 의 파괴
유해가스 피해증상
급성장해 또는 가시적 장해 : 반점과 같은 외적피해
만성장해 또는 불가시적 장해 : 황화현상, 체내성분감소나 변질
피해는 잎에 주로 나타난다 128 p. 표 6-3 피해증상 참조
4) 유해가스대책
가, 가스장해에 관여하는 요인들
가스장해는 복합적 요인에 의하여 나타난다(그림 6-9 참조)
화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생물적 요인
나. 가스장해 대책
유해가스의 발생원을 없앤다
오염지대 시설건립 회피
연통이나 가스배출기 설치
유기태,유기질 비료사용주의
가스피해를 빨리 확인한다
잎의 피해증산상 관찰한다
지표식물을 이용한다
천장 물방울의 pH, 전기전도도측정
pH 6.0 이하 - 아질산가스피해
pH 7.0 이상 - 암모니아피해
EC 150 ㎛ho 이상 - 피해예상
환기를 철저히 한다. 강제환기동원
저항성작물을 선택한다
염화칼슘을 엽면살포한다
작물을 건전하게 육성한다
제8강 시설의 수분환경
132 p. 제7장 시설의 수분환경. 시설의 수분환경은 크게 토양수분과 공
중습도로 구분할 수가 있다. 시설은 기초피복재로 말미암아 자연강우
를 차단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인공관수에 의존하게 되고, 수분이나 수
증기는 피복재를 투과할 수 없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가 높아지게 마련이다.
강의내용
1. 수분과 작물생육
2. 시설내 수분환경의 특성
3. 토양수분의 측정
4. 관수시기와 관수량
5. 시설의 관수방법
6. 공중습도의 관리
1. 수분과 작물생육
1) 수분의 역할
다양한 물질의 용매
양분의 흡수와 이동
효소활성, 대사작용
광합성의 기본재료
세포팽압, 체형유지
증산, 식물체온유지
2) 수분함량과 생육
작물은 많은 수분을 함유한다 - 초본성 작물 70 - 95%
작물은 많은 수분을 요구한다 - 요수량 300 - 500 g
134 p. 표 7-1 참조
수분이 부족하면
수분이 지나치면
2. 시설내 수분환경의 특성
1) 토양수분환경
자연강우가 차단된다
증발산이 심해 건조하다
지온이 낮고 근계가 빈약하다
작물의 수분흡수가 억제된다
단열층-수분상승이동을 억제
2) 공기습도환경
노지에 비해 공중습도가 높다
증산작용과 광합성이 억제된다
작물이 도장하고 병해가 많다
3. 토양수분의 측정
1) 토양수분의 표시
백분율 % : 중량이나 용적의 백분율 percent
장 력 pF : 토양수분의 장력 tension
토양수분장력 pF potential force
토양입자가 수분을 흡착하여 유지하는 힘
흡착된 수분을 분리제거하는데 필요한 힘
-> 단위면적당의 기압(bar), 또는 수은주 높이로 측정
편의상 수은주 높이를 물기둥(수주) 높이로 환산
pF -> 수주높이의 상용대수
토양수분과 기압, 수주, pF치와의 관계 136 p. 표 7-2 참조
2) 토양수분의 종류와 수분항수
토양수분의 종류
중력수 pF 0-2.7 일부는 작물에 유효
모관수 pF 2.7-4.2 작물에 유효한 수분
흡착수 pF 4.2-7.0 입자표면에 박막형성
수분항수 : 토양수분의 상태 구분
최대용수량
포장용수량
위조계수 ; 위조점
흡착계수
3) 토양수분의 측정
중량법, 중성자산란법, 토양수분장력계법, 흡습체(석고불록)이용법
토양수분장력계 tensiometer
그림 7-1 유공초벌구이컵, 압력계, 파이프관과 튜브
4. 관수시기와 관수량
1) 관수시기의 결정
결정방법의 2가지
토양수분장력을 측정하여 결정
수면 증발량을 측정하여 결정
토양수분장력 이용법
토양수분장력을 측정-> 포장용수량과 위조점사이에서 관수
표 7-4 주요 채소별, 생육단계별 관수개시점(pF치)
시설재배의 관수개시점은 대체로 pF 2.0 전후이다
즉 노지재배시의 pF 3.0 보다 낮아 다습하게 관리
그 이유는 ; 시설작물은 밀식으로 수분이 부족하기 쉽다
다비재배로 염류농도장해가 발생하기가 쉽다
2) 관수량의 결정
포장용수량으로부터 관수직전의 토양수분함량을 뺀 차이
여기에 근군의 깊이, 유효관수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R = (fc-w)/100 x D
여기서 R : 근군부위 포장용수량 상채로 보충할 1회 관수량 (mm)
fc : 포장용수량(용적, %)
w : 관수직전의 토양함수비(용적, %)
D : 근군의 깊이(mm)
관수량 계산 예
토층 30 cm 포장용수량 25% 관수직전 토양함수비 22%
1회관수량 (25-22)/100 x 300mm = 9mm
유효관수율 90% 9mm x (100/90) = 10 mm
부피로 환산하면 1m x 1m x 1mm = 1000cc(1l)
1 ㎡ 당 10 mm 인 경우 10 l
5. 시설의 관수방법
관수방법의 여러 가지
호스관수, 고랑관수, 분수관수, 살수관수, 미스트관수, 점적관수, 지중관수, 저면급수
우리나라 시설재배의 대표관수 -> 호스관수, 점적관수
1) 고랑관수
고랑에 물을 대주어 근군에 수분을 공급
경비가 저렴하고 이용이 간편하다
2) 분수관수
일정간격으로 구멍난 파이프나 튜브에 압력을 가해 물을 분출
설치비가 적게들고 시공이 간편하다
3) 살수관수
송수관 선단에 부착된 각종 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뿌리는 관수
고정식과 회전식(스프링클러)이 있다
4) 점적관수
파이프나 튜브에 미세한 구멍을 뚫거나 아니면 그것에 연결된
가느다란 관의 선단에 노즐이나 가는 수분분출구를 만들어
물이 방울져 소량씩 스며나오도록 하여 관수
5) 지중관수
지중에 관수 파이프를 매설하여 토양중으로 물이 스며 나오도록
파이프매설에 노력이 많이 들고 급수공이 막히기 쉽다
6) 저면급수
벤치 등의 저면에 있는 배수공을 통하여 물이 스며 올라 가도록
미세종자의 파종상이나 분화재배에서 포트에 수분공급
6. 공중습도의 관리
시설의 내부는 다습하기 쉽다
시설의 공기습도 조절방법
환기를 적절히 한다
가능한 난방을 한다
플라스틱 멀칭을 한다
관수를 합리화 한다
실내습도가 낮아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시설토양이 건조한 경우
난방이 잘되는 유리온실의 경우
제9강 시설의 토양환경
148 p. 제8장 시설의 토양환경. 이동식 플라스틱 하우스의 경우는
유리온실에서 이루어지는 양액재배와는 달리 토양자체가 중요한
환경이 된다. 시설의 입지선정에서부터 토양에 관심을 가져야 하
며 재배중에는 객토 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분식화훼의 시설
재배에서는 특수한 토양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강의내용
1. 토양과 작물생육
2. 시설토양의 특성과 관리
3. 염류농도장해와 대책
4. 시설내의 시비이론
1. 토양과 작물생육
1) 토양의 종류
① 일반토양
토양의 입경(미 농무성 기준)
점토 입자직경 0.002 mm 이하
미사토 0.002 - 0.05 mm
사토 0.05 - 2.0 mm
토양의 입경분포에 따라
사토, 사질양토, 양토, 점질양토, 점토
생성과정, 지형조건에 따라
충적토양, 홍적토양, 화산회토
사질토양과 점질토양의 차이
사질토양 ; 보수성, 보비성, 완충력 약
배수성, 통기성, 지온상승 양호
생장속도 빠르고 노화는 촉진
조직이 느슨하여 저장력 감소
점질토양 : 사질토양과 반대
② 특수토양
멜론 재배상, 분식화훼류의 화분 -> 용토
퇴비, 부엽, 톱밥, 바크, 수태, 펼라이트,버미큐라이트, 피트모스
갖추어야 할 조건
무병, 무충, 무독일 것
양분을 골고루 갖출 것
보수, 보비, 통기성 양호
가볍고 부드러워 사용간편
2) 토양화학과 생육
토양반응, 토양유기물, 염류농도, 토양오염
① 토양반응
작물생육 -> 약산성 - 중성
토양이 산성화되면
Fe,Al,Mn 가용성 증대 - 과잉흡수,
위 원소가 인산과 결합 불용화, 인산결핍
K,Ca,Mg,Mo 가용성 감소 - 흡수억제
pH 4 이하면 수소이온 뿌리에 해작용
pH 5 이하면 질소고정균,질산균,아질신균 활동둔화
토양이 알카리화 되면
Mg,B,Fe의 흡수 억제
② 토양유기물
토양유기물, =부식의 기능
염기치환능력 증가
무기양분의 유효화
미생물의 활동증진
입단화, 보수성증진
토양온도 상승역할
3) 토양물리와 생육
토양구조, 입경분포, 토양수분(수분환경편),지온(온도환경편), 통기성 토양구조
고상 50%(무기물 45%, 유기물 5%), 기상 25%, 액상 25%
단립구조 : 토양입자가 분리, 통기성과 보수,비력이 약함
입단구조 : 토양입자가 모여 입단형성, 토양공극증대
토양통기
입자와 입자, 입단과 입단 사이에 공극형성
토양의 20 - 30% 유지, 산소는 10% 이상되어야
4) 토양생물과 생육
토양생물 : 소동물 - 두더쥐, 들쥐, 선충
해 충 - 뿌리응애, 굼뱅이, 땅강아지
미생물 - 유용미생물, 병원미생물
잡 초 - 일년생잡초, 다년생잡초
2. 시설토양의 특성과 관리
노지에 비하여 염류농도가 높다
특정성분이 결핍되기 쉽다
토양 pH가 낮다
저온기에 지온은 노지보다 높다
그러나 적정지온유지가 안된다
공극율이 낮고, 통기성 불량하다
연작장해가 발생하기 쉽다
1) 염류의 집적
집적원인 : 강우차단, 다비재배, 흡비력 약화
장해대책 : 객토, 합리적 시비, 담수처리
2) 토양산도의 저하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토양은 산성화되어 있다
모암이 주로 화강암과 같은 산성암이다
사질토양에 집중강우로 염기용탈이 심하다
침엽수의 산성부식, 황산염 등에 의한 산성화
여기에 시설토양은 각종 유기물과 비료가 분해되면서
질산(질소화합물), 유기산(유기물), 황산(화학바료)
3) 토양통기의 불량
심한 답압, 인공관수 -> 토양 공극량 감소, 통기성악화
4) 연작장해의 발생
고정시설, 연작이 불가피
병충해가 증가한다
각종 양분이 결핍된다
미량요소의 결핍이 나타난다
5) 토양의 오염
도시근교, 공장지대, 도로변에서
오염된 관개수, 농약, 화학비료 과용으로
3. 염류농도장해와 대책
염류란 무엇인가
산 + 염기 -> 염 + 물
1) 토양염류의 종류
음이온 : 질산, 염소, 황산
양이온 :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그림 8-3 156 p.
