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생활 · 운동 자연치유 연구소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심리학 스크랩 심리학의 이해(Introduction to Psychology)
이현수 추천 0 조회 343 15.10.19 11:56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제1장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이란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다. 인간 이해의 접근방법으로 생물학적, 행동적, 인지적, 정신분석학적, 현상학적 이해방법 등이 사용되며, 이론심리학과 응용심리학이 있다.

       1)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Psychology)은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Wundt-“내적인 경험 즉 의식”, Watson-“인간행동”, Hilgard-“인간과 동물의 행동연구”, Mayer-“인간의 정신과정과 기억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  Morgan-“응용과학.”

즉 “심리학인간이해하기 위하여 행동정신과정을 연구하는 과학적인 학문이다.

       2) 심리학과 인접학문과의 관계

심리학 ⇒ 1) 사회과학-포괄적, 2) 행동과학(심리학, 언어학, 인류학), 인지과학-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연구로 발전된 과학-지각, 기억, 추리를 신경과학, 인류학, 언어학 철학 등과 관련해 종합적으로 이해.

   


 2. 심리학의 역사

       1) 현대심리학 이전의 배경

(1)철학적 배경: 철학⇒심리학 , 신체와 마음(psyche), Plato- 심신이원론, Aristoteles:-일원론, 영혼이 육신 속에 머문다, Descartes- 유기체론(심신이원론), Spinoza- 심신일원론, Leibniz- 심신병행론, Locke- 경험론, Kant & Hegel- 인식의 문제 사색.

(2)자연과학적 배경: Descartes- 유기체론, Müller-신경에너지의 원리, Helmholtz-신경충격의 전이속도 측정, Weber & Fechner-자극과 감각 사이의 관계측정, Darwin-종의 기원(1859년), >Garton-유전적 특질에 따른 개인차, Pearson & Spearman-통계적 방법 계발.

       2) 현대 심리학의 성립과 학파

(1) Wundt와 구성주의: Wilhelm Wundt(1832-1920)가 1879년 독일 Leibzig대학에 심리실험실 창설.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 의식의 내용 분석방법으로 내성법(introspection) 고안. 구성주의(structuralism) 또는 내성심리학.  Titchner(1867-1927)가 20세기초 미국 심리학계 주도.

(2) James와 기능주의: Havard대학의 William James(1842-1910). 의식의 전체적 기능을 연구. 기능주의(Functionalism). J. Dewey(1859-1952), Angell(1869-1949)도 가세.

(3) Watson과 행동주의: John B. Watson(1878-1950)은 객관적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행동만 다루는 행동주의(Behaviorism) 심리학을 주창(1913년). Pavlov의 조건반사(1906), Thorndike의 고양이(1898), Skinner의 쥐 실험(1938). 인간이해의 기본공식을 자극-반응(stimulus-response)이라고 하여 S-R심리학. > Woodworth(1869-1962) - 유기체(organism)추가삽입. S-O-R의 공식을 제시. Tolman(1866-1959), Hull(1889-1966) 과 함께 신행동주의 심리학파 형성. 1950년대 심리학의 과학화에 기여. 수동적 인간관.

(4) Wertheimer와 형태주의: Max Wertheimer(1880-1943)

 

. 지각 및 사고연구를 전문 영역으로 하여 경험의 전체성을 강조하는 형태주의(Gestaltism) 심리학을 창시. 가현운동(apparent movement). 역동적 정신과정. 통태(統態)심리학. Koffka, Köhler, Lewin 등. 지각 중심적인 해석으로 인지심리학 발달의 기초가 됨.

(5) Freud와 정신분석: Sigmund Freud(1856-1939)의 정신분석학(Psychoanalysis). 무의식 중시하는 심층심리학(Depth Psychology). 자유연상법과 꿈의 분석법. 성적 욕구 중심의Freud와 달리 Alfred Adler(1870-1937)와 Karl Gustav Jung(1875-1961)은 열등감(inferiority feeling), 집단무의식 같은 문화적 요소를 강조.


    3. 심리학에서의 인간 이해방법

(1) 생물학적 이해방법, (2) 행동적 이해방법, (3) 인지적 이해방법, (4) 정신분석적 이해방법, (5) 현상학적 이해방법-개인 주관적 경험 강조. 인본주의적 이론.

    4. 심리학의 분야

       1) 이론심리학(Theoretical psychology) 분야

          (1) 발달심리학(Genetic/Developmental] psychology): 아동기, 청년기, 노년기.

          (2)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상호작용, 집단행동.

