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Tong - wchoul77님의 전기용어통
출처는 찾을 수 없네요 내용만 있어서 보기 좋게 편집해서 올립니다.
위 파일을 받으시면 본문 내용을 그대로 보실수 있습니다.
1. 왜 전류의 기호가 I인가?
옴(Ohm)의 법칙 V=IR 에서 V는 전압(voltage)이고, R는 저항(resistance)
I는 전류의 세기(intensity of current)의 약자이다.
1V의 전위차로 1A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저항을 1Ω이라고 정의하는데
V(Volt)는 이탈리아 학자 볼타(Volta)에서, A(Ampere)는 프랑스학자 앙페르(Ampere)에서
Ω(Ohm)은 독일의 학자 이름에서 유래된 단위이다.
2.전자(電子)와 전자(電磁)
전자(電子)는 영어로 electron이고, 전자(電磁)는 elctromagnetic이다.
전자(電磁)는 전기(electric)와 자기(magnetic)의 합성어이다.
전자식안정기, 전자식과부하계전기 등은 모두 electron이고,
전자유도현상, 전자개폐기, 전자파 등은 모두 elctromagnetic이다.
3.자기(磁氣)와 자기(自己)
자기(磁氣)는 magnetic이고, 자기(自己)는 self이다.
자기모멘트,자기변태 등은 모두 magnetic이고,
자기유지, 자기여자 등은 모두 self이다.
4.여자(勵磁)와 여기(勵起)
여자(勵磁 : excitation)는 권선(coil)에 전류를 통해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여기(勵起 : excitation)는 원자나 분자에 에너지를 부여하여 이러한 것을 기저 상태에서
보다 높은 에너지 준위로 옮기는 것이다.
excitation에는 자극, 흥분이란 일반적인 뜻도 있다.
*勵는 '힘쓰다'의 뜻.
ㅇ여자손(勵磁損)(excitation loss) : 교류 권선 단자에서 여자에 부수하여 생기는 손실로,
철손, 유전체손, 권선내 동손이나 외전류손 등으로 구성된다.
5. 절연체(絶緣體) 와 유전체((誘電體)
절연체(insulator)는 애자(碍子)등과 같은 부도체를 말하고
유전체(dielectric)는 한자의 뜻으로는
전기를 유인하는 물질이라는 뜻이지만 영어의 뜻으로는 절연체와 같은 뜻이다.
절연내력시험의 영어표기도 dielectric strength test이다.
6.지선(地線)과 지선(支線)
지선(地線)은 '접지선(接地線 : earth line, ground wire)'의 줄임말로 가공지선, 매설지선 등으로 쓰고
지선(支線)은 '지지선(支持線 : stay)'의 줄임말로 공통지선, 수평지선 등으로 쓰인다.
7. 인가(認可)와 인가(印加)
자가용전기설비의 공사계획의 인가는 인가(認可:authorization)이고
전압의 인가는 인가(印加:impression)이다.(인가전압은 impressed[applied] voltage)
웬만한 국어사전에는 나오지도 않는 인가(印加)는 힘등을 가한다는 뜻이다.
*印은 '찍다'라는 뜻.
8. 연가, 병가, 공가, 근가 ...휴가(?)의 종류
ㅇ연가(撚架 : transposition) : 근접한 약전선에 대한 유도 장해를 방해하고 또는 각 상도체의 선로 정수를 균형시킬 목적으로 각 도체의 배치를 적당한 구간에서 변경하는 것.
*撚은 '꼬다'의 뜻.
*transposition의 뜻은 치환, 교차.
ㅇ병가(倂架) : 서로다른 가공전선(例 : 고압가공전선과 저압가공전선)을 동일지지물에 가설하는 방식.
ㅇ공가(供架 : joint use ) :강전 선로와 약전 선로를 같은 전주에 설치하는 것.
ㅇ근가(根架) : 전주나 지선을 고정하기 위해 땅속에 설치하는 것.
ㅇ조가선(弔架線 : suspension wire): 전차선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현수선(縣垂線)이라고도 한다.(철도용어관련)
ㅇ조가선(助加線 : messenger wire) : 인장강도가 낮은 통신선이나 전압전선 등을 가공으로 시설하는 경우 사용되는 전선으로 대상통신선이나 저압전선 등을 지지하기위한 전선을 말함.
ㅇ가섭선(架涉線 : strung wire) : 지지물에 가설된 전선류
9. 단락, 지락, 섬락, 활락 ...
ㅇ 단락(短絡 : short, short curcuit) : 동일한 전압회로에서 절연되어 있는 충전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충전부와 접촉되는 것.
ㅇ 지락(地絡 : grounding) : 전로와 대지간의 절연이 저하되어 아아크 또는 전도성 물질에 의해서 연결되어 전로 또는 기계기구의외함에 위험한 전압이 나타나거나 전류가흐르는상태.
ㅇ 섬락(閃絡 : flashover) : 고체 또는 액체의 절연물 주위의 공간을 통해서 전위차가 있는 두 장소 사이에서 방전이 이루어지는 것.
ㅇ 활락(滑落 : sliding) : 케이블을 경사진 면에 설치하게 될 때 온도변화에 의한 선팽창으로 경사지에서 아래로 미끄러지는 현상.
ㅇ 접지(接地 : earthing, grounding, earth, ground) : 전력계통의 중성선이나 회로의 일부 또는 기기의 받침대,외함 등을 대지와 같은 전위 또는 최소의 전위차로 유지하기 위해 땅 속이나 그에 상응하는 곳에 전기적 단자를 시설하는 것.