시설토양에서 특별히 많이 분포되어 있는 염류
질산태 질소와 칼슘 !!
2) 염류농도의 측정
전기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 EC ; 전기저항의 역수
용액의 음이온 총량과 전기전도도는 높은 정의 상관
전기전도도로 토양용액의 염류농도 추정가능
전기전도도와 전기저항도의 반대개념
단위는 전기저항치의 역수, 즉 오옴 ohm -> 모오 mho
전도도는 값이 낮아 대개 milimho 단위로 나타냄
3) 염류집적의 원인
다비재배 : 집약재배, 염류집적 증가
강우차단 : 표면관수, 용탈제한, 표면집적
특이환경 : 작물도장, 염류흡수율 저하
4) 염류농도와 생육
가. 생육장해농도
작물뿌리의 삼투압 3 -10 기압
토양용액의 삼투압 0.2-1.0 기압
염류농도증가, 토양용액삼투압 2.5 이상되면 장해
표 8-3 토양별, 작물별 염류농도장해를 일으키는 한계농도
피망은 높고 오이는 낮다 즉 피망이 내염성이 크다
점질토양이 사질토양에 비하여 한계농도가 높다
나. 작물의 내염성
높은 염류농도에서 견딜 수 있는 능력
내염성이 강한 것 : 무, 양배추
내염성이 약한 것 : 과채류, 딸기
다. 농도장해증상
잎이 밑에서부터 말라죽는다
잎이 농녹색을 띠기 시작한다
잎의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린다
잎의 끝이 타면서 말라 죽는다
Ca, Mg 결핍증상이 나타난다
5) 염류농도장해대책
객토 : 환토, 산흙 또는 논흙 5 - 10cm
심경 : 경운기, 트렌쳐이용, 표토와 심토교환
유기물시용 : 염기치환능력 증가, 완충능강화
합리적시비 : 질산질비료 제한, 요소, 완효성비료
피복물제거 : 고온기, 기초피복제거,자연강우노출
담수처리 : 다량의 물 담수, 200mm 관수
흡비작물이용 : 수수, 옥수수 - 녹비용, 청예사료용
4. 시설내의 시비이론
1) 시비량의 결정이론
양분의 능동적 흡수가 떨어진다
시비량을 노지보다 줄여야 한다
그런대도 다비재배를 하고 있다
시비량의 결정방법
추천시비량에 의한 결정
재배자경험에 의한 결정
토양분석법에 의한 결정
추천시비량 결정
시비량 = 작물의 양분흡수량 x (1-토양의 양분공급량)/비료의 성분량
토양분석에 의한 결정
전기전도도 측정 - 시비량의 가감정도 파악
164 표 8-4 참조
2) 시비의 방법
가. 시비시기
양분흡수특성, 토양에 따라 기비와 추비로 구분하여 결정
엽근채류-점질토양 : 전량기비
사질토양 : 인산은 전량, 질소와 칼리는 반을 기비로
나. 시비위치
기비 : 전층시비
추비 : 작물의 종류, 재배방법, 생육단계에 따라
다. 엽면시비 foliar application
보조적인 시비, 어떤때 하는가
토양이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지온이 낮을 때
작물이 연약하고 뿌리가 상해 흡수가 어려울 때
멀칭 등으로 토양시비기 어려울 때
미량요소의 결핍증상이 예상되거나 나타날 때
표 8-6 엽면시비의 실제 예
라. 액비시비
시비 fertilization + 관수 irrigation = 관비 fertigation
마. 완효성비료
화학비료 -> 코팅처리, 특수한 화학처리로 비효조절
비효가 전 생육기간에 걸쳐 나타남
CDU, UF, AM화성, IB화성 등
제10강 시설의 병충해와 생리장해
169 P. 제9장 시설의 병충해와 생리장해. 시설의 병충해와
생리장해 발생양상은 노지의 그것과는 다소 다르다. 시설
내 병충해 및 생리장해 발생의 특징을 생각해 본다.
그리고 시설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해와 병충해, 생리장해를
그림으로 소개하고 방제요령을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강의내용
1. 시설 병충해 발생의 특이성
2. 많이 발생하는 시설 병충해
3. 시설 병충해의 주요 방제법
4. 시설 생리장해의 원인
5. 시설 생리장해의 대책
1. 시설병충해 발생의 특이성
(1) 병해의 특징
* 시설의 특성(병해와 관련하여)
저온기에도 적정온도가 유지된다
무가온 시설은 습도가 매우 높다
피복재로 인해 약광이 형성된다
작물은 연약하고 도장하기 쉽다
병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약하다
여러 가지 약해가 쉽게 발생한다
* 시설병해 발생의 특성
시설 특유의 병이 발생한다
병원균의 전염속도가 빠르다
연작으로 병원균이 축적된다
병원균 월동서식이 가능하다
(2) 충해발생의 특성
시설의 특성(충해와 관련하여)
겨울철 저온기에 이용된다
피복재로 차단되어 있다
환경은 다습한 상태에 있다
천적의 공격이 거의 없다
충해발생의 특성
해충의 종류가 많지 않다
노지에 비해 피해가 적다
증식율은 노지보다도 높다
(목화진딧물과 점박이응애)
2. 많이 발생하는 시설 병충해
병해의 종류
(1) 특이하게 많이 발생하는 병해
시설의 특이환경으로 시설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는 병
교재 표9-2
오이 둥근잎마름병 :촉성재배, 약광,영양부족,고온다습
갈색속썩음병 :저온,다습,엄술머리로 병원균침입
토마토 줄썩음병: 광부족 다습 등
가지 흑고병 : 5-6월
딸기 반신위조병 :저온,
싹마름병 : 저온과 다습
고추 흰가루병 :광부족과 다습
(2) 노지에 비해 많이 발생하는 병
시설의 밀폐, 다습환경, 연작장해로 주로 발생하는 병
표 9-3
과채류 : 균핵병
토마토 : 역병
딸 기 : 흰가루병
고 추 : 모자이크병
셀러리 : 반점병
(3) 노지와 비슷하게 발생하는 병해
오이류 : 노균병, 검은별무뉘병
토마토 : 풋마름병, 배꼽썩음병
고 추 : 역병
가 지 : 갈색무늬병
상 추 : 무름병
해충의 종류
대표해충
진딧물, 응애, 토양선충, 온실가루이
주요해총
표 9-4 174 p.
3. 시설 병충해의 주요 방제법
예방과 초기방제, 종합적 방제가 중요하다
병충해 방제법의 분류
경종적 방제 : 내병성 품종선택
물리적 방제 : 가열 토양소독법
화학적 방제 : 살균제와 살충제
생물적 방제 : 천적미생물 곤충
1) 경종적 방제
내병충성 품종의 선택
환경과 작부체계 개선
철저한 환경 위생관리
병원균과 해충의 차단
윤작, 접목재배의 실시
조직배양 무병종묘이용
2) 물리적 방제
'가열소독'
가열대상 : 토양, 배지(양액, 암면, 훈탄 등)
소독대상 : 토양전염성 병원균, 해충, 선충
가열정도 : 60(-100) oC 30(-60) 분
가열방법 : 소토법, 증기소독법, 태양열이용
175 P. 표 9-5 미생물과 잡초종자의 사멸온도
①소토법 - 철판이나 회전용 드럼통이용
장점 : 시설, 열처리가 간편함
단점 : 유기물연소,열손실,노력
주의 : 수분공급,적절히, 골고루 가열
②증기법 - 찜통, 증기주입기,증기상토소독기
장점 : 소독효과 크고 해작용 없음
단점 : 고비용, 1회 소독량 제한, 노력
여러가지 증기주입방법
토관법, 찜통이용법
호즈선파이프법(그림9-3)
스티밍플라우법(그림9-4)
캔바스호스법(그림9-4)
③태양열 이용법.
177 p. 그림 9-5
짚(유기물), 석회질소를 시용한다
이랑을 만들고 수분을 공급한다
투명플라스틱 필름으로 멀칭한다
7-8월 1개월 방치로 지온상승 유도
지표 72.2oC 지중 10cm 60.5oC
3) 화학적 방제
'농약에 의한 방제'
농약 : 살균제, 살충제, 살선충제
액제, 분제, 입제, 훈증제
유의 :
① 정기적 예방살포를 한다
불량환경, 식물체연약, 저항성 약화
시설내부는 무강우로 약효가 오래간다
② 발병하기 쉬운 부위에 집중 살포한다
예, 오이의 노균병
잎의 뒷면에 기공이 많이 분포, 집중살포
③ 살포량을 충분히하고 살포간격을 조절한다
작물체에 골고루 묻도록하고 살포간격은 증세와 약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④ 약제 저항성의 생성과 증대에 주의한다
동일약제의 연용을 피한다
⑤ 약해발생에 유의한다
시설작물은 도장연약,무강우상태, 일시적고온
4) 생물적 방제
천적 미생물의 처리
천적 곤충의 방사
약독 바이러스 접종
4. 시설 생리장해의 원인
생리장해란 무엇인가?
병충해 다른 점은 무엇인가?