          (3) 성격심리학(Personality psychology): 성격형성과정과 개인차. 심리검사.

          (4)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 감각기관, 인지과정, 정보 해석 처리.

          (5) 학습심리학(Learning psychology): 기억과 학습의 원리. 언어, 지식, 태도.

          (6) 생리심리학(Physiological/ Bio-psychology/ Psychobiology): 뇌의 기능.

          (7) 실험심리학(Experimental psychology): 실험중심의 심리학 총칭.

       2) 응용심리학(Applied psychology)의 분야

          (1) 임상심리학(Clinical/Medical psychology): 이상행동. abnormal psychology.

          (2) 상담심리학(Counseling psychology): 적응과 생활지도. 행동수정 프로그램.

          (3) 학교심리학(School psychology): 학습, 독서, 학교생활, 심리검사.

          (4)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 합당한 교육과정 개발.

          (5) 산업심리학(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공학 및 조직심리학.

          (6) 광고심리학(Advertising psychology): 광고심리연구, 소비자심리학.

          (7) 기타 - 범죄심리학, 법정심리학, 환경심리학, 건축심리학, 건강심리학 등.

    5. 심리학의 연구방법

       1) 과학적 방법의 특징-객관성, 관찰가능성-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가설연역적-검증을 통한 통칙> 일반화로 확대됨.

       2) 연구방법-실험법, 자연관찰법, 조사법, 심리검사법, 사례연구법.

       3) 자료정리방법-

           (1) 측정치의 종류(명명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           

           (2) 통계적 방법(기술통계와 추리통계).


제2장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1. 뉴런 수준에서의 행동의 설명

       1) 신경계의 세포: 뉴런

뇌와 신경계는 뉴런이라는 세포로 구성됨. 감각뉴런(sensory neuron), 운동뉴런(motor neuron), 개재뉴런, 세포체(soma), 수상돌기(dendrite), 축삭(axon), 종말단추(terminal button), 시냅스(synapse).

       2) 뉴런에서의 정보전달: 활동전위

안정전위(resting potential)과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3) 뉴런간 정보전달: 시냅스 전달-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substance).

       4) 신경전달물질과 약물의 작용-acetylcholine, curare, botulinum toxin; 도파민-파킨슨 씨 질환과 정신분열증; 클로르프로마찐(chlorpromazine);엔도르핀(endorphine)-통의 억제와 관련.

    2. 신경계 수준에서의 행동의 설명

       1) 신경계의 구조

                             1)뇌(惱, brain)

           중추신경계        2)척수(脊髓, spine)

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1)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

          말초신경계                 ꍔ①감각신경과 ②운동신경

   (peripherall nervous system)         

                        2)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내적 신체환경 유지. 

                                     ꍔ①교감신경계와 ②부교감신경계.

                        ①뇌신경과 ②척수신경                                 

       2) 뇌(惱, brain)의 위계적 구조

뇌-종뇌-대뇌피질(cerebral cortex), 기저핵(basal ganglia), 변연계(limbic system)

   ②간뇌-시상하부(hypothalamus), 시상(視床, thalamus)

   ③중뇌-흑질(黑質), 상구(superior colliculi), 하구(inferior colliculi)

   ④후뇌-교뇌(pons), 소뇌(cerebellum): 운동통제.

   ⑤수뇌-연수(medulla): 호흡, 심장박동 기능 통제.

       3) 대뇌피질

(1)구조-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2)기능: 일차시각피질, 체감각피질, 일차청각피질, 일차운동피질, 전전두피질.

    3. 좌우 대뇌반구의 기능차

뇌량(corpus callosum)이 양쪽 좌우대뇌반구 연결. Broca영역과  Wernicke영역. 분리뇌(split brain). 좌반구는 언어능력이 있고, 우반구는 주로 공간적 능력이 탁월.



제3장  감각과 지각


    1. 감각 및 지각과정

       1) 외부정보: 자극(stimulus)-감각기관에 민감한 물리적 에너지의 형태.

          오관 중 시각(80%), 청각(15%), 나머지 3감각(5%).

       2) 감각 및 지각의 경로

외부정보의 전달과정을 감각 및 지각과정이라 한다. 외부정보를 받아들이는 세포들을 감각수용기(sensory receptor). 청각수용기(auditory receptor)와 시각수용기(visul receptor).  전기신호(electrical signal)[신경메시지(neural messages)].

▶감각(sensation): 외부정보가 감각수용세포에서부터 대뇌피질까지 전달된 상태.

▶지각(perception): 대뇌에 전달된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과정.