10.약전(弱電) 과 강전(强電)
약전(회로)은 전기사업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 등에서는 60V 이하의 회로를 말하며 소세력회로라 한다.
그리고 소비전류가 6[A]이하인 가정용 전기기계기구를 소형전기기계기구라 한다.
한편 전압이 600볼트를 초과하거나 용량이 75킬로와트이상인 전력을 수전하는 일정규모
이상의 전기설비(자가용전기설비(自家用電氣設備)라 한다)의 시설자는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한후 신고하여야 한다.
================================================================
1.전기량과 전력량
전기량(quantity of electricity)이란 전하의 양을 말하는데 전류(전자의 흐름)에 시간을
곱하여 구한다.(Q=I.t) 여기서 전하(電荷 : electric charge)란 전기를 띤 입자 예컨대 전자, 양성자, 이온 등을 말한다.
1암페어[A]의 전류가 1초간 흘렀을 때에 해당하는 전기량을 1쿨롱[C]이라고 한다.
또 전기량을 암페어초[A.sec]로 나타내기도 한다.
전자의 전기량 e= -1.602 x 10^-19 [C] = -1.602 / 10^19 [C] (-는 음전기를 의미)이다. 즉 1[C]의 전기량은 전자가 약 6.25 x 10^18(625경(京))개가 집합했을 때의 전기량이다. 전기량을 구하는 식은 Q=I.t 외에 Q=CV도 있다.
여기서 C는 축전기(condenser)의 정전용량(靜電容量 : capacitance)으로 단위는 페럿[F]이다. 한편 Q[C]의 전하가 V[Volt]의 전압에 의하여 t[sec]시간 만큼 흘렀다면 이때 한일
W = QV = VIt = Pt[J]가 되는데 이를 전력량(electric energy)이라 한다.
즉 전력량이란 전력(power)이 시간과 함께 한 일의 양을 말하며 단위는 쥴[J] 또는 와트초[W.sec]이다.
통상적으로는 와트아워[Wh]나 킬로와트아워[kWh]를 사용한다.
1[J]=1[W.sec]이므로 1[Wh]=3600[J]이다.
또한 1[J]≒0.24[cal]이므로(이를 일의 열당량이라 한다) 1[kWh]=864[kcal]가 된다.
그리고 축전지(battery)의 용량단위인 암페어아워[Ah]는
1[C]=1[A.sec]이므로 1[Ah]=3600[C]이다.
전력량(전기에너지)을 구하는 식 W = QV에서 전자와 같은 크기의 전기량을 갖는 입자에 1V의 전위차를 가했을 때의 에너지를 전자볼트(electron volt, eV)라 하는데
1[eV]=1.602 x 10^-19 [J]이다.
*단위(Coulomb, Watt)와 기호(Capacitance, Work)가 서로 혼동되니 공식외울 때 주의요함.
2. --ance
ㅇ레지스턴스(resistance : 전기저항) : 단위는 오옴(Ω). 저항기를 가리킬 때도 있다.
ㅇ컨덕턴스(conductance : 전기전도도) : 전기저항의 역수. 기호는 G로 나타내며
단위는 모오(mho)(*옴(Ohm)을 거꾸로 한것임)또는 s(지멘스) 를 쓴다.
ㅇ릴럭턴스(reluctance : 자기저항) : 단위는 암페어 턴(회수) 매 웨버[AT/Wb]이다.
ㅇ퍼미언스(permeance : 투자도(透磁度)) : 자기저항의 역수.
ㅇ커패시턴스(capacitance : 정전용량(靜電容量)) : 일정한 전위 V를 주었을 때 전하Q를 저장하는 능력. electrostatic capacity라고도 한다. 단위는 패럿[F]
ㅇ일래스턴스(elastance) : 커패시턴스의 역수. 단위는 다라프[Daraf](*Farad(풰럿)을 거꾸로 한것임)
ㅇ인덕턴스 (Inductance) :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되면 그 코일에 전압이 발생된다.
이 전류 변화에 대해 발생되는 전압의 비율을 표시하는 양으로서 단위는 H(헨리).
ㅇ임피던스(impedance : 교류저항) : 교류회로에서 인가전압 E(V)와 회로의 전류 I(A)와의 비를 말함.
일반적으로 Z의 기호를 사용하며 단위는 Ω.
ㅇ어드미턴스(admittance): 임피던스의 역수. 일반적으로 Y의 기호를 사용하며 단위는 모오(mho).
ㅇ리액턴스(reactance) : 교류 회로에 있어서 임피던스(Z=R+jX)의 허수분 X를 말하며 단위는 Ω.
여기에는 코일(L)에 의한 유도리액턴스(XL)와 콘덴서(C)에 의한 용량리액턴스(Xc)가 있다.
ㅇ서셉턴스(susceptance) : 어드미턴스(Y=G+jB)의 허수분 B를 말하며, 단위는 모오(mho).
3. 정수와 상수
전기에서 정수는 상수(常數)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정수(定數)이다. 수학에서 쓰는 것은 정수(整數 : integer)
ㅇ시정수(時定數 : time constant) : 시상수(時常數)라고도 함. 전기 회로에 갑자기 전압을 가했을 경우 전류는
점차 증가하여 마침내 일정한 값에 도달하는데 이 때의 증가의 비율을 나타내는 말이며
정상값의 63.2%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초로 표시한다.