변색
병 충 해 곰팡이,세균,바이라스,해충 변형 작물
반점 이상
생리장해 환경불량,농약해,재배관리 괴사 생장
고사
생리장해의 원인
토양환경, 기상환경,접목장해, 약해 등
(1) 토양환경의 불량
① 토양반응 : 산성화, 알카리화
② 토양염류 : 염류집적,농도장해
③ 토양수분 : 건조, 과습, 급변
④ 토양온도 : 높은지온, 낮은지온
⑤ 유해물질과 양분분포의 불균형
(2) 기상환경의 불량
고온장해 : 수정장해, 추대촉진
저온장해 : 수정장해, 기형과발생
일조부족 : 도장, 낙화, 낙과현상
일소현상 : 직사광선, 과실피해
(3) 시설내의 유해가스
토양유기물 분해 : 암모니아가스, 아질산가스
난방기 연소가스 :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기타 유해 가스 : 토양훈증제, 피복제, 폿트
(4) 재배관리의 불량
살균살선충제 살포
제초제의 잔류효과
생장조절제의 남용
불친화성 접목재배
5. 시설 생리장해의 대책
** 생리장해는 복합적 요인을 발생한다
복합적이고 종합적이 대책이 필요하다
발생하기 전에 예방에 힘써야 한다
세심한 관찰로 발생초기에 조치한다
1) 토양환경의 개선
토양반응조절 : 퇴비와 석회 시용
염류집적방지 : 객토, 담수처리 등
토양온도관리 : 멀칭, 전열선 매립
토양수분관리 : 자동관수, 배수시설
2) 기상환경의 개선
고온장해대책 : 환기, 차광, 간이냉방
저온장해대책 : 보온, 냉방, 인공수분
일조부족대책 : 시설, 수광태세, 인공광
3) 유해가스의 배출
유기태비료의 시비조절
토양반응의 중성 유지
난방기 완전연소와 배기
토양소독 잔류성분 제거
자연환기와 강제환기
4) 재배관리의 개선
고온기, 개화기 농약사용제한
제초제 사용시 잔류독성제거
생장조절제 사용법 사전숙지
접목재배시 친화성 유무확인
제11강 : 양액재배의 이론 I
강의에 들어가면서
제10장 양액재배. 여러가지 양분을 골고루 갖춘 양액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농법을 양액재배라고 한다. 전통적인 농업은 토양에서 식물을
기르는 것이지만 양액재배에서는 토양이 필요 없다. 따라서 적당한
시설만 갖추면 사막이나 극지방은 물론 도시의 한 복판에서도 농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양액재배는 식물공장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이
시간에는 양액재배의 기초적인 이론을 강의한다.
강의내용
1. 양액재배의 의의와 특징
2. 양액재배의 종류와 시설
3. 양액재배 방식의 비교
1. 양액재배의 의의와 특징
1) 양액재배란
식물생육에 요구되는 필수양분을 골고루 갖춘 양액(nutrition
solution)과 적당한 식물체 지지수단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것
토양 - 복잡한 환경으로 조절이 쉽지않다. 완충력이 강하다
양액 - 단순한 환경으로 조절이 용이하다. 완충력이 약하다
용어의 정립
무토재배 soilless culture
수경재배 water culture, hydroponics
용액재배 solution culture
탱크농업 tank farming
베드농업 bed farming
사경재배 sand culture
역경재배 gravel culture
양액재배 nutrition solution culture
2) 양액재배의 역사
1700년대 영국, 식물영양소 발견
1800년대 식물생리학의 연구수단으로 수경재배
1840년;Liebig 무기영양설
1861년;Sacks,Knops 배양액실험
1900년대 작물의 경작수단으로 양액재배 시작
1930년대 미, California 농사시험장 F.W.Gericke 수경법고안,
2차대전 사막,섬 등지의 해외주둔미군 채소공급수단
1970년대 영국 NFT개발, 덴마크 암면재배 실시
우리나라 1954년 중앙농업기술원(현 농촌진흥청) 시험재배
최근의 수경재배
새로운 농법으로 정착 실용화
자동화, 생력화, 컴퓨터화 진전
공장식 농업생산,식물공장 발전
식물공장학회, 양액재배연구회
3) 양액재배의 특징
장점으로
① 동일작물의 연작이 가능하다
② 고급 청정재배가 가능하다
③ 자동화,생력화,컴퓨터화가 쉽다
④ 생육이 빠르고 수량이 증가한다
⑤ 사막,도시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단점으로
⑥ 초기에 투자자본이 필요하다
⑦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⑧ 양액의 완충능력이 약하다
작물의 선택이 제한되어 있다(?)
4) 양액재배의 성립요건
① 경영면에서 수익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② 양질의 물을 쉽게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③ 폐양액과 소독액 처분이 용이해야 한다
④ 양액재배 전용 육묘시설이 있어야 한다
⑤ 양액관리의 기초이론과 기술을 터득해야 한다
2. 양액재배의 종류와 주요시설
1) 양액재배의 분류
분무경 aeroponics = 공기경
분무수경 aerohydroponics = 수기경
수경 hydroponics, water culture
고형배지경 aggregate culture
2) 주요 시설과 장치
베드,식물지지수단,산소공급장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기본시설과 장치 : 베드부, 양액탱크, 급배액장치, 환경조절부
베드 (bed 재배조)
작물의 지지수단
배지 및 배양액
표면, 피복자재
양액탱크
콘크리트 구조물
소규모의 양액조
플라스틱 양액통
급배액장치
펌프, 급배액파이프
타이머와 전자변
여과기와 침전조
환경조절부
액온조절장치
농도조절장치
산도조절장치
용존산소조절
3. 주요 양액재배 방식의 비교
분무경, 분무수경, 수경, 고형배지경
1) 분무경 aeroponics, mist culture, spray culture
근권의 공중노출
양액의 뿌리분무
산소공급은 원활
급격한 온습도변화
2) 분무수경
절충식 = 분무경 + 수경
뿌리일부노출, 일부담액
과채류의 양액재배 이용
3) 수경방식
담액형 수경과 순환형 수경
담액형(산소의 공급방법에 따라)
연속통기식
액면저하식
등량교환식
순환형(양액의 순환방법에 따라)
환류방식 : 베드 - 양액탱크
NFT방식 : nutrient film technique
4) 고형배지경
주요 고형 배지
모래, 자갈, 왕겨,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규라이트,
우레탄, 경석, 암면 등
사경재배
역경재배
훈탄경재배
암면재배
포대재배
암면재배 rockwool culture
岩綿(rockwool, rockfiber)이란
휘록암 + 석회암 + 코크스
1600 C 용융, 섬유화, 성형화
통기성, 배수성, 확산성 우수
암면재배의 특징
이식과 정식이 편리하다
배수, 보수성이 뛰어나다
가벼워서 취급이 쉽다
병충해의 위험이 적다
시설비가 저렴하다
재배의 시스템화가 가능하다
암면재배의 종류
순환식, 관주식
강의를 마치면서
제10장 양액재배중에서 양액재배의 정확한 의미와 용어에 대한 정리를
해 보았다. 양액재배의 정의, 특성, 성립요건을 발달역사와 함께 이해하
였다. 그리고 양액재배를 분무경, 분무수경, 수경, 고형배지경으로 분류하
고 각각 필요한 시설과 장치를 간략하게 소개 하였다.
제12강 양액재배의 이론 II
강의에 들어가면서
전시간에 이어 계속해서 양액재배의 기초이론을 공부한다. 특히 양액의
조성,조제 및 관리내용과 양액재배에 있어 병충해 방제방법을 중점적으
로 살펴보도록 한다.
강의내용
1. 작물의 필수원소
2. 양액의 조성내용
3. 양액의 조제방법
4. 양액의 관리방법
5. 식물공장의 개요
1. 작물의 필수원소
양액(배양액)이란 무엇인가?
식물생육에 필요한 무기양분이 골고루 들어있는 용액
무기양분 = 필수원소(산소, 탄소, 수소 제외한)
1) 필수원소 16가지
다량원소 : C,H,O,N,P,K,S,Ca,Mg,Fe 등 10종
미량원소 : B, Mn, Zn, Cu, Mo, Cl 등 6종
2) 필수원소의 급원 201 p. 표 10-1
흡수형태 공 급 원
C, H, O
N, 질소 NO3 NH4 KNO3 (NH4)2SO4
Ca 칼슘 Ca++ Ca(H2PO4)2H2O 과린산석회
Mn 망간
2. 양액의 조성
작물의 종류, 생육단계, 재배시기, 보수력 등에 따라 다르다
많은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표준양액이 작성되어 있다
표준양액을 이용하지만 필요하면 수정조절하여 이용한다.
양액의 표준 조성 및 농도의 결정
작물의 양분흡수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작물의 평균적 요소흡수량을 조사한다
요소간의 흡수량을 당량비로 계산한다
요소간 당량비 예 -> p. 201 표 10-2
토마토와 오이의 비료 사용량 계산
요소간 당량비
비료사용량 계산
CaO의 경우토마토 오이에서 10a당 9-10톤의 수량을 내는 데
주당흡수량 11g, 100주당 흡수량 1100g, 환산 1100/28=39당량
주요 성분요소간 적당한 조성비를 당량비로 계산 할 수 있다
황산마그네슘의 경우
앞의 표10-2에서 Mg:4 me/l, SO4:4me/l
비료는 MgSO47H2O를 선정 사용하였다
분자량 246, 원자가 2, 당량치 246/2=123
따라서 123 g 평량
123 g/l 규정농도 1그람당량
123 g/1000l ---> 1 me/l
즉 123 g x 4 = 492 g/1,000l 황산마그네슘 492 g을
1000리터의 물에 용해시키면 4me/l의 양액이 됨
미량요소의 경우
ppm 단위 1리터에 1mg이 1 ppm
Fe의 경우 3 ppm, 이는 FeSO47H2O 15g/1000리터
3. 양액의 조제방법
① 소요량을 칭량하여 고농도 희석액을 만든다
② 양액탱크에 물을 소요량의 90정도 채운다
③ 작은 용기에 양분을 용해시켜 양액 탱크에 넣는다
④ 물로 정용한다. 예컨데 1000리터를 채운다
⑤ 황산이나 수산화나트륨으로 산도를 조정한다
실용적인 방법은 양액전용 비료를 이용한다
4. 양액의 관리 및 시비
1) 양액의 pH
일반적으로 양액의 적정 pH 5.5-6.5
7.0 이상이면 철,망간,인산 등이 침전
5.5 이하이면 칼슘,칼륨,마그네슘 결핍
재배기간중 pH의 변화
질산태질소의 흡수
용존 칼슘,마그네슘
양액이 알카리화된다
즉 pH가 높아지기 쉽다.