    2. 정신물리학

       1) 탐지(detection)와 절대식역(absolute threshold)

Gustav Fechner(1860)의 정신물리학(psychophysics).

탐지(detection): 자극의 존재를 알아차리는 것. 절대식역(absolute threshold): 탐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상태. 항등자극법(method of constant stimuli).

       2) 변별(discrimination)과 차이식역(differential threshold).

       3) 신호탐지이론(signal detection theory):적중(hit), 헛경보, 실수, 정확한 거부.

    3. 시지각

       1) 빛의 본질: 광원(light sources)으로부터 방출된 에너지. 파장, 진폭. 전자. 가시광선 가시분광(visual spectrum). 채도(saturation)-빛 에너지로 지각된 색의 순수한 정도.

       2) 눈의 구조와 기능

빛 >① 각막(cornea)> ② 동공(pupil)(홍채(iris))> ③ 수정체(crystalline lens)> ④ 초자체액(vitreous humor)> ⑤ 망막(retina)> ⑥ 시각수용세포[추상세포(cone)와 간상세포(rod)]

3) 시각수용세포

추상세포: 주간시나 색채시. 간상세포: 야간시 관련. 광색소. 맹점(blind spot).

4) 순응현상(adaption): 외부환경의 조도의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

① 암순응(dark adaption). ② 명순응(light adaption).

5) 색채지각 

① Thomas Young의 삼원색(trichromatic)이론(1802년). Young-Helmholtz이론(1852년).

② Ewald Hering의 대립과정(opponent-process)이론(1870년). BW, RG, BY기제. 잔상효과(afterimage).

    4. 지각의 원리 : 형태재인(pattern recognition)

       1) 깊이 및 거리지각: 3차원을 2차원의 망막으로 이해.

깊이 및 거리 단서(depth or distance cue). (1)회화적 단서: 중첩, 상대적 크기, 상대적 높이, 표면의 겉, 크기에 대한 친숙성, 직선조망, 대기조망, (2)운동단서-운동시차, (3)안구운동단서-조절(accommodation)과 수렴(convergence), (4)양안부등현상(binocular disparity).

       2) 체계화(organization)의 법칙-형태주의(Gestalt)심리학자 Wertheimer(1912)의 실험. 파이운동. 주관적 윤곽현상. ① 근접성(proximity, nearness) ② 연속성(continuity) ③ 유사성(similarity) ④ 완결성(closure).

       3) 전경(figure)-배경(ground)의 원리: 루빈(Edgar Rubin)의 술잔(1915년)

       4) 지각항등성(perceptual constancy)- 색채, 명도, 형태, 크기, 위치 항등성

          (color, lightness, shape, size, location constancy).

       5) 착각(illusion)-착시(visual illusion). 착시모형.

    5. 지각의 발달

       1) 시각의 발달 및 노화: 사각기호방법(신생아의 시각능력 연구용). 명민도.

       2) 청각의 발달 및 노화: 노인성 난청.

       3) 기타

    6. 초감각지각(extrasensory perception: ESP):

(1) 초감각지각(ESP)-5개의 감관기관을 거치지 않고 외부세계를 지각하는 경우.

심령학(parapsychology). 

▶ ESP의 3종(種): ① 정신감응(telepathy), ② 천리안(clairvoyance), ③ 예지(foresight).

(2) 염력(念力, psychokinesis: PK), (3) 회의론.


제4장  학습

    1. 학습이란 무엇인가?

<Kimble의 정의>: ‘강화받은 훈련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동잠재력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  강화(reinforcement). 본능(instinct): 종특유의 것으로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목표지향적 행동, 종특유행동(species-specific behavior), 반사(reflex), 각인(imprinting); 감각화(sensitization)와 습관화(habituation); 학습은 기억이며, 망각(forgetting)이란 탈학습(dislearning) 즉 학습된 행동의 소거(extinction)다.

    2. 학습이론

       1) 고전적 조건형성

Pavlov(1849-1936)의 조건반사 실험(개). 조건자극(CS)과 조건반응(CR)[cf. UCS, UCR]

       2) 도구적 조건향성

① Thorndike(1874-1949)의 시행착오 학습이론과 효과의 법칙(고양이).

②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흰쥐 혹은 비둘기).

       3) 인지학습

(1) 통찰학습(insight learning): Köhler. 아하 경험(aha experience),

(2) 잠재학습(latent learning): Tolman & Honzik(1930년).

(3) 관찰학습(observation learning):  Bandura(1965년).

(4) 컴퓨터 보조학습(computer aid learning: CAL): Skinner(1950년대).