ㅇ선로정수(line parameters): 전선로가 가지고 있는 저항(R), 인덕턴스(L), 정전용량(C), 누설컨덕턴스(G) 등의 값.
ㅇ영상전달상수(image transfer constant) : 4단자망의 입력측과 출력측의 전력 전송 효율을 나타내는 상수. 기호 θ.
즉, 전송 회로망이 그 영상 임피던스로 종단되었을 때의 입력 전압/출력 전압의 자연 대수값과,
입력 전류/출력 전류의 자연 대수값과의 산술 평균을 말한다.
대칭적인 전송 회로망인 경우에는 전달 상수는 전파 상수와 같다.
4. 영상(映像)과 영상(零相)
영상(映像 : image)은 "화상(畵像)"이라는 뜻으로 영상신호, 영상주파수등에서 쓰이고
영상(零相 : zero-phase sequence)은 영상전류, 영상전압, 영상분 등에서 쓰인다.
영상임피던스는 두가지 용법으로 모두 쓰인다.
ㅇ 영상임피던스(zero phase sequence impedance) : 3상 교류 회로의 각 상에 영상 전류가 흘렀을 때 생기는
각 상의 전압 강하의 영상 전류에 대한 비. 각 상의 영상 임피던스는 서로 같다.
ㅇ 영상임피던스(image impedance) : 4단자 회로망에서 출력 단자와 입력 단자에 임피던스를 접속했을 때
입력측에서 본 임피던스와 출력측에서 본 임피던스를 말한다. 이 때는 외부의 임피던스와 4단자 회로망의 입력임피던스가
접속점에서 같으므로 임피던스가 정합되어 있어 전송 전력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아 가장 유효한 전송이 이루어진다.
5. 전자파
ㅇ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전자파장해.
ㅇ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전자파내성. 방사된 전자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을 말함.
6. VV
ㅇ VVR : 600V 이하의 저압 회로용에 사용되는 600V 비닐절연 비닐외장 케이블 원형(round)의 전선기호임.
로맥스전선이라고도 부름.
ㅇ VVF : 600V 이하의 저압 회로용에 사용되는 600V 비닐절연 비닐외장 케이블 평형(flat)의 전선기호임.
ㅇ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e): 가변전압가변주파수
7. 표시장치
ㅇ LED(light emitting diode) : 발광다이오드
ㅇ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
ㅇ PDP(Plasma Display Panel): 네온광을 발광시켜 표시광으로 이용하는 전자표시장치.
8. 한류와 한시
ㅇ 한류(限流 : Limit Current) : 전류를 억제, 제한하는 것.
ㅇ 한시(限時 : Time Delay) : 동작시간이 늦어지도록 한 것. 시한(時限)이라고도 함.
한시 특성에 따라 정한시형, 반한시형, 순한시형으로 구분.
9. 연속 펄스변조 방식의 종류
컨버터 등에서 신호파를 연속적인 아나로그 양으로 변조하는 방식.
ㅇ 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 진폭 변조
ㅇ PWM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ㅇ PPM (Pulse Phase Modulation): 펄스 위상 변조
10. 평방과 입방
평방(平方)이란 제곱이란 뜻이고, 입방(立方)이란 세제곱이란 뜻이다.
영어로는 스퀘어(square)와 큐빅(cubic). 일본어로 평방미터를 平米(헤에베에)라 하고
입방미터를 立米(류우베에)라 한다.
*광복절이 내일인데 아니 웬 일본말?
현장에서 루베 어쩌고 하길래 쓸려면 정확히 알고 쓰자는 뜻에서
학술용어는 아니지만 여기에 적었다.
일본말 얘기가 나온 김에 한마디 더 언급하자.
우리가 쓰는 각종 학술용어가 일본어에 터잡은 것이 많은데
고유의 우리말과 혼동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천장(天障)은 우리말, 천정(天井 : 텐죠오)는 일본말,
장애(障碍)는 우리말, 장해(障害 : 쇼오가이)는 일본말이다.
누가 필자에게 어느말이 옳으냐고 묻기에 찾아본 것이다.
그러나 학술서에는 둘 다 다 혼용해 쓰고 있다.
============================================
1.허수를 왜 j로 나타내는가?
√-1 을 허수(imaginary number)라 하며 이를 수학에서는 ⅰ로 나타내지만 전기에서는 j로 나타낸다.
이것은 ⅰ가 전기에서는 전류밀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j를 허수단위로 대용한 것이다.
회로의 전압과 전류를 복소수(complex number) 형태로 나타낸 것을 복소전력(複素電力)이라 하는데 (허수는 무효분을 나타냄) 이 때 전압과 전류를 서로 곱하는 것이 아니고 전압과 전류의 어느 한 쪽을 켤레복소수(공액복소수)로 고친 다음
곱해야 한다. 그리고 전류에다 켤레복소수를 취하면, 지상(유도성)을 "+"로 진상(용량성)을 "-"로 하며,
전압에다 켤레복소수를 취하면, 진상(용량성)을 "+"로 지상(유도성)을 "-"로한다.
예컨대 V=100+j10[V], I=5+j5[A]일때 복소전력으로 나타낸 피상전력은 다음과 같다.
P₁= (100+j50)(5-j5) = 750-j250[VA]
또는 P₂= (100-j50)(5+j5) = 750+j250 [VA]이다.