산도의 조절(1000 l)
황산 10 ml이면 pH 1을 내림
수산화칼륨 5 ml pH 1을 올림
2) 양액의 온도조절
작물별 적정 양액온도
토마토 18℃, 오이,가지는 24℃, 딸기는 17℃
일반적으로 최저 10 ℃이상 유지되어야 함
양액온도 조절방법
저온기 가온 : 전열선, 온수파이프, 태양열
고온기 냉온 : 지하수, 냉수를 이용한다
3) 용존산소의 관리
①산소의 필요성
뿌리의 능동적 양분흡수,뿌리의 발달
②수중의 포화용존산소량은 수온에 따라 다르다
표10-6 204 P. 수온이 높을 수록 낮아진다
③뿌리는 호흡을 한다. 계속적인 산소공급이 필요함
④산소를 공급하는 방법
공기와의 접촉면을 늘린다. 에어콤프레서를 이용한다
환류를 시킨다. 뿌리를 공중에 노출시킨다.
4) 양액의 갱신
가, 양액의 갱신 1작 1회가 원칙
재배기간,작물에 따라 조절 상추와 같은 것은 1양액으로 3-4작
나, 물의 보충보급
증산,증발량을 보충-작물의 종류, 생육단계. 재배시기에 따라
일정량을 계속 유지, 실제로는 30% 이상 감소되었을 때
깨끗한 물을 이용한다
다, 양분의 보급
양분을 감소된 만큼 계속해서 보충해 준다
양액의 농도가 반감되었을 때 표준 농도에 따라 반량을 첨가
하여 원래 농도롤 조절해 준다
적기 판정이 어렵다. 적기판정의 방법
ᄀ,감액량에 의한 판정
물과 양분은 평행적으로 감소
물의 보급량(가액량)을 적산하여 원래 양액량과 같아지
는 시기에 양액이 반 정도로 감소
ᄂ, 전기전도도에 의한 판정
205 P.표10-7 질산태질소의 농도와 전기전도도와의 관계
EC가 1.3 m mho 일때 질산태질소가 반감하여 112 ppm.
전기전도도계만 있으면 간단하게 적기를 판정할 수 있음.
ᄃ, 기타, 질산태 질소의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
5. 식물공장의 개요
양액재배
식물공장
미래농업
우주농업
1) 식물공장의 의의
완벽한 환경제어
농산물 공장생산
고품질의 다수확
시간,장소에 무관
연중계획생산가능
병충해 완전방제
지구환경의 보전
우주개발 뒷받침
미래형 완전농법
2) 식물공장의 종류
완전제어형 - 인공광
태양병용형 - 인공광 + 태양광
태양이용형 - 태양광
3) 현황과 장래
1950년 덴마크 christensen 농장, 태양광 이용형, 육묘 및 연구용
1970년 미국 General Electric Co. 완전제어형, 실용화 실패
미국 NASA 우주선 농법 - 실험단계의 수준
최근 미국, 일본 등지에서 식물공장의 실용화, 식물공장학회 창립
우리나라 채소육묘에 식물공장도입 - 공정육묘시스템의 운영
식물공장의 장래는 밝다
지구환경을 살리면서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농업이다
강의를 마치면서
양액재배이 이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양액에 대한 이해이다. 이
시간에는 양액의 조성, 조제, 관리내용을 알아 보았다. 그리고 가장 이상
적인 양액재배의 방식이자 미래형 농업형태로서 식물공장을 소개하였다.
물론 간략하게 그 개념 정도를 소개 하였다.
제13강 오이
학명 : Cucumis sativus L.
영명 : cucumber
한명 : 호과(胡果)
강의에 앞서
원산지, 전파와 생태형분화
원산지 ; 인도의 서북방, 네팔. 오이 야생종(C. hardwicki) 발견
전 파 : 유럽,미주지역 - 영국온실형, 피클형, 슬라이스형
단위결과성이 높고 육질이 치밀한 소과형
아시아 지역 - 화남형 ; 과형이 원통형으로 다다기성
화북형 ; 과형이 가늘고 길며 비다다기성
오이의 식품적 가치
상쾌한 맛과 향기 - 생식, 샐러드, 오이냉국, 저림, 김치, 생채무침
비타민 C, 무기질 - 영양가치, 미용가치, 이뇨효과, 숙취제거
오이 독특한 냄새 - 노나디에놀, 쓴맛 - 쿠쿠르비타신 C와 엘라테린
1. 재배현황과 경영적 특성
1) 재배현황
비교적 일찍부터 시설재배가 시작되었다
전체 시설면적의 10% 전후 차지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전남(25%), 경남(14%), 경기(10%)
2) 경영특성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생산비, 노력이 많이 요구된다
생산성과 수익성이 높은 채소이다
수확이 빠르고 매일 생산 연일현금수입이 가능
2. 작물의 특징과 생육환경
1) 작물의 특징
일년생 초본 덩굴성으로 생장속도가 빠르다
뿌리는 주근, 측근, 부정근이 있다
부정근이 잘 발달하여 삽목이 잘된다
천근성으로 이식성이 낮다. 이식성이 낮은 이유는?
목전화가 빠르고 재생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자웅동주 식물, 암꽃맺힘은 유전과 환경이 좌우
오이의 결과습성(그림11-1) 절성형/중간형/비절성형
저온,단일조건에 암꽃 착생절위가 낮아지고 암꽃수가 증가
파종후 10일 본엽 1-4장 꽃눈분화 성결정 이때 저온단일처리
15-20C 8시간 단일 2주간 처리
저온단일조건에서 체내 오옥신, 에틸렌 생성 증가
오이 과실은 자방과 화탁이 비대하여 형성되는 위과이다
오이는 체내 오옥신 함량이 많아 단위결과성이 높다-인공수분 불 필요
2) 생육환경
온도 : 발아적온 25 - 30 C
생육적온 주간 25 C 야간 18 C
시설재배 생육최저한계온도 8 C / 저온(특히 저지온) 순멎이 현상
광도 : 광포화점 45 Klux, 광보상점 1 Klux
단일과 일조부족 - 기형과발생, 양분소모 과다로 식물체 노화촉진
토양 : 천근성 - 건조, 과습, 산소부족 주의
토 성 - 점질양토 사질 - 생장과 노화촉진 점질 - 더딘생육
약산성 - 중성토양, 연작장해 - 덩굴쪼김병, 선충 다발<-접목육묘
3. 재배방식과 품종의 선택
1) 재배방식 그림 11-2 참조
촉성재배 10월파종 11월정식 1-5월 수확 남부온난지대 전기간난방
반촉성재배 1월파종 2월정식 4-6월 수확 남부중부지대 무가온재배
억제재배 8월파종 9월정식 10-11월수확 중부북부지대 무가온재배
2) 품종선택
시설재배에 적합하고 소비지 기호에 적합한 품종을 선택한다
저온,단일, 약광하에서 생육이 좋은 것
단위결과성, 다다기성이 좋은 것
잎이 작고, 마디가 짧고 초세가 강한 것
4. 재배관리기술의 요점
육묘
육묘기간 촉성과 반촉성 30-35일, 억제 20-25일
파종전 소독, 싹틔우기, 줄뿌림-> 분에 이식 pot 육묘
접목육묘 - 덩굴쪼김병예방, 저온신장성강화, 양수분흡수력강화, 이식성향상
대목 : 흑종호박, 백국좌 방법 : 맞접(호접) 정식
심경과 유기물, 멀칭 지온확보 유지
촉성 및 반촉성 본엽 3-4매때, 억제는 2-3매때가 적기
깊이 심으면 활착이 늦다. 접목부가 2-3cm 위로 오도록 얕게 시비
노지보다 시비량을 줄인다 촉성은 60%, 반촉성은 30%, 억제는 20%
퇴비를 많이 넣어 물리성을 개선하고 염류농도장해를 대비한다
덧거름에 관심을 갖는다. 칼리, 질소의 60%는 추비로 한다
후기생육과 수량에 영향이 크다 15일간격으로 4-5회 분시,
시비위치는 포기에서 점차 멀리로, 엽면시비도 필요하다
정지, 유인
정식후 생육촉진, 수확기 초세유지, 상품과 장기수확을 위하여
덩굴자람조절, 불필요한 줄기와 잎 제거, 덩굴의 유인<-지주, 그물망이용
오이의 결과습성을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품종과 환경에 따른 오이 잎의 동화작용
전개후 35일 최대, 45일후면 급격히 감소, 50일 이상 노엽은 제거한다
일반관리
하루중의 온도관리 그림 11-5 참조바람
오전 28C 오후 20 오후 5-9시 15-16C 그후 새벽까지 10-12C 유지
관수 등 기타관리
적정관수점 pF 1.0 - 2.0, 오전 10시경 관수, 해질무렵은 토양표면이 마른상태
인공수분이나 착과제의 처리는 필요가 없다
5. 생리장해와 병충해
생리장해
순멎이현상 : 원인 - 저온, 저지온, 증상 - 줄기생육정지, 생장점주변 에 암꽃 밀생
잎에 나타나는 장해들 : 백변현상, 갈색반점, 축엽
과실에 나타나는 장해들 : 유과(유산과, 미이라과), 낙과, 변형과(곡과, 선세과, 편세 과, 잘록과,곤봉과)
양분결핍, 과잉증 : 붕소결핍증, 마그네슘결핍증, 망강과잉증, 칼륨결핍증
기타 생리장해 : 염류장해, 가스장해, 쓴맛생성
병 충 해
노균병, 흑성병, 균핵병, 잿빛곰팡이병, 반점세균병, 역병, 덩굴마름병,
덩굴쪼김병 등
진딧물, 응애, 온실가루이
제14강 참외
학명 : Cucumis melo L.