    3. 학습의 한계

(1) 신체적 특징, (2) 지능, (3) 준비성, (4)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5) 기타 학습의 한계. 학습된 행동은 비유전성 및 일관성과 지속성이 있다. 사전에 바람직한 행동을 조성하는 것이 좋다.


제5장  기억


    1. 기억의 유형

기억과정(process)과 구조(structure)로 구별되며, 기억과정은 부호화(encoding), 저장(storage), 인출(retrieval‎)의 세 단계로 진행되고, 기억구조는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으로 구분된다.

       1) 감각기억(sensory memory): 외부의 정보가 나의 감각수용기에 접하는 첫 단계.

(1) 영상기억(iconic memory). Sperling(1960), (2) 잔향기억(echoic memory).

       2) 선택적 주의집중(selective attention)과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신경망접근법. 되뇌기(rehearsal)

       3) 장기기억(long-term memory):

(1) 정보의 체제화(organization)가 중요. ① 군집화(clustering), ② 연결망(network) 모형.

(2) 장기기억의 종류:  ① 의미기억(semantic memory)-세상지식에 대한 기억.

② 일화기억(episodic memory)-개인에 관한 특별한 경험.

③ 진행기억(procedural memory)-일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대한 지식.

(3) 장기기억의 증진 -기억술(mnemonic devices), 장소법(method of loci), 핵심단어법(peg-word method). 시각적 심상(visual image)사용.

(4) 장기기억에서의 망각(forgetting) -① 인출실패(retrieval‎ failure)→인출단서(retrieval‎ cue)제시, ② 쇠퇴(decay), ③ 간섭(interference): 역행억제(retroactive inhibition)와 순행억제(proactive inhibition).

    2. 기억의 재구성

       1) 도식과 명칭부여: Bartlett(1932)의 “전화놀이” 방법을 통한 기억의 재구성 실험.

       2) 목격자 증언: Lofus(1975)의 자동차사고 비디오테이프 실험. 법정증언도 부정확.

    3.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관계

       1) 이중기억이론(Theory of Dual Memory)

(1)계열위치효과(serial position effect)-자유회상법(free recall). 초두효과(primacy effect)와 최신효과(recency effect).

(2) 생리적 증거: 기억상실증(amnesia)-진행성, 역행성.

       2) 처리깊이이론(Depth of Processing Theory). Craik와 Lockhart(1972)의 실험.



제6장  언어와 사고


    1. 언어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인간의 언어는 위계적으로 구성. 음소>형태소>구>절>문장.

       1) 인간언어의 주요 특성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기능. (1) 생산성(productivity)

(2) 구조의존성(structure dependence). 위계적인 구조가 특징.

       2) 언어의 구조

(1) 음운론(phonology): 음성(sound)을 표상. 음소(音素, phoneme)-약 40개.

(2) 형태론(morphology): 단어의 조직을 담당. 형태소(morpheme).

(3) 통사론(syntax): 단어들이 결합하여 구(phrase), 절(clause), 문장(sentence)을 형성.

이런 결합을 결정하는 규칙이 통사(syntax).          S→NP+VP (문장→명사구+동사구).

구절구조 나무그림(Phrase Structure Tree diagram). 그 남자가 떠났다.

① 표면구조(surface structure)와 심층구조(deep structure).

       3) 언어의 심리적 과정

(1) 말소리 지각(speech perception)

(2) 언어습득(learnability)의 조건: 목표언어(target language), 적절한 언어환경, 습득책략(algorithm), 가설이 체계적으로 검증과정이 필요함.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

(3) 단계별 언어습득과정. ① 옹알이(babbling) 시기, ② 단일단어(holophrase) 시기: 어휘폭발(naming explosion) 현상, ③ 두 단어 시기(전보문 시기), ④언어발달의 후기단계.

    2. 사고(思考, thinking)

지적사고(intellectual thinking): 목표나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는 사고.

연합적사고(associative thinking): 특정한 목표를 설정하지 않고 진행되는 사고.

       1) 문제해결

(1) 연산적 방법(algorithm)-Hanoi탑 해결처럼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작이 단계별로 상세히 기술되는 절차.

발견적 방법(heuristic)-가설(假說, hypotheses)을 세우고 검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2) 문제해결에서의 고착-실패이유-정신적 집착(mental set), 고착(fixedness).

       2) 추론(reasoning)

(1) 연역적 추론(deductive reasoning)-삼단논법(syllogism). 분위기 효과(atmosphere effect). (2)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특정한 관찰을 토대로 가설(hypotheses)을 세우고 특수한 사례로부터 일반적 규칙을 유도해내는 과정인 귀납법은 과학의 핵심.