P₁은 전류에다 켤레복소수를 취한 경우로 그 곱의 허수부분이 -이므로 진상무효전력이 250[Var]이 되고,
P₂는 전압에다 켤레복소수를 취한 경우로 그 곱의 허수부분이 +이므로 진상무효전력이 250[Var]이 된다.
즉 계산 결과는 다르지만 해석은 같다.
2. 흐름
ㅇ 직류(直流 : DC, Direct Current):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방향과 크기가 일정한 전류
ㅇ 교류(交流 : AC, Alternating Current):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시간간격으로 방향을 바꾸어
교대로 정 및 부의 값을 가지는 전류. 교번전류의 약칭.
ㅇ 맥류(脈流 : ripple current, pulsating current): 정류 회로에서 교류를 정류한 경우 직류 출력에 남는 교류분. 맥동전류의 약칭.
ㅇ 와류(渦流 : eddy current) :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는 곳에 놓인 도체 내부에 전자기 유도에 의해 생기는 소용돌이 모양의 전류. 맴돌이 전류라고도 함.
ㅇ 횡류(橫流 : cross current) : 발전기를 2대 이상 병렬 운전을 할 때 부하를 흐르지 않고 발전기 상호간을 흐르는 전류.
전압과 전류의 위상 관계에서 거의 동상의 유효 횡류와 90도 위상이 다른 무효 횡류가 있다.
ㅇ 속류(續流 : follow current): 방전 전류에 이어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주파수(power frequency) 의 전류.
ㅇ 조류(潮流 :power flow ) : 전력 계통에 있어서의 유효 전력, 무효 전력의 흐름.
ㅇ 돌입전류(突入電流 : rush current):과도적으로 정상 상태보다 크게 흐르는 전류.
여자충격전류(inrush current),기동전류(start electic current)라고도 한다.
ㅇ 순환전류(loop current) : 임의의 폐회로 또는 기기의 내부를 순환하는 전류.
ㅇ 고장전류(fault current) : 하나의 도체에서 지면으로 또는 별도의 도체로 양자사이에 이상한 결합(아크를 포함)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 사고전류,이상전류라고도 한다.
ㅇ변위전류((變位電流: displacement current):콘덴서에 교류전압을 인가할 때 흐르는 전류.
단위시간당 전기선속의 변화율에 진공유전율을 곱한값으로 정의.
ㅇ전도전류(傳導電流 : conduction current):도선내의 자유전자가 이동 할 때 생기는 전류.
3. 덕트 프레임
ㅇ EPS(electric pipe shaft) : 전선배관 수직통로. 적산전력량계 등이 설치됨.
ㅇ EDB(electrical duct bank) : 지하매설전선관 집합전선로.
ㅇ MDF(main distribution frame) : 전화 교환 설비에서의 주배선반.
ㅇ IDF(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 : 중간배선반. 단말국에서 가입자 회선과 회로를 교차 접속하는 배선반.
4. 전선
ㅇIV(In-door Poly Vinyl Chloride Insulated Wire) : 600V 옥내용 비닐절연 전선.
최대 도체 사용온도는 60℃.
ㅇHIV(Heat-resitant PVC Insulated wire) : 600V 2종비닐 절연전선. 주로 소방용 배선에 사용.
최대 도체 사용온도는 75℃.
ㅇ KIV(600V grade pvc insulated wire for elecrical apparatus) : 600V 전기기기용 비닐절연전선. 전기기기의 내부배선용으로 사용. 최고허용온도는 60℃.
5. 송배전선
ㅇ송전선(transmission line, T/L) : 발전소 상호간, 변전소 상호간 또는 발전소와 변전소간의 전선로.
ㅇ배전선(distribution line, D/L): 변전소에서 수용가에 직접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선로.
ㅇ급전선(給電線 : feeder):변전소 또는 발전소로부터 수용가 집단에 이르는 배전 선로 가운데 분기선 및 배전 변압기가 없는 부분.
ㅇ간선(幹線 : main line) : 인입구에서 분기회로에 이르는 배선으로 분기회로의 분기점에서 전원측 부분의 선.
ㅇ긴선(緊線) : 연선된 전선과 가공지선을 내장철탑간에서 소정의 장력으로 내장애자장치에 취부하고 현수철탑에서 전선 등을 현수장치에 고정하는 것.
ㅇ모선(母線: bus):변전소의 주변압기 단자에서 송배전 선로의 인출구까지의 여러 종류의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공통의 전선.
단일 송배전 계통에서 수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2중 모선을 사용한다. 또 상시 2계통 이상을 수전하는 경우에는 환상(環狀 : loop) 모선을 쓴다.
ㅇ상분리모선(IPB : isoated phase bus) : 각 상의 도체가 따로 따로 금속 외피로 쌓여 인접한 도체와는 공기를 개재하여 분리되어있는 모선.
ㅇ버스바(bus bar) : 옥내 배선에서 사용되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띠 모양 모선.
*이를 "부스바"로 발음하는 것은 잘못임. 이것은 "어"발음이 없는 일본말의 영향인 듯.
running을 일본말로는 난닝구, pants는 빤쓰, Seoul은 소우루.
발음 얘기가 나온 김에 한마디 더.
시퀀스회로에서 공통선을 나타내는 커먼(common)을 "콤봉"으로 부름도 잘못.
6. 계전기
ㅇ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전자식과전류계전기. 특정제작사 제품명칭.