영명 : oriental melon
한명 : 첨과(甛果)
강의에 앞서
원산지와 전파경로
1차원산지 - 아프리카, 2차원산지 - 중앙아시아
전파와 생태형 분화
동양 - 참외(우리나라 삼국시대, 성환참외, 사과참외, 감참외 등 재래종)
서양 - 멜론(유럽 ; 온실멜론, 미주 ; 노지멜론)
식품적 가치
단맛과 향기 - 생식 종자 - 해열제
1. 재배현황과 경영적 특성
1) 재배현황
시설재배면적 9,198 ha(전체의 12%) 생산량 484,112 톤
지역별 재배면적 성주지방 경북이 70%
2) 경영특성
토지이용상 유리하다(답전작 가능)
노력이 많이 요구된다(정지작업)
무가온재배가 유리하다(가온하려면 멜론재배)
이른봄 수요가 늘고 있다 - 지속적 시장수요창출이 필요하다
품질향상의 노력이 필요하다
2. 작물의 특징과 생육환경
1) 작물의 특징
1년생 초본 덩굴성 식물
양성웅성동주형이 많다 - 암꽃, 수꽃, 양성화
덩굴의 구분과 착과습성
주지 : 친만, 어미덩굴
1차측지 : 자만, 아들덩굴
2차측지 : 손만, 손자덩굴 - 1-2마디에 착과
뿌리는 천근성, 종자는 혐광성
2) 생육환경
온도 ; 발아적온 28-30C
생육적온 낮 26-30C, 밤 18-20C 지온 18C 이상
일광 ; 광포화점 60klux 광보상점 1.5klux
강광요구, 일조부족 - 경엽무성, 착과불량, 품질저하, 병해 다발
토양 ; 연작장해 - 접목재배
천근성작물 - 산소요구도가 높다
3. 재배방식과 품종의 선택
1) 시설재배방식
반촉성재배 : 1월파종, 3월정식, 5월수확 (중부지방은 다소 늦게)
터 널 재배 : 3월파종, 4월정식, 6월수확
2) 품종의 선택
동양계참외 : 은천계참외, 금싸라기계통 은천참외
서양계멜론 : 온실멜론, 노지멜론
시설재배용 참외품종의 구비조건
초세, 저온착과성, 조숙성, 다수성, 품질(착색, 당도, 육질,향기)
4. 재배관리의 요점
1) 육묘
파종준비 ; 소독, 최아
파종방법 ; 파종상준비, 줄뿌림(조간 5cm, 종자간 2cm), 복토(종자 2배)
파종후 3일 발아, 떡잎 전개 후 12-14cm 분에 옮겨 심는다
야냉육묘(주간 28, 야간 20), 육묘일수 40일, 정식 1주일전 묘의 경화
본잎이 5-6장 전개될 무렵 주지 4-5마디에서 적심하여 손만의 고른발생유도
접목육묘 ; 대목 신토좌, 백국좌, 방법 호접, 삽접
2) 정식
적심후 4-5일 아들덩굴이 나올 무렵 정식한다
멀칭과 터널설치로 지온을 충분히 상승시킨다
재식거리, 정지방법과 재배시기에 따라 다르다( 표 12-3참조)
3) 시비
퇴비를 충분히 시용한다 10a당 4000kg 이상
석회를 적당히 시용한다 10a 당 80 - 150kg
질소과다는 착과에 불리하다
시비량 - 토양비옥도, 토성, 재배방식, 접목유무에 따라 조절예 접목재배 30% 감량
질소와 칼륨은 50%를 추비로 준다
정식후 25일경부터 15일 간격으로 3회로 나누어 준다
4) 정지 및 유인
정지 : 적정 엽수확보, 정확환 착과유도, 조기수확
착과습성 - 손자덩굴 1-2마디
정지방법 - 육묘중 어미덩굴 4-5마디 적심, 2-3개 아들덩굴
아들덩굴의 6마디 까지의 손자덩굴은 제거함
유인 : 생육후기 덩굴이 과다하게 엉키지 않도록
5) 일반관리
정식후 온도관리 : 낮 25 -30C, 밤 18-20C, 야간최저 13C
다습, 과건, 성숙기의 급격한 토양수분의 변화를 방지
인공수분과 생장조절제의 처리
인공수분 : 아침 일찍, 꿀벌방사
착 과 제 : 2,4-D, 2,4,5-TP, NAA, 지베렐린
자방분무, 자방점적, 오전 10시 전후
처리방법, 기온에 따라 농도 조절
5. 생리장해와 병충해
생리장해 : 녹색선과, 황색반점과, 발효과, 표피오점과, 변형과, 열과
잎마름증, 급성위조, 암모니아가스피해, 접목불친화현상
주요병해 : 반점세균병, 덩굴마름병, 입고병, 노균병, 탄저병,역병
바이러스병, 덩굴쪼김병, 흰가루병,
주요충해 : 진딧물, 응애, 뿌리혹선충
제15강 고추
학명 : Capsicum annuum L.
영명 : red pepper, green pepper
한명 : 번초, 당초, 고초
강의에 앞서
원산지, 전파, 식품가치
이수광(1563-1628) 지봉유설 '남만초'
원산지 열대 아프리카 지방
잎과 풋고추에는 비타민 C - 시설고추는 풋고추 생산이 주목적이다
1. 재배현황과 경영적 특성
1) 시설고추의 재배현황
우리나라 전체 채소재배면적의 35%까지 차지했었다(노지+시설)
1998년, 시설재배면적 4,767ha(6.2%), 생산량 113.936톤
지역적으로 경남, 전남지역
2) 경영적 특성
풋고추 생산이 주목적이다(피망-파프리카, 후기숙과이용가능)
고도의 기술(육묘, 정지, 유인)과 노력(수확)이 소요된다
남부지방이 경영상 유리하다(보온효율, 난방비)
2. 작물의 특징과 생육환경
1) 작물의 특징
가지과 일년생(또는 다년생), 건과용과 청과용, 신미종과 감미종
시설재배는 청과용, 즉 풋고추용에 감미종 생산
착화(과)습성 - 줄기선단 생장점 ->꽃눈 ->분지
착화와 분지의 되풀이 ->생리적 낙화와 낙과발생
자가수정 - 자연교잡율이 높다
시설재배에서는 생육기간을 길게 연장시킬 수가 있다
과실의 매운 성분 캡사이신 <- 품종, 재배조건, 과실부위에 따라
2) 생육환경
온도 : 고온성, 발아적온 30-35C, 생육적온 25C
최고한계 35, 최저한계 15C ->고온, 저온 단화주화,수정장해
일광 : 호광성, 광포화점 30klux, 광보상점 1.5klux
일조부족 - 도장, 단화주화발생, 낙과, 기형과발생
중성식물 - 장일에서 수량증대
토양 : 양토 - 식양토, 약산성 - 중성
천근성 - 과습과 과건 -> 낙화와 낙과
3. 재배방식과 품종의 선택
1) 재배방식
촉 성 재배 : 8월파종, 10월정식, 11월부터 수확
반촉성재배 : 10월파종, 1월정식, 3월부터 수확
초기수량이 중요 70-80일 대묘 육묘
억 제 재배 : 6월파종(노지묘상, 한냉사피복), 8월정식(하우스, 초상 전피복)
9월말부터 수확가능
2) 품종선택
풋고추, 꽈리고추, 피망(파프리카)
저온착과성이 좋을 것
마디가 짧고 착과수가 많을 것
맵지 않고 내병성일 것
초형이 직립, 밀식이 가능할 것
개화가 빠르고 측지발생이 적을 것
4. 재배관리 기술의 요점
육묘 : 고온기육묘, 파종상이용, 차광육묘 --->공정육묘, 주문육묘
촉성 재배 - 30일육묘, 소묘정식 --- 생육기간이 길다
반촉성재배 - 90일육묘, 대묘정식 --- 하우스육묘가 좋다
정식 : 토양소독, 기비, 지온과 기온고려
촉성재배는 넓게, 촉성은 베게, 억제재배는 더 베게
시비 : 퇴비시용 - 장기간 초세유지 - 10a 당 2000Kg 이상
약광, 질소과다 - 도장, 낙과, 낙엽, 기형과 발생
정지와 유인 :
고추의 착화, 착과습성 - 본잎 9장 이후 분지, 첫꽃, 분지-착화-
분지-> 방임하면 초세약화, 수광태세불량, 낙과발생
1차분자 아래(방아다리) 곁순제거, 중심부 도장지 제거, 중심가지 유인
갱신전정 - 세력회복과 출하시기 조절, 시기와 전정강도 조절
일반관리:남부온난지대 - 무가온 반촉성재배, 보조난방시설 필요
온도관리 목표 주간 25-30C, 야간 20C
보온위주재배 - 일조가 부족하기 쉽다
토양수분관리 - 수분이 부족하면 낙화가 발생한다
5. 생리장해와 병충해
1) 생리장해
배꼽썩음병, 낙과, 열과, 흑자색과, 변형과, 가스장해
2) 병충해
병해 :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역병, 입고병, 탄저병 등
충해 : 진딧물, 응애, 담배나방,
제16강 딸기
학명 : Fragaria grandiflora Ehrh
영명 : Strawberry
한명 : ?, 초매
강의에 앞서
원산지, 전파, 식품가치
염색체수(n=7, 2배체 - 8배체)와 분포지역 다양, 원산지가 불분명하다
현재 재배종은 8배체, F. virginiana x F chiloensis 의 종간교잡종이다
생태적 특성이 낙엽과수와 비슷, 지역에 따라 과수로 분류되기도 한다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아서 생식 및 가공식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Allegic acid 유기산, 항암효과
1. 재배현황과 경영적 특성
1) 재배현황
시설재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작물이다
1998년 재배면적 6,236ha(8.1%), 생산량 157,053톤
노지 16%, 시설 84%(시설중 반촉성 72%)
지역적으로는 경남(김해), 충남(논산), 전남(보성)
2) 경영특성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호냉성으로 저온에 강하다
수익성 비교적 높은 편이다
답리작으로 적합한 편이다(75%이상)
2. 작물의 특징과 생육환경
1) 작물의 특징
가. 식물학적 특성
장미과 다년생 숙근 초본성 작물이다
잎은 3복출엽이며 줄기는 단축경이다
엽액의 측아는 화아 또는 포복지로 발달한다 -runner(번식수단)
뿌리는 섬유근으로 천근성이며 묵은 뿌리는 쉽게 목질화한다
줄기선단의 생장점과 측아가 화아로 발전한다
꽃줄기는 계속분지하며 분기점마다 착화하여 화방을 형성한다
한 꽃안에 수많은 암술이 분포되어 있다
과실은 화탁이 비대 발달한 위과이며 품종에 따라 형태, 향기, 색깔이 다르다
나. 화아분화 특성
화아분화시기 :
자연상태에서의 화아분화는 전년도 가을에 이루어진다
제1화방 9월하순-10월상순,
제2,3화방 11월중순경
제4화방 이상 월동후
화아분화요인 :
306 p. 표 17-3 온도와 일장의 상호관계
1차요인 - 온?저온)
2차요인 - 일장(단일)
화아분화촉진 :
야냉단일육묘, 고랭지 육묘, 묘냉장처리
사철딸기란?