제7장  발달


    1. 인간발달의 기초

       1) 발달과 발달심리

발달(development)이란 수정(fertilization)에서 죽음까지 전 생애를 통해 나타나는 모든 변화의 양상과 그 과정. 발달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생애발달심리(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연령별 발달 단계

1 태아기(prenatal period)

 출생이전

 

2 신생아기(neonate)

 출생후 약 1개월까지

3 유아기(infancy)

 신생아기부터 약 2세경까지

4 입학전 아동기(preschool age)

 2세~6, 7세까지

5 아동기(childhood)

 6, 7세~12, 13세까지

6 청년기(adolescence)

 12, 13세~22, 23세까지

7 성인초기(early adulthood)

 22, 23세~40세까지

8 중년기(middle age)

 40대~50대까지

9 성인후기[노년기](later

   adulthood or old age)

 60대 이후

       2) 발달심리의 연구방법-횡단적 연구방법(cross sectional method)과

종단적 연구방법(longitudinal method).

       3) 인간발달의 기본관점

(1) 행동주의적 관점 (2) 인지론적 관점 (3)정신분석학적 관점.

       4) 인간발달의 유전 및 경험적 기저

(1) 염색체와 유전인자 (2) 심리적 특성의 유전 및 환경적 기저

       5) 태내발달

    2. 유아 및 아동기 발달

       1) 감각 및 지각발달

       2) 인지발달

(1) Jean Piaget(1896-1980)의 인지발달이론

생득적 요인인 성숙(maturation); 환경적 요인인 물리적 경험; 사회적 요인.

평형화(equilibration):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인지구조를 형성하고 재구성하는 인지발달의 핵심기능. 개인의 내재적 능력. 동화(assimilation)와 조절(accommodation)기능의 통합과정.

인지발달단계: ① 감각운동기(0~2세), ② 전조작기(2~7세), ③ 구체적 조작기(7~11세), ④ 형식적 조작기(11~15세).

       3) 사회인지 발달

사회인지(social cognition) : 자신과 타인의 내재적인 심리적 과정이나 인간관계의 본질과 속성에 대한 이해와 추론. (1) 자기인지 (2) 타인인지 ① 사고조망, ② 의도조망, ③ 감정 및 성격조망.

       4) 도덕성 발달: Kohlberg(1958)의 도덕성 발달이론. ① 도덕판단 단계 (인습이전수준, 인습 수준, 인습이후 수준).  ② Kohlberg이론에 대한 비판. Turiel의 영역구분모형.

       5) 성격 및 사회성 발달

(1) 애착(attachment)형성과 발달. 안정(secure)애착과 불안정(insecure)애착.

(2) 성격발달이론. ① Freud의 심리성적(psychosexual) 발달이론.

구강기>항문기>남근기>잠복기>생식기

② Erikson의 심리사회적(psycho-social) 발달이론.

연령

Freud의 단계

Erikson의 단계

출생~1 1/2세

1 1/2세~3세

3세~6세

6세~11세

청년기

성인초기

성인기

노년기

  구강기

  항문기

  남근(외디프스)기

  잠복기

  생식기

 

  신뢰감 대 불신감

  자율성 대 수치감

  주도성 대 죄의식

  근면성 대 열등감

  자아정체성 대 역할혼미

  친근성 대 고립감

  생산성 대 침체감

  자아통합 대 절망감

    3. 청년 및 성인기 발달

       1) 청년기 발달

자아정체성(ego identity): “개인이 자신의 자아가 연속성과 동일성을 갖는 것으로 경험하고, 또한 그렇게 행동하도록 하는 능력(Erikson, 1968년).”

       2) 성인초기와 중년기 발달

(1) 특징. Anna Freud 성인기의 시작을 ‘일과 사랑하는 능력(ability to work and love)의 획득’에 둔다.

(2) 인지발달. Schaie(1977년)는 성인기의 인지발달을 ① 성취단계, ② 책임단계, ③ 실행단계, ④재통합단계의 네 단계로 구분한다.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Sternberg(1988년)는 애정(affectionate love)이 열정(passion), 친근성(intimacy). 관여(commitment)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고 주장.

중년기는 생산성 대 침체감(generative vs stagnation)의 위기를 겪는 시기(Erikson).

원만한 인간관계의 형성. 인간관계의 성숙형.  ① 자기위주적 수준(self-focused level),

② 역할위주적 수준(role-focused level), ③ 개인적 배려 수준(individuated-connected level).