ㅇ OCGR(over current ground relay) : 지락과전류계전기.
*과전류(over current)는 과부하(over load)와 같은 뜻으로 쓰고
지락(ground fault)은 접지(earth)와 같은 뜻으로 쓴다.
7. 램프
ㅇHID(High Intensity Discharge)램프 : 고휘도 방전등. 고압수은램프, 고압나트륨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가 있다.
ㅇHQI(Hydrogenic Quartz Iodide)램프 : 할로겐등(halogen lamp).
*할로겐 램프는 1959년 즈블러(E.G.Zubler)에 의해 요오드 전구가 발명된 것에서 시작된다.
그뒤 요오드 이외의 각종 할로겐 화합물을 봉입한 것이 보급되어 할로겐램프라고 부르게 됐다.
ㅇ메탈핼라이드램프(metal halide lamp) : 금속의 할로겐화합물의 증기중에서 아크방전으로부터 방사하는 금속특유의 빛을 이용한 등.
* metal halide는 금속 할로겐화합물이란 뜻으로 나트륨, 탈륨, 인듐, 스칸듐, 디스프로슘, 주석의 요오드 화합물의 단체 또는 조합을 말한다.
그리고 halogen이란 소금(halo,salt)을 생성하는 물질이란 뜻의 그리스어로
원소주기율표상 7족(장주기율표상으로는 17족)원소를 일컫는 말이다.
ㅇ EL(Electro-Luminescene)방전등 : 전기를 인가하면 하나의 면 전체가 균일하게 발광하는 평면광원.
ㅇ BL(ballastless lamp) : 안정기(安定器 : ballast)없는 방전램프.
ㅇ BL(blended lamp) : 안정기내장형램프. 발광관과 직렬로 백열 전구 필라멘트를 접속하여 봉해 넣은 고압 수은 램프.
외부 안정기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효율은 낮지만 연색성(演色性)이 좋다.
8. 변환기
ㅇ SVR:①슬라이닥 전압 조정기(Slidac Voltage Regulator)
②정전압조정기(static voltage regulator)
③정지형무효전력보상장치( static var compensator )
싸이리스터를 이용하여 병렬콘덴서와 리액터를 신속하게 접속 제어하여 계통의 전압을 유지하는 장치.
ㅇ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자동전압조정기
*슬라이닥스(Slidacs): 입력된 교류전원의 크기를 변환시켜 새로운 교류 전원을 만드는 장치.
변압기를 회전시켜 전압을 가변하는 방식이다.
9. 회로소자
ㅇ 서미스터, 더미스터(thermistor) : 온도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는 성질을 가진 반도체 회로소자.
ㅇ사이리스터(thyristor) : pnpn접합의 4층 구조 반도체 소자의 총칭으로, 소전력용부터 대전력용까지 전류제어 정류소자로서 널리 사용.
ㅇ바리스터(varistor) : 전압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는 성질을 가진 반도체 회로소자.
10. 잠동 미동
ㅇcreeping:①잠동(潛動)현상(shunt running).무부하상태에서 적산전력계원판이 돌아가는 것.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거나 작은 철편을 붙여 방지.
②통신용 케이블의 연피가 외부 진동에 의한 이동으로 인하여 피로하게 되고 균열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ㅇcrawling : 미동(微動)현상.
농형 유도 전동기의 이상 기동상태의 하나로, 부하가 요구하는 토오크의 근소한 경우일지라도 가속을 할 수 없고 저속도로 운전을 계속한다. 차동기운전이라고도 한다.
회전자의 홈(slot)을 비스듬이 하여(skew slot) 방지
=========================================================
1. 왜 3상의 각 상 표시를 R, S, T로 나타내는가?
3상(相, phase)을 표시하는 기호는 RST, ABC, UVW 등등 나라마다 다양하다.
이러한 기호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일련으로 된 알파벳을 편의상 붙인 것이다.
우리는 통상 RST로 나타내나 이것은 일본식이고 국내의 내선규정에서의 상의 표기는 A,B,C로 하고 있으며
미국도 A,B,C로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플립플롭(flip flop)중에 RST플립플롭이 있는데 이때의 R은 reset, S는 set, T는 toggle이란 뜻이다.
그리고 3상유도전동기의 결선에는 Y결선과 △결선이 있는데 이때 선번이 u,v,w,x,y,z 또는 1,2,3,4,5,6으로 된
6개의 리드선이 나오는데 x,y,z(또는 4,5,6)를 같이 묶으면 Y결선 이 되고, u-z(1,6),v-x(2,4),w-y(3,5)를 묶고
단자를 내면 델타 결선이 된다.
2. 중성선과 접지선
중성선(Neutral line,N상)이란 단상3선의 경우나 3상 교류 계통에서 변압기를 Y결선하는 경우에 그 중성점에 접속되는
전선(인출한 선)을 말한다.
배전계통에서는 일반선(R, S, T 또는 A, B, C ) 사이의 선전압 이외에 일반선과 중성선(N) 사이의 전압,
즉 상전압의 사용이 가능하며 선전압은 동력용으로 사용하고, 상전압은 전등용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380/220 3상4선식 공급방식의 경우 R과 S, 또는 R과 T ,S와 T등 상선을 이용하는 경우
380V의 전압이,R과 N, S와 N, T와 N을 연결하는 경우 220V 전압을 사용하게 된다.