화아분화에 미치는 온도와 일장의 영향이 적다
다. 딸기의 휴면현상
휴면의 추이 :
가을의 저온과 단일 휴면유도
10월 휴면돌입, 11월 중순 깊은 휴면, 1월하순 휴면타파
품종간 차이 : 저온요구도(0-8C)
난지형 - 호타원다 0-50 시간
중간형 - 보교조생 400 시간
한지형 - 도우너 500 - 900 시간
휴면의 타파 :
묘 냉장처리, 지베렐린 처리, 전조처리
불완전타파 - 왜화현상이 발생한다
2) 생육환경
가. 온도와 일광
호냉성 월동채소 - 저온에 강하고 고온에 약하다
생육적온 17-20C, 25C이상 생육쇠퇴, 30C 이상 생육정지
개화기 전후한 고온장해 - 기형과 유발
광포화점 20 klux, 단일상태 - 휴면유발
나. 토양환경
육묘용 : 유기물이 많고 보수와 통기성이 좋은 양토
정식용 : 점질양토, 산성에 강하다. 다소 과습한 상태가 좋다
3. 재배방식과 품종의 선택
1) 시설재배방식
딸기는 주로 논에서, 시설재배로 이루어진다
촉성재배가 86%, 나머지는 반촉성재배이다
가. 촉성재배
10월 런너채취용 모주정식, 7월말 채묘후 육묘(화아분화 촉진처리)
9 월말 정식 10월말 시설피복, 커튼, 터널보온, 1-4월에 걸쳐 수확
나. 반촉성재배
6월초 런너채취용 모주정식, 8월하순 채묘하여 육묘
10월 정식, 12월 하우스피복, 지베렐린처리, 꿀벌방사 3-6월 수확
다. 전조재배
촉성재배, 반촉성재배
인공조명처리로 장일조건을 부여 - 생육촉진, 조기수량증대
2) 품종의 선택
- 화아분화가 빠르고 휴면이 얕을 것(조생종)
- 저온, 단일에서 왜화가 없고 결실성이 좋을 것
- 화분이 많고 임성이 높아 저온수정이 쉬울 것
- 과실이 크고 색깔이 좋으며 품질이 우수할 것
시설용 : 중간형 또는 난지형 - 보교조생, 정보조생, 풍향, 여홍, 조생 홍심
4. 재배관리기술의 요점
1) 육묘
런너(포복지, 자주, runner) - 액아가 고온, 장일조건에서 발달
모주관리와 모종심기 - 촉성이냐 반촉성이냐에 따라 다르다
런너채취와 다듬기 - 본잎 3장때, 저녁에 채묘하여 아침에 정식
모주쪽으로 2-3cm 남기고 자른다. 그 이유는?
- 정식시 지지역할을 하고
- 활착과정에 양분을 공급하고
- 화방출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 모주의 반대방향에서 화방출현
관부가 묻히지 않도록 가급적 얕게 심고 관수, 차광
육묘중 화아분화촉진 ; 한냉사 차광, 단근, 자리바꿈, 야냉단일처리,
분육묘, 고랭지육묘(해발 700m 이상, 1개월)
2) 정식
동서하우스 설치, 정식1주일전 퇴비 3,000kg/10a, 석회, 붕사
멀칭을 하기 때문에 기비에 역점을 두고 추비는 액비로 한다
촉성재배는 본잎 5-6매 모종, 관부지름 1.2-1.5 cm, 무게 15g 이상
반촉성재배는 본잎 6-7매, 다소 큰 모종을 심는다
화방의 출현이 남쪽으로 균일하게 이루어 지도록 심는다
313 p 그림 17-5을 참조함
3) 보온과 멀칭
적절한 시기에 피복하여 보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르면 왜화현상, 늦으면 과번무(저온경과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임)
촉성재배는 10월하순, 반촉성재배는 12월하순
지베렐린처리 :
10 ppm, 주당 3-5ml, 1회는 피복직후, 2회는 그호 1주일, 3회는 화방출현시
4) 일반관리
적온관리
낮 25C, 밤 최저 5C - 35C 이상, 0C 이하가 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온도가 낮으면 성숙일수가 길어지면서 단맛이 많이 난다
온도가 높으면 성숙일수가 짧아지면서 단맛이 적게 난다
기타관리
마른잎 제거 - 통퐁과 채광을 도와준다
액아를 제거 - 2,3개만 남기고 제거한다
소과를 적과 - 제1화방은 8-12개 남기고, 제2화방 4번과 이하
저온기에는 80% 이상 착색된 것을 수확한다
5. 생리장해와 병충해
1) 생리장해
왜화현상, 급성위조, 엽선단고사, 암수불임화, 기형과, 백랍과
기형과문제가 심각하다
제1화방 제1번과 닭벼슬모양
과잉영양, 저온장해 -> 2-3개의 화아가 융합하여 발달
기타 다양한 모양의 기형과는 수정장해로 발생한다
대책 : 환경개선(저온, 고온, 일조부족 등)
꿀벌방사(10a 당 1통, 10,000마리)
송풍처리(선풍기등을 이용한 송풍)
2) 병충해
병해 :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바이라스병, 위황병, 위조병
충해 : 진딧물, 응애, 아선충
제17강 배추
학명 : Brassica campestris L. var pekinensis
영명 : chinese cabbage
한명 : 백채, 송채
재배역사와 식품가치
유럽 - 불결구 야생배추(B.campestris) 분포
중국 - 불결구, 결구, 반결구배추 재배, 북부지방은 저장채소로 이용
한국 - 고려 고종 23년(1236년) 향약구급방 '송' 배추 등장
식품가치비타민 C와 칼슘, 아미노산 시스틴(구수한 맛), 섬유질(정장작용)
1. 재배현황과 경영적 특성
1) 배추의 재배현황
배추 주년생산체계 확립
가을 김치의 중요성 감소
시설재배의 중요성 증대 - 봄 배추의 시설재배가 중심
1998년 5,336 ha(6.9%), 204,324톤
지역별 경기, 경남, 전남, 충남이 전체의
80% 이상
2) 경영적 특성
재배기간이 짧고, 재배가 쉽다
수요는 많지만 수익성이 낮다
생력화, 생산비절감 노력 필요
노력은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
시설은 풍흉의 차가 거의 없음
수송과 저장에 비용이 많이 소요
2. 작물의 특징과 생육환경
1) 작물의 특징
2년생 초본으로 근출엽형이다
불결구종, 반결구종, 결구종이 있다
결구종은 다시 포합형과 포피형, 엽수형과 엽중형
종자춘화형으로 고온과 장일에서 추대가 촉진된다
자가불화합성을 나타낸다 - 타가수정, 일대교잡종 이용
2) 생육환경
온도 : 발아기 25C, 생육전반기 20C, 결구기 15C
12C 이하에서 7 - 15일이며 저온감응,화아분화
고온, 장일, 강광 조건에서 추대촉진
일광 : 광포화점 40klux, 광보상점 1.5-2.0klux
일광부조 도장, 엽구형성 억제
토양 : 보수력이 좋은 사질 양토가 좋다
사질토양 - 초기생육양호, 후기생육불량, 잎의 황화
점질토양 - 생육이 늦지만 황화지연 겉잎 녹색지속
토양반응 - pH 5.5-6.6, 산성토양 -석회결핍증, 무사마귀병 발생
3. 재배방식과 품종의 선택
1) 시설재배방식
주년재배가능, 시장수요와 수익성에 따라
저장배추와 봄배추가 나오기 전까지 생산 출하할 수 있는 방식
남부 촉성재배
10-12월 파종, 1월 온실정식, 3-4월 수확
조생종, 만추대성 품종선택, 온상육묘
중부 얼갈이 재배
얼갈이란 우리나라에서 단경기에 배추를 공급하는 전통적 재배
방식, 한겨울 방풍벽과 거적으로 언땅을 녹이고 최저 생육조건에서 재배
플라스틱 필음의 출현으로 새롭게 발전
중부 1월하순 파종, 2월중순 온실 정식, 4월상순부터 수확
2) 품종의 선택
저온감응이 둔한 만추대성일 것
극조생종으로 생육기간이 짧고 단기간 결구
저온, 약광에서도 결구가 순조로울 것
4. 재배기술의 요점
1) 육묘
얼갈이는 직파, 그 이외에는 온상육묘, 상온은 15-20C 유지
저온감응 화아분화 회피, 결구에 필요한 엽수확보가 중요
즉 8-10장 정도의 대묘확보, 따라서 식상을 줄이기 위해 분육묘
12C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보온에 각별히 신경써야
2) 정식
파종후 30일 본잎 5-6장 정식 적정묘 - 그러나 시설재배는 대묘로
정식전 지온확보 - 얼갈이 배추는 파종 1개월 전부터 온실피복
정식후에도 야간에 12C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온도관리(표 18-3 참조)
3) 시비와 일반관리
시비 : 충분한 퇴비 시용, 화학비료는 노지에 비하여 감량한다
석회(100kg)와 붕사(1.5kg)를 시비 결핍증을 예방한다
보온 : 야간커튼, 이중터널, 거적덮기
환기 : 청명한 날에 환기를 잘 해준다
수분 : 배추는 수분요구도가 높다, 특히 결구기에 많은 수분이 요구된다
점적관수법을 도입한다
5. 생리장해와 병충해
1) 생리장해
조기추대, 방울배추, 깨알현상, 석회결핍증, 붕소결핍증
2) 병 충 해
병 해: 무름병, 흰무뉘병, 검은무니병, 노균병, 무사마귀병, 똑딱병,
바이라스병, 균핵병, 밑둥썩음병
충 해 : 진딧물, 배추흰나비, 벼룩잎벌레
제18강 무
학명 : Raphanus sativus L.