       3) 노년기 발달

(1) 신체적 쇠퇴-노화(senescence)는 세포의 분열과 재생력 퇴화에 기인. (2) 지적 능력의 변화-유동적 지능은 감퇴하고, 결정적 지능은 증가. (3) 성격발달과 적응-자아통합 대 절망 간(integrity vs. despair)의 위기. (4)노년기 문제.

죽음에 대한 준비. Kübler-Ross(1969년).

죽음을 회피하는 부정과 격리단계> 분노단계> 협상단계> 우울단계> 수용단계.



제8장  동기와 정서


    1. 기본적인 생물학적 동기

항상성(homeostasis)은 유기체의 내부환경이 최적상태에서 벗어나면 최적의 수준으로 돌아오게 만드는 경향성이 있는데, 이러한 안정된 내적 균형상태다. 이는 반응을 일으킨 반대방향으로 도로 작용하는 양식인 부적 피드백 기제(negative feedback mechanism)에 의해 달성된다. 뇌의 기저부에 있는 시상하부(hypothalamus)가 중요.

       1) 수면과 꿈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CG): 뇌의 전기적 활동인 뇌파. 수면은 非REM(non-REM sleep)수면과 REM(rapid eye movement)수면으로 구분하고 非REM수면은 다시 1단계~4단계 수면으로 나뉜다. 특히 3~4단계 수면을 서파수면이라 한다. REM수면 동안에는 뇌파가 각성시 나타나는 것처럼 빨라지며 이 때에는 보통 꿈을 꾼다. 경계, 학습, 종특유 행동의 재프로그램밍, 뇌발달 등의 이유로 REM수면 현상이 설명된다.

       2) 갈증과 물마시기

수분조절과 갈등에 관련된 뇌부위는 시상하부다다. 갈증은 두 종류. ① 삼투압성 갈증: 간질액의 농도상승으로 세포가 탈수되어 일어나는 갈증, ② 용량성 갈증: 체액의 양 자체가 감소할 때 일어나는 갈증이 있다.

       3) 공복감과 섭식행동

(1) 비만(肥滿, obesity)(2)신경성 거식증(anorexia nervosa)(3)신경성 식욕항진증(식후구토증, bulimia nervosa)

       4) 성적 동기

성호르몬: 남성- 안드로젠(androgen), 테스토스테론(teststerone),

          여성- 에스트로젠(estrogen), 프로제스트론(progesteron).

       5) 동물행동학과 종특유행동

본능(instinct)= 종특유행동(species specific behavior). 각인(刻印, imprinting), 애착(attachment), 해발자극(releasing stimulus).

    2. 기타 동기

       1) 호기심과 조작동기

       2) 감각자극에 대한 동기: Zucherman 감각추구척도(sensation seeking scale)검사.

       3) 성취동기: MeClelland 주제통각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

      

    3. 정서(Emotion)

       1) 정서의 생리학적 기초

(1) 교감신경계 활동의 측정 (2) 각성과 정서의 관계

       2) 정서이론

(1) 생리학적 정서이론(James-Lange 이론과 Cannon-Bard이론) 정서에 중요한 뇌부는 시상보다는 시상하부와 변연계(limbic system)다.

(2) Schachter의 인지생리학적 정서이론-정서가 신체적 각성과 인지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긴다고 제안. 정서란 자율신경계의 각성을 상황에 비추어 해석한 것이라고 주장. 실험시 일방경(one-way mirror)으로 관찰.

       3) 정서의 표현

(1) 정서의 안면표정에서 나타나는 비교문화적인 유사성. (2) 안면표정과 제스처는 선천적인가 학습된 것인가? - 어떤 행동은 생득적, 도 어떤 정서표현은 특정 문화권 내에서 학습된 것이다. 공포정서에는 편도체가 중요. 정서의 재인과 표현에는 우측대뇌반구가 중요.

       4) 정서의 신경학적 기초

(1) 공포의 뇌기제 (2) 다른 사람의 정서에 대한 재인 (3) 정서의 표현

    4. 정서의 대립과정이론(opponent process theory)과 약물중독

예) 스카이다이버의 공포감정. 약물중독-금단증상(withdrawal symptom)과 내성(tolerance)

    5. 최적의 각성수준

정신신체질환(psychosomatic disorder).  각성수준이 낮으면 수행수준도 낮다. 적절한 각성이 수행에 도움이 된다. 단 지나치면 해롭다.