접지선(Earth wire)은 대지의 접지극과 연결된 선을 말한다.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대지와 등전위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정상적인 전기회로 이외의 누설전류 등을 대지로
귀로시켜 인축을 전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시설한다.
중성선은 정상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접지선과 달리 일반적인 경우 전기회로의 일부로 전기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시 전류가 흐르는 상태 즉 통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중성선에는 상전류의 20%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3. 상별 표시 색상기준
발전소·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수·변전실)의 특별고압 전로에는 보기 쉬운 곳에 상별 표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전기설비기술기준) 다음과 같은 규정 또는 규격을 따르고 있다.
ㅇ 내선규정160-4
- 3상 3선식, 단상3선식 : 중성선이나 접지측 전선에는 회색 또는 백색표시
- 3상 4선식 : A상 흑색, B상 적색, C상 청색, N상 회색 또는 백색표시
ㅇ 폐쇄배전반 규격(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 KEMC 1106, 1107)
- 3상회로 : A상 적색, B상 백색, C상 청색, 영상 및 중성상 흑색
- 단상회로 : 제1상 적색, 중성상 흑색, 제2상 청색
단, 3상회로로부터 분기한 단상회로에 있어서는 분기전의 색별에 따른다.
그리고 접지선(E)의 색깔은 녹색으로 표시한다.
4. 차단기
ㅇ GCB(Gas Circuit Breaker):가스차단기. 투입 차단 시 발생하는 arc 생성물을 육불화황(SF6)의 압축가스를 이용하여 소호하는 차단기.
ㅇ GIS(Gas Insulated Switchgear):가스차단기. 철제용기속에 모선 및 개폐장치를 넣어 SF6 Gas로 충진 밀폐한 것.
주모선만을 재래식 대기절연방식으로 하고 개발장치만을 SF6 Gas에 밀폐 사용한 설비를 복합형 GIS(일명 Hybrid형 GIS)라 하고 SF6 Gas로 절연된 모선을 GIB(Gas Insulated Bus)라고 한다.
* 스위치기어(switchgear) : 발전, 전력의 전송, 배전, 변환에 관련되는 결합체, 보조물, 상자와 지지구조 등을 포함한 것.
5. 회로
ㅇ 분로(分路 : shunt) : 하나의 회로단위에 대한 두 갈래(병렬)의 회로접속.
어느 전로의 전류를 측정하는 경우에 전로의 전류가 전류계의 정격보다 큰 경우에는 전류계와 병렬로 다른 전로를 만들고, 전류를 분류하여 측정하는데 이를 분류기(shunt resistor)라 한다.
ㅇ 분권(分捲 : shunt-wound) : 계자권선(界磁捲線)이 전기자권선(電機子捲線)과 병렬로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것.
ㅇ 측로(側路 : bypass) : 전기,수도,가스 등에서 주공급라인의 고장시에도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설치되는 우회공급로.
6.
ㅇ 선로긍장(線路亘長,line length) : 가공(架空) 및 지하 전선로의 배선 길이를 표시.
가공 선로의 긍장이란 선로의 2점 사이의 경간(지지물 사이의 수평거리)을 말하며 지중 선로에 있어서는 두 점 사이의 한 줄의 케이블 경간을 말한다.
*亘이란 뻗치다라는 뜻.
ㅇ 회선연장(回線延長,circuit length) : 도선수에 관계없이 선로 회선의 길이를 ㎞로 나타낸 것. 즉 긍장에 회선수를 곱한 길이를 말한다.
반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채널수를 곱한 거리.
ㅇ 전선연장(conductor length) : 전선로의 지정된 구간에서 전선의 연 길이 즉 3상 3선식 2회선의 송선 선로의 긍장이 100Km이면 그 회선 연장은 200Km, 전선연장은 600Km. .
7. 전력계
W(Wattmeter) 전력계
WH(Watt hour Meter)전력량계,적산전력계
DM(DM : demand meter) : 수요전력계. 수요전력과 최대수요전력 양쪽을 측정하는 장치.
MDW(Maximum Demand Wattmeter)최대수요 전력계
VAR(VAR Meter)무효 전력계
* 실효값 1 V인 사인파 전압을 가했을 때, 그와 위상이 90° 다른 실효값 1A의 사인파 전류가 회로에 흘렀을 때의
무효전력이 1VAR이다. 즉 1VAR =1VA. (R은 Reactive(무효)의 약자)
8. 주파수
ㅇ 고조파(高調波 : higher harmonics) : 주기적인 파형은 그것이 정현파 이외의 것이라도 다른 주파수를 갖는 여러 개의 정현파로 분석할 수 있다.(이를 퓨리에(fourier) 해석이라 한다)
이 중 주파수가 가장 낮은 것이 기본파이고, 다른 것은 그 주파수가 기본파의 주파수의 정수배가 되므로 고조파라 한다.
그 중 홀수배의 것을 홀수 고조파, 짝수배의 것을 짝수 고조파라 한다.
교류전동기의 고조파 회전자계는 3차고조파는 회전자계가 생기지 않으나,
5차고조파는 기본파와 반대방향으로 1/5배로 회전하고
7차고조파는 같은방향으로 1/7배로 회전한다.
ㅇ고주파(高周波, High Frequency) : 상용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무선 통신용 주파수의 명칭으로서의 고주파(HF)는 3㎒내지 30㎒의 주파수 범위를 말한다.