영명 : radish
한명 : 라복(蘿蔔)
재배역사와 식품가치
원산지 : 지중해 연안설, 중앙아시아설, 중국설
이집트, 로마 - 고대 피라미드 비문과 벽화에 무 등장
중국 - 본초강목 BC 400 - 무의 분류 ; 흰 것, 붉은 것, 긴 것, 둥근 것
한국 - 삼국시대 중국으로부터 도입, 고려시대에는 주요채소로 발전
비타민 A와 C의 함량이 높다. 전분분해효소 아밀라제, 유황화합물함유
1. 재배현황과 경영적 특성
1) 재배현황
시설재배면적 4,818ha(6.2%), 총생산량 173,644 톤
지역별 재배면적 경기(45.7%), 전남, 경남,충남의 순
2) 경영적특성
대형봄무, 알타리무, 20일무가 재배되고 있다
대형봄무는 육묘이식재배를 한다
시설무는 재배방식이 단순하다
수요와 재배방식이 한정되어 있다 - 저장무의 소비가 끝나는 3월하
순부터 시설의 이용율을 높일 수가 있다 - 생육기간이 짧기 때문에
화아분화와 추대를 방지하는 일이 중요하다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2. 작물의 특징과 생육환경
1) 작물의 특징
1년 또는 2년생 초본식물로 근출엽형이다
뿌리는 목부비대형으로 모양. 색이 다양하다
종자춘화형이며 자가불화합성을 나타낸다
2) 생육환경
온도 :
저온에 강하며 고온에 약하다
발아적온은 25C, 생육적온은 20C
종자춘화형, 저온감응 화아분화, 고온장일강광 추대촉진
저온감응도 품종에 따라 다르다
생육단계에 따라 다르다 - 자엽이 전개할 무렵이 가장 예민하다
생육초기에 보온에 특히 주의해야한다
시설내의 주간고온 - 이춘화에 작용 추대를 억제시킨다
일광 :
일조충분 -> 광합성 -> 동화물질 - 근축적 비대
일조부족 -> 경엽번무 ->근비대 억제
강광,장일은 추대를 촉진한다
토양 :
표토가 깊고, 보수력이 좋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
사질토 - 발육은 촉진되나, 내한성과 품질과 저장력이 떨어진다
점질토 - 표피가 거칠어지고, 잔뿌리 다발하고, 노화가 늦어지며,
육질이 치밀 바람이 잘 들지 않는다. 저장용, 단무지용 재배에 적합
건조하면 뿌리 비대가 나빠지고 유관속이 목질화되어 품질이 떨어진다
알타리무의 논재배에서 다습하면 표피가 거칠어지고 쐐기모양이 된다
3. 재배방식과 품종의 선택
1) 시설재배방식
저온성작물, 저온감응
대형봄무 - 12-2월파종, 35일간 분육묘, 이식, 생육기간은 파종후 100일
알타리무 - 직파재배, 하우스재배 80일, 터널재배 50일 정도재배 수확
20일무 - 생육적온에서는 20일, 하우스재배에서는 30일 정도
2) 품종의 선택
만추대성
품종고유근형
육질, 맛 품질
저온, 약광에서 근비대
생육기간이 짧을 것
대형봄무 - 사철무 x 서울봄무의 1대 교잡종 깍두기용
알타리무 - 총각김치용
20 일무 - 좀홍당무, 특수수요에 부응하여 생산
4. 재배관리기술의 요점
1) 파종과 그 후의 관리
무를 이식하면 잔뿌리가 늘고, 표피가 거칠어 진다
대형봄무의 이식재배는 저온감응을 회피하기 위한 것
육묘기간 2-25일, 지름 5-7cm에 긴 분을 이용한다
온도관리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12C 이하가 안되도록
정식시에 주의해야할 점들
직근이 상하지 않도록 모종이 너무크지 않도록 하고
조심스럽게 운반하고, 정식구덩이는 깊이 파고,
심은 후에는 누르지 말고 온수로 관수해 준다
정식전에 플라스틱 필름으로 멀칭을 해준다
2) 시비
잘 썩은 퇴비나 계분을 넣은다 - 잔뿌리발생과 기근발생을 주의
석회나 붕사를 준다(배추와 마찬가지로)
그래도 저온,다습, 고온, 건조, 질소나 칼리 과다하면 흡수방해
염화칼슘 1%, 붕사 0.3%액을 엽면시비한다
생육초기에 엽면적을 충분히 확보한다
요소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암모니아가스 피해가 생긴다
3) 일반관리
무는 호냉성 채소이다
고온에서는 잎만 무성, 뿌리비대가 불량-25C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저온에서는 저온에 감응되어 화아분화-12C가 한계, 10C까지는 무난하다
시설재배는 생육기간이 다소 길다
예 알타리무 노지 9월2일파종 44일, 시설 2월20일파종 65일
5. 생리장해와 병충해
1) 생리장해
조기추대, 기근, 열근, 바람들이, 요철, 혹, 뿌리잘록, 균열갈변,
문신, 조피, 깨알, 공동현상, 붕소결핍증, 마그네슘결핍증
2) 병 충 해
병해 : 노균병, 흑부병, 세균성 검은무늬병, 위황병, 바이러스병, 흰
녹가루병, 검은무늬병
충해 : 벼룩벌래, 진딧물 등
제19강 화훼류의 시설재배
과수와 화훼의 시설재배에 대하여
채소에 비하여 과수와 화훼의 시설재배면적은 대단히 미미하다
화훼는 1,752ha, 전체 시설원예의 6%, 절화 및 분화, 노지보다 시설이 더
큰 비중 과수는 435ha, 전체 시설원예의 1.5%, 포도, 감귤, 복숭아, 열
대과수- 모든 과수 가능 재배기술이나 경영수준은 상당히 높은 편으로
앞으로 크게 성장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화훼재배는 시설재배로 이루어 지고 있다
절화 : 국화, 카네이션, 장미, 거베라, 글라디오라스 - 재배상 이용
분화 : 시클라멘, 프리뮬러, 양란, 관엽식물, 다육식물, 선인장류 - 벤치재배
강의내용
1. 화훼의 재배현황
2. 경영상의 특성
3. 절화의 시설재배- 국화
4. 분화의 시설재배- 시클라멘
1. 화훼의 재배현황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화훼산업 급신장, 면적과 전업농이 크게 늘어 났다
1990년 기준으로 시설재배가 56%로 노지재배를 앞질러 선진국형으로 발전했다
주로 플라스틱 하우스재배, 품목별로 분화가 35%, 절화가 23%로 주종 을 이룬다
절화류 : 경남, 경기, 부산, 제주, 전남 - 국화, 장미, 카네이션, 안개초,
백합, 거베라, 글라디오라스, 아이리스
분화류 : 경기, 서울지역 - 난류, 야자류, 관음죽, 소철, 고무나무, 철쭉류, 국화, 선인장, 벤자민
초화류 : 서울, 경기, 충남, - 페튜니아. 팬지, 샐비어, 메리골드
2. 경영상의 특성
- 경영규모가 영세하다 호당 평균 재배면적 0.4 ha(노지포함)
- 기업화되어 있지않다 규모영세, 자본부족, 플라스틱하우스중심
- 시설이 전근대적이다 구조, 자재가 현대화되어 있지 않다
- 가족노동력의 의존한다 규모가 영세하여 고용노동의 여지가 없다
- 자동화, 기계화가 부족하다 채소의 시설재배에 비하면
3. 절화의 시설재배
우리나라 전체 화훼재배면적의 3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주 생산화훼는 국화, 카네이션, 장미, 거베라, 아나개초, 글라디오라스 이다
국화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1) 절화재배용 시설
플라스틱하우스, 양지붕형에 연동형, 측면의 높이는 2 m 이상되어야
목재, 콘크리트 재배상(베드)에 배양토를 넣어 재배한다
너비 80-120cm, 통로 45cm
재배상 대신에 이랑을 만들어 이용하기도 한다
절화의 선별과 결속을 위한 작업실과 저온저장고가 필요하다
2) 환경관리의 특징
온도관리
저온기 : 보온, 가온난방
고온기 : 차광, 환기, 냉방
수분관리
관수의 자동화, 점적관수 또는 지중관수 이용
일광관리
전조처리 : 보광, 장일처리
국화재배 : 단일처리 - 차광막 이용
장일처리 - 보광, 광중단, 교호조명
3) 국화의 시설재배
국화!!!
원산지 : 한국 그리고 중국
특 징 : 모양, 색채, 향기 다양 - 절화수명이 길다
이 용 : 동양 - 화단, 분식 서양 - 절화
가. 생육환경
생육적온 - 15C 전후
일장반응 - 단일식물 한계일장은 품종별로 다르다
온도와 일장과 화아분화와의 관계 중요
온도와 화아분화
조생종 - 15C 이상에서 개화촉진
중생종 - 10-27C 범위에서 온도차이 무관
만생종 - 15C 이하에서 개화촉진
일장과 화아분화
조생종(6주국화, 하국, 7-8월국) - 한계일장 16시간 이상
일장과 무관하게 여름에 개화, 중성식물이라 볼 수 있다
중생종(10주국화, 추국) - 한계일장 14시간, 가을에 개화한다
만생종(15주국화, 동국) - 한계일장 12시간, 겨울에 개화한다
6주, 8주국화란? 단일조건 부여후 개화까지의 소요일수가 6주, 8주
나. 재배방식
주년재배가능 <- 품종선택, 차광, 전조처리
재배방식을 구분해 본다면
추국의 촉성재배 : 4-5월에 출하
추국 반촉성재배 : 5-7월에 출하
추,동국 전조억제재배 : 겨울에 출하
하국의 촉성재배 : 여름에 출하
다. 품종선택
시설재배 -> 절화생산
절화용 국화의 분류
동양 : 꽃이피는 시기, 즉 일장반응에 따라
하국(금력, 부사 등), 7-8월국, 추국(신동아,을녀 등), 동국(한국-천원)
서양 : 단일부여후 개화까지의 소요일수에 따라
6주국화, 8주국화, 10주국화, 15주국화
라. 재배관리
저온처리 : 육묘중 저온경과 ->줄기신장 촉진, 개화촉진
저온기 노지육묘 또는 고랭지 육묘를 한다
온도일장 : 정식후 온도와 일장은 개화에 영향을 미친다
화아분화 전후의 식물체 크기- 절화 상품성과 관계
잎이 10장이상, 키 25cm 정도때 화아분화가 되도록
품종별로 적정온도와 한계일장이 다르다
병 충 해 : 검은무늬병, 갈색무늬병, 잘록병, 잿빛곰팡이병,
진딧물, 응애, 거세미, 엽선충, 국화하늘소
4. 분화의 시설재배
전체 화훼재배면적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분화는 양란, 관엽식물, 전국에 산재, 대개 고정시설 이용
1) 분화재배용 시설
시설의 규묘가 작고 다양하다
고정식으로 연중이용되고 있다
재배용 벤치를 이용하고 있다
규모 : 너비 150cm 높이 70-75cm
자재 : 철재파이프, 앵글, 철사망, 구멍철판 이용
형태 : 이동식 벤치 - 이용율확대
파종, 정식, 분갈이를 위한 작업실이 필요하다
2) 환경관리의 특징
일반 시설재배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
화분의 관수 : 점적관수 또는 저면관수
3. 시클라멘의 분화재배
대표적인 분식화훼 <- 꽃의 모양, 색채, 수명
겨울에서 봄에 이르는 계절에 많이 이용된다
온실구근류, 종자번식
1) 생육환경
발아적온 20C
생육적온 초기 18C, 중기 22C 후기(개화기) 16-17C
상대적 장일식물, 장일조건에서 생육과 개화가 촉진된다
2) 품종선택
Cyclamen persicum Mill
재래종, 1대잡종, 미니시클라멘
주로 일대교잡종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개화가 균일하고 개화소요일수가 짧기때문
3) 재배방식
파종후 6개월, 본엽 18매 전개, 화아형성
그리고 3-4개월 지나면 개화한다
예, 3월에 파종하면 9월경 화아형성되어 12월-1월에 개화
4) 재배관리의 요점
파종 : 암발아종자, 파종상 차광
파종후 2개월 괴경형성 -> 분에 옮겨 심는다
여름에는 차광하고 겨울에는 실온이 22C 이상 되지 않도록 한다
지베렐린, 벤질아데닌처리 -> 개화촉진
시들음병, 무름병, 잿빛곰팡이병, 뿌리혹선충의 예방에 힘쓴다
제20강 과수류의 시설재배
386 P. 제23장 과수류의 시설재배, 과수의 시설재배는 조기출하로 수익성
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현재 포도, 감귤류의 시설재배가 상업적으로 이
루어 지고 있고 복숭아와 단감, 배, 대추 등의 시설재배가 시범적으로 이
루어지고 있다. 한때 바나나와 파인애플 등이 재배되었으나 경영여건의
변화로 생산이 거의 중단되었다.