제9장  성격(性格, Personality)


    1. 성격의 정의

성격에 공통된 3요소: ① 개인의 고유 독특성, ② 안정성(stability) 즉 일관성(consistency), ③ 성격의 요소나 내용.

성격이란 한 개인이 환경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내는 독특하고 일관성이 있으며 안정된 인지적, 정동적 및 행동적 양식이다.

※용어의 구분

성격(Personality): 생물학적-환경적 맥락 속에서 나타난 인지적, 정동적, 외현적 행동특질의 일부 특성으로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

기질특성(temperament): 성격 중에서 개인이 타고난 생물학적 구조를 더 강조한 용어.

인격(character): 그가 속해있는 사회의 가치나 관습과 관련이 있는 특성으로 개인 행동의 도덕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것이다(Millon & Everly, 1985).

       1) 성격의 결정요인

(1) 생물학적 요인(선천적): 유전과 부모체형, 어머니의 상태.

(2) 환경적 요인(후천적): 유기체 외부에 있는 모든 자극, 부모, 가족, 친척 등.

    2. 성격의 이론

       1) 정신역동 이론(psycho-dynamic theory):

(1) Freud

정신결정론(psychic determinism)과 무의식적 동기(unconscious motivation)을 강조. 개인의 행동이 원초아(id: 쾌락원리에 지배됨; 일차과정), 자아,(ego: 현실원리를 따름) 초자아(superego)의 갈등에서 비롯된 긴장을 감소시키려는 본능(instinct) 즉 추동(drive)에 의해 동기화된다고 가정. 자아의 기능은 원초아와 초자아의 욕구를 현실적인 상황에 맞도록 조정하고 통합하여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이차적 과정이라고 부른다.

※불안의 종류: ① 현실불안, ② 신경증적 불안, ③ 도덕적 불안.

(2) Adler(1870-1937): 비엔나 정신분석회의 회장 역임. 성격의 주요 요인을 유아기 때 경험하는 기관 열등감(organ inferiority)으로 보고 이를 보상하려는 노력이 우월(superiority)이나 권력(power)에 대한 추구로 나타난다고 가정. 그는 성격발달이 부모와 아동 간에 주고 받는 사랑과 가족, 형제관계, 출생순위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믿었다. 과잉보호의 문제점을 지적.

(3) Jung(1875-1961): 분석심리학파의 창시(1914). 개인무의식과 과거 조상의 누적된 경험이 저장되어 있는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ness)을 가정. 집단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원형(archetype)으로 원형의 종류에 페르조나(persona), 그림자(shadow), 아니마(anima: 남성이 가진 여성성)-아니무스(animus: 여성이 갖고 있는 남성성) 및 자기(self) 등이 있다. 또 개인적 무의식을 성격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킴.  창조적 힘을 보유한 자아도 구성요소로 봄. Jung의 내향성과 외향성 개념이 Eysenck의 성격이론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

       2) 특질이론(trait theory)

기질특성(temperament). 특질이론은 성격의 지속성과 일관성을 강조한 입장으로 AllportCattel Eysenck 등이 대표적이다.

(1) Allport(1896-1967): 성격특징적인 행동과 사고를 결정짓는 개인의 정신생리적 체계 내에 있는 조직화라고 정의함. 공동특질, 기능적 자율 개념(functional autonomy) 강조.

(2) Cattel(1905-): 성격한 개인이 특수한 상황에서 무엇을 할지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원리라고 봄. Spearman이 1904년에 개발한 요인분석법을 응용. 특질을 시간과 상황에 걸쳐서 규칙성을 가지고 나타나는 행동유형으로 가정. 특질을 표면특질(surface trait)과 원천특질(source trait)로 구분. 16성격요인 질문지(16PF) 개발.

(3) Eysenck(1916-):

Eysenck성격구조의 핵심을 유형(type)이라고 보았다. 단순한 수준의 행동을 특정반응(specific response)이라 부르고, 이 특정반응 몇 개가 모여 습관을 형성한다고 봄. 또 습관의 집단이 모이면 특질이 되고, 이 특질이 여러 개가 모인 조직화된 수준을 유형(type)이라고 정의함. Eysenck의 성격이론은 위계적이며 가장 상위에 있는 성격차원은 외향성-내향성(extraversion-introversion) 차원, 정서적 안정성(stability) 차원 및 신경증적 경향성(neuroticism) 차원이다. 그는 아이젱크 성격차원검사(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를 만들었다.

       3) 학습이론(Learning theory)

학습이론에서는 성격이 강화(reinforcement), 보상, 처벌 등에 의해 습득되며 자극의 일반화, 변별, 행동 연쇄 등의 과정을 통해 보다 상위의 복잡한 행동이 형성된다고 가정하였다.