* 상용주파수(power-frequency) : 주파수 15Hz~100Hz, 파고율 1.34~1.48 범위의 파형을 갖는 것 중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각 국마다 다르며 우리나라는 60Hz이다.(중국은 50Hz, 일본은 60Hz와 50Hz를 모두 상용)
9. 차단기용어
ㅇ 트립(trip) : 차단기가 계전기 등에 의해 개로(open)되는 것.
ㅇ 트립타임(Trip time ) : 전선로에 단락이 발생한 순간으로부터 차단기의 동작이 끝날때까지의 시간.개로시간.
ㅇ 트립프리(trip free) : ① 폐로 조작의 지정된 동작 기간에 있어 개로 동작이 폐로 동작보다도 우선적으로 행해지는 것.
② 개폐기나 차단기에서 그 폐로 또는 조작 기구의 동작과 관계없이 트립 기구가 동작하는 것.
ㅇ 트립프리계전기(trip free relay) : 차단기의 투입과 차단지령이 동시에 가해질 경우 항상 차단이 우선되어야만 차단기가 사고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계전기를 트립프리계전기라 한다.
누전차단기의 조작용 손잡이 또는 누름단추는 트립프리 기구이어야 한다.
ㅇ 트랩(trap) : 불필요물의 제거 장치.
ㅇ 병렬트랩(line trap) : 방해파를 제거하기 위해 주회로와 병렬로 접속되는 필터(직렬 공진 회로).
10. 변압기
OT(Oil of Transformer) : 변압기절연유
OA(open air) : 유입자냉식.
FA(forced air) : 유입풍냉식.
============================================================
1. 고압, 특고압, 초고압
전기설비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면, 직류에 있어서는 750V를 넘고 7,000V이하, 교류에 있어서는 600V를 넘고 7,000V이하의 전압을 고전압 또는 고압(high voltage)이라고 하고 7,OOOV 를 초과하는 전압을 특고압(extra high voltage)이라 한다. 현장에서는 20만볼트를 초과하는 특별 고압을 초고압(ultra high voltage )이라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2.공칭전압, 정격전압
ㅇ공칭전압(公稱電壓, nominal voltage) : 전압의 종류를 표현하는데 편의상의 목적으로 회로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압이며, 그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하며 그 선로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표준전압(標準電壓 : standard voltage) 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110, 220, 3,300, 6,600, 22,900, 66,000, 154,000, 345,000, 765,000 V 등이 그것이다.
ㅇ정격전압(定格電壓 : rated volt) : 전기를 사용하는 기계기구와 배선기구 등에서 사용상의 기준이 되는 전압을 정격전압이라고 한다. 사용전압(使用電壓)이라고도 한다.
차단기의 정격전압은 차단기에 부과될 수 있는 사용회로전압의 상한을 말하며, 그 크기는 선간전압의 실효값으로
나타낸다.
즉 정격전압 = 공칭전압 x 1.2 / 1.1
한편 피뢰기의 정격전압 = 공칭전압 x 1.4 / 1.1
그리고 발전기의 정격전압은 보통 소형에서는 3300, 중형에서는 6600, 대형에서는 11000, 13800, 18,000, 20,000 V 가
표준이다.
*송전전압이 미국에서는 이미 100만볼트가 넘었고 우리나라도 76만5천볼트까지 갔는데 발전전압상한이
2만볼트인 것은 발전기 절연의 곤란 등을 고려하여 정한 것이다.
*우리나라 배전전압은 왜 22.9 kV인가?
우리나라가 광복된 후 초기의 고압배전방식은 그 당시 일본의 배전방식인 3.3kV 비접지방식 이었다가
1960년대 초 군사혁명정부에 의해 6.6kV로 승압이 이루어 졌다.
그 이후, 지역에 따라 3.3kV, 6.6kV를 Y결선한 5.7kV, 11.4kV로도 배전하였으나,
지금은 일부 6.6kV가 서울과 제주에 남아 있고,
전국의 고압배전전압이 전부 22.9kV-Y 다중접지방식으로 일원화 되었는데
이 전압은 6.6kV를 2배로 승압한 13.2kV를 Y결선한 것이다.
즉 Y결선의 경우 선간전압은 상전압의 √3 배가 되니까 13.2 x √3 ≒ 22.9 인 것이다.
*투투나인의 추억
22.9 kV 배전선을 한전에서는 '투투나인'이라고 부른다.
1980년 필자는 군제대 후 한전영월영업소에서 신규수용 및 지장전주철거 접수 업무를 맡았었다.
그 당시까지도 농촌에는 전기공급이 안된 지역이 있었는데 농어촌전화(電化)사업 조사차
공무과 외선계직원과 같이 메밀꽃 필무렵의 고장 평창 봉평지역에 출장나갔던 기억이 새롭다.
그리고 도전(盜電)(이를 한전에서는 천용(擅用)이라 부른다)단속도 했는데 도전하다 걸린 사람(여자 사장이었다)이 공장에서 셈빵(선반(旋盤)의 일본말)을 좀 사용했다고 한 기억이 난다.
그때 필자의 집이 서울이었는데 한창 110V에서 220V 승압이 추진되고 있었지만 지방에서는 신규수용시 220V가 공급되었고 배전전압은 22.9kV, 송전전압은 345kV가 막 공급되기 시작했다.
일본은 지금도 배전전압이 고압(6600V)에 머물고 있지만 우리는 배전전압이 특고압인데, 이것은 우리가 자부심을 가질만하다. 그러나 심심치 않게 일어나는 감전사고시 그 결과는 끔찍하다.