강의내용
1. 시설과수 일반
2. 포도의 시설재배
3. 감귤류의 시설재배
4. 기타과수의 시설재배
1. 시설과수일반
과수용 시설(구조와 형태), 재배방식, 환경관리
1) 시설과수의 의의
경영의 안정과 수익성의 증대
노지과수 : 생산이 불안정, 노력이 집중, 동시출하, 가격경쟁불리
시설과수 : 조기출하, 품질향상, 출하기 조절, 노력의 분산, 병충해와
기상재해경감 생리장해예방, 시설연중이용, 수량증대, 수익성향상, 경영안정
2) 시설과수재배현황
모든 과수의 시설재배가 가능하다
일본 ; 전체과수의 2.9%(1990년 기준)
낙엽과수 - 포도,양앵두,배, 무화과, 복숭아, 살구, 감, 사과
등 10종
상록과수 - 온주밀감,오렌지, 레몬, 비파, 망고 등 20종
한국 ; 1965년 하우스 포도 촉성재배가 발단
1980년대 바나나, 파인애풀 시설재배 성행
1987년부터 감귤류의 시설재배가 급격히 증가
현재 포도, 감귤을 중심으로 7종에 435ha 정도 재배
3) 과수용 시설의 구조
- 시설의 구조가 높다
- 모양이 일정치 않다
- 비가림 시설이 많다
- 연중 피복하지 않는다
4) 작형과 품종의 선택
과수의 작형 - 채소, 화훼와 작형에 대한 개념이 다르다
노지재배와 시설재배
시설재배 : 극조기가온, 조기가온, 표준가온, 후기가온, 무가온 - 포도를 중심으로
품종의 선택 - 품종선택시 고려사항
- 시설재배로 품질향상의 효과가 큰 것
- 조생계로 조기출하가 가능한 것
- 가급적인 판매단가가 높은 것
- 시설재배에 따른 장해가 적은 것
- 재배방식에 적합한 것 예 극조기 가온재배에 극조생품종(밀감)
그러나 기존과수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품종선택에 제한을 받는다
5) 금후의 과제
시설과수 - 수익성향상, 안정된 경영 - 과종, 품종, 작형 선택 신중히
- 충분한 기술연수, 세심한 재배관리 필요
금후과제
시설구조의 개선 - 기본구조, 형태, 피복자재, 환경제어장치
재배기술의 향상 - 품종개발, 품질향상, 생육관리, 환경조절
경영기술의 개발 - 시설투자. 생산비절감, 시설이용율, 유통
6) 시설과수의 환경관리
과수의 생육특성을 시설의 환경특이성에 어떻게 적응시켜 나갈 것인가?
가, 온도환경
시설의 온도환경 : 일교차가 크고, 온도분포가 다르며, 지온은 다소 높다
아열대성 과수(감귤)은 일교차가 작아야 한다
온도교차가 크면 세포분열과 비대의 균형이 깨져 이상과가 생성-
온주밀감
과수시설은 높기 때문에 온도의 수직분포를 고르게 한다(교반기 활용)
상록성 과수의 발육은 지온이 높은 것이 유리하다 - 멀칭, 단열재 매설
지온과 기온의 불균형은 수체의 발육장해를 유발한다 - 간이피복
재배시 생육단계별로 적정 온도환경이 다르다
고온에서는 기형과, 생리적 낙과가 발생한다
나. 일광환경
광량부족, 특히 수관내부의 광량감소는 불균형 생장으로 나타난다
온주밀감의 경우 노지에 비하여 수량이 크게 증가하고 당도도 높
다 그렇다면 광량은 떨어지는데도 광합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적정 고온이 광합성을 촉진한다
광합성 가능기간이 길어진다
밀감의 잎이 음엽화하기 때문이다
(엽록체의 그라나가 무방향으로 배열)
(산랑광, 약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집광시스템 개발)
다. 수분환경
토양은 건조, 실내는 다습하기 쉽다
증산과 광합성 억제, 병해가 발생한다
충분한 토양수분을 유지한다(pF 2.0)
생육단계별 토양수분관리가 중요하다
개화기 - 생리적 낙과 ; 약간 건조한 상태, 수체내 탄수화물축적, 수정촉진
수확전 1개월 정도 ; 건조상태, 품질향상, 지나친 건조-유기산 감소지연
라. 공기환경
바람이 없다, 낙과, 풍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탄산가스가 부족되기 쉽다, 탄산시비가 필요하다
탄산시비의 효과는 계속 검토할 여지가 있다
2. 포도의 시설재배
1965년 대전근교에서 시작, 현재 옥천, 영동, 김천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1986년 이후 포도 가공품 수입자유화 이후 노지는 감소, 시설은 증가하고 있다
1) 시설포도의 입지조건
숙기촉진에 의한 조기출하가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숙기가 빠르고, 바람과 강우가 적고, 일조가 풍부하고, 평탄지 아니
면 10도 이하의 경사지, 지하수위가 낮고, 관수가 쉬우며, 수세가 건
전한 4년 이상의 성과기의 포도원
2) 재배방식과 품종
가온재배와 무가온재배
극조기가온, 조기가온, 표준가온, 후기가온
조기가온 ; 12월상순 피복, 12월하순 가온, 5월부터 수확 - 델라웨어
무가온재배 : 2-3월에 피복, 1-2중 커텐 이용 보온
주요품종
켐벨어리, 델라웨어, 거봉
3) 휴면타파
휴면은 보온 피복시기 결정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
자연상태, 켐벨어리 기준한 휴면의 추이
9월상순 휴면돌입, 10월하순 깊은휴면, 1월하순 휴면타파
인위적 휴면타파
석회질소 20%액의 상징액, 메리트청2배, 초산암모늄 10액 등
1율20일 이후 처리, 효과가 충분히 나타난다
4) 재배관리
가. 환경관리
생육단계별로 온도관리의 내용이 다르다(표23-1참조)
축열물주머니를 이용하여 보온을 해준다(그림 23-5)
생육단계별로 토양수분의 관리가 다르다
합리적 토양관리로 뿌리와 수세를 조절한다
나. 결실관리
지베렐린을 처리한다
목적 : 씨없는 포도생산, 과립비대, 숙기촉진, 송이의 신장(과립밀착 방지)
방법 : 델라웨어 100ppm, 개하후 10일경, BA 100-200ppm과
함께 신초의 수를 제한하고, 송이를 솎아준다
노지보다 결실량을 20% 정도 줄여서 생산한다
수확시에는 적기를 판정하고 미숙과를 출하하지 않는다
5) 생리장해와 병충해
생리장해 ; 꽃떨이현상, 축과병, 무기영양결핍증
병 충 해 ; 바이라스병,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갈색무늬병,포도유리나방, 매미충
3. 감귤류의 시설재배
온주밀감 -노지의 2배 증수 가능
시설재배 -한해방지, 성숙일수연장, 과실비대촉진, 수상완숙, 품질향상
1) 재배방식과 품종
가온재배 : 극조기가온, 조기가온, 보통가온
400 p. 표 23-3 참조
주요품종 : 궁천조생, 흥진조생, 궁본조생, 상야조생
2) 가온개시와 온도관리
가온개시기
조기가온형 ; 전정후 발생한 여름가지가 녹화한후 90일 이상경과
보통가온형 ; 수확종료후 90일 이상의 수세회복기간을 준 다음
생육단계별 온도관리
가온개시직후 ; 최저 15C 최고 25C
꽃망울착생후 ; 최저 17C 최고 25C
만개후부터는 ; 최저 18C 최고 25-26C
과실착생기는 ; 외부기온과 같게 한다
3) 전정과 결실관리
조기가온형 - 수확후 전정하여 여름가지를 충분히 발생시킨다
보통가온형 - 가온전에 가벼운 솎음 전정을 한다
적과는 과경이 20mm 시기에 시작하여 30mm 경에 끝낸다
4) 토양관리와 시비
토양표층에 염류기 집적되지 않도록 한다
토양개량제와 완숙퇴비를 많이 시용한다
청경재배로 지중축열을 꾀하고 짚멀칭을 한다
단계별로 관수량을 조절한다- 개화기는 건조, 유과기는 충분한 관수, 후기절수 등
5) 병충해와 수확
병충해
병충해는 노지에 비해 많지 않다
잿빛곰팡이병, 차먼지응애, 귤응애 피해가 있다
수확 착색정도, 악편의 황화정도로 숙기판단
과즙의 당도와 산도를 측정하여 판정함
4. 기타과수의 시설재배
1985년 복숭아 시설재배 시험연구
1988년 단감의 시설재배 시험연구
제주도 바나나는 중단, 파인애플은 유지
일본 등지에서 다양한 과수 시설재배
- 국내에서도 검토해 볼만한 과수가 많이 있다.
첫댓글 정말 알찬 자료라서 감탄스러우며 농학 학업수행에 좋은 자료로삼아 열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