3. 상전압, 선간전압, 대지전압
ㅇ상전압(相電壓, phase voltage ) :교류 다상식 접속에 있어서 1상의 전압을 말한다.
ㅇ선간전압(線間電壓, line voltage ) : 상선과 상선간의 전압을 말한다.
예로 3상회로에 있어서 Y결선의 경우 선간전압은 상전압의 √3 배가 되며
Δ결선의 경우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같으나 선전류는 상전류의 √3 배가 된다.
ㅇ대지전압(對地電壓 : voltage to ground) : 배전방식이 접지방식인 경우에는 전선과 대지(大地)와의 사이의
전압을 말하고, 비접지방식의 경우는 전선과 전선과의 사이의 공칭전압을 말한다.
3상4선식 전로의 중성점을 접지하면 각 상의 대지전압은 선간전압의 1/√3 이 된다.
4. 상(phase)
ㅇ 정상(正相,positive-phase-sequence) : 다상회로에서 순방향의 상회전 순서를 갖는 것.
ㅇ 역상(逆相 : negative phase sequence) : 상회전 순서가 역방향인 것.
ㅇ 결상(缺相 : open-phase):다상 회로의 1상의 도체에 입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ㅇ 건전상(健全相) : 단락이나 지락 등의 사고가 없는 정상상태의 상.
5. 감극성, 가극성
ㅇ 감극성(減極性, subtractive polarity ): 단상 변압기의 극성을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로, 고압권선의 단자 U와 저압
권선의 단자 u를 접속하고 변압기에 전압을 가하면 V와 v 사이의 전압이 U와 V간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는
이것을 감극성이라고 한다. U와 u는 겉 케이스의 같은 쪽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감극성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ㅇ가극성(加極性, additive polarity) : 단상 변압기의 극성을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 고압 전선의 단자 U 및 저압 권선의 단자 u를 접속하여 변압기에 전압을 가한 경우 V 및 v 사이의 전압이 U 및 V 사이의 전압보다 높을 때를 가극성이라고 한다.
U 및 u가 외함의 대각선 상에 있다.
6. 조명
ㅇ광속(光束,luminous flux) : 광원에서 빛이 흘러 나오는 에너지.
그 밀도가 눈에 느껴지는 밝기의 근원이 된다. 단위는 루우멘(1umen, 기호 1m).
각 방향의 고르게 1칸델라씩을 내는 광원으로 단위 입체각에 내는 광속을 1루우멘이라고 한다.
ㅇ광도(光度, luminous intensity) : 발산하는 빛의 밀도를 말한다. 점광원(點光源: point light source) 이 있는 빙향에서의 광도란 그 방향에서의 광속의 입체각 밀도이다. 광도의 단위는 칸델라(candela, 기호 cd)이다.
ㅇ조도(照度, intensity of illumination) : 빛에 의한 밝기의 정도, 즉 면이 받는 광속(光束 : luminous flux)의 밀도이다.
단위로는 럭스(lux, 기호 lx)가 사용된다. 럭스는 평방미터당의 루우멘과 같다.
ㅇ휘도(輝度, luminance) : 눈부심의 정도를 말한다.
단위는 칸델라/제곱미터[cd/㎡]이다. 이를 스틸브(stilb, 기호 sb) 또는 니트(nit, 기호 nt)로도 나타낸다.
ㅇ광속발산도(luminous emittance) : 어느 면의 단위면적에서 발산하는 광속, 즉 발산광속의 밀도를 말한다.
단위는 루멘/제곱미터[lm/㎡]이다. 이를 래드럭스(radlux, 기호 rlx) 또는 아포스틸브(apostilb)로도 나타낸다.
ㅇ조명률(efficiency of illumination) : 광원의 전광속과 작업면에 대한 유효광속과의 비율.
광원의 전광속과 조명기구에서의 발산광속의 비를 조명기구의 효율(기구효율)이라고 한다.
7. 정정과 조정
전기에서 정정이라 함은 설정(setting)을 의미한다.
즉 정정(整定)은 예컨대 보호계전기가 보호할 구간에서 어떠한 이상 상태가 발생했을 때 이에 적절히 동작하도록
조정장치(Tap, Lever 등)에 의해 동작기준치를 정하는 것으로, 그 정정된 동작 기준치를 정정치라고 한다.
한편 조정(調整, adjustment)이란 이를테면 계측기의 측정값 또는 지시가 규정값에 맞도록 구성 부분을 갖추는 것
또는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목적에 적합하도록 갖추는 것을 말한다.
8.
ㅇPAD TR(pad mount transformer) : 지중으로 공급하기 위한 지상설치형 변압기. pad 는 받침대라는 뜻.
배전선지중화 계획에 따라 설치된 것이며 기존의 전주에 있는 변압기는 주상(柱上, pole)변압기.
ㅇCPD(capacitor potential device) : 콘덴서형 계기용변압기.
9. 드라이비트
ㅇdrive it : 타정총(打釘銃)
ㅇDRYVIT : 영어 “DRY”와 불어 “VIT(=QUICK)”의 합성어로 “빨리 마르다”의 뜻을 가진 합성어로 건물의 외단열 공법을 말함.
10.
ㅇIKL(iso keraunic level) : 연간뇌우(雷雨) 방전내량.
ㅇBIL(basic impulse insulation level) : 기준충격절연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