(1) 고전적 조건화 이론: Pavlov의 조건반사 실험. 자극의 일반화, 변별, 소거(extinction). 선행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의 관계를 중요시한다.

(2) 조작적 조건화 이론: 행동의 결과와 그 다음에 오는 반응의 관계에 초점. 강화(reinforcement). 함수분석(functional analysis). 점진적 접근법(method of successive approximation).

(3) 사회학습 이론

사회학습이론에서는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서 조건화가 되는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과 모델의 행동을 모방함으로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모델링(modeling)에 의해 성격이 형성된다고 본다. 자기효능감(self-efficacy).

       4) 현상학적 이론

현상학적 이론에서는 개인이 세계를 지각하고 해석하는 주관적 경험을 성격의 중요한 요인

으로 가정한다. 또 자기개념과 경험의 일치가 중요하고 자아실현 동기 등 여러 욕구가 행동을 특징짓는 것으로 본다.

(1) Rogers(1965): 로저스는 인간의 행동을 개인이 지각한 현상적인 장(field)에서 유기체가 지각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하는 목표지향적 노력으로 보았다. 실현경향성(actualizing tendency). 자기(self)개념을 중요시. 자기와 경험간의 일치와 자기일관성(self-consistency)을 강조.

(2) Maslow(1908-1970): 동기에 관심을 가짐. 자아실현 동기가 몇 단계를 거쳐 그 사람의 삶을 지배하게 된다는 욕구위계설(hierarchy of need)을 주창.

Maslow의 욕구위계설(hierarchy of need)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소속과 사랑의 욕구

존중욕구

자아실현욕구

physiological needs

safety needs

belongingness & love needs

esteem 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제10장  지능과 심리검사


     1. 심리검사

       1) 심리검사의 준거

(1) 신뢰도(reliability): 심리도구가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얼마나 오차없이 재고 있는가를 나타내주는 것.

(2) 타당도(validity): 측정도구가 문항제작시 의도했던 목적을 어느 정도 충실히 측정했는가 하는 검사의 능력을 말하는 것. 내용타당도, 예언타당도, 공인타당도, 구인타당도.

(3) 객관도(objectivity): 채점자의 채점이 어느 정도 신뢰성과 일관성이 있느냐를 나타내주는 것.

(4) 상관계수(r로 표시): 심리검사의 신뢰도나 타당도를 추정할 대 쓰는 통계적인 기법.

       2) 심리검사의 표준화

표준화검사는 한 검사에서 얻어진 점수를 비교집단의 점수와 비교하여 한 검사점수의 의미를 갖게 하는 검사이며, 규준은 검사가 사용될 대상을 대표할 수 있는 큰 표본인 규준집단으로부터 얻은 검사점수의 분포를 말한다. 규준표(norm table).

       3) 우리나라의 표준화 성격검사

     2. 지능(intelligence)

지능의 정의: 지능이란 머리의 기능으로서 지식을 쌓거나 사물을 바르게 판단하거나 하는 지적이 능력이다.

IQ= (MA÷CA)×100    T점수={(X-M)÷(1÷10)×SD}+50  

       1) 지능의 본질

(1) 지능의 구조

지능이론은 Spencer(2요인설), Thurstone(7개의 기초정신능력[PMA]: 공간능력, 기억, 지각속도, 단어유창성, 수리능력, 추리, 언어), Guilford[4×5×6=120개의 지능구조단위: 4내용(contents), 5조작(operations), 6결과(products)], Herbert, Galton 등이 지능(intelligence)을 소개하면서 발전되었다.  Guilford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이한 종류의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나 기능의 체계적인 집합체”를 지능이라고 정의했다.


지능을 인지정보처리과정으로 표현한 학자들로는 Piaget, Hunt, Flavell이 있다. Sternberg는 요소성분이론에서 “지능이란 요소성분 X, Y, Z를 수행하는 데 소요된 시간이다.”라고 정의한다.

(2) 지능의 개념화와 지능검사

방법이론 차원, 시상차원.

지능의 표시방법 IQ=(정신연령÷생활연령)×100=(MA÷CA)×100

       2) 지능의 결정요인

Galton은 가계의 연구(Edward가계)를 통해 유전적 뿌리를 설명하였고, Binet는 정신능력이라는 관점으로 지능을 보기 시작했다. 지능의 정의는 일반적인 정신능력으로 보는 관점, 다양한 독립적인 요인의 합으로 보는 관점, 그리고 정보처리 과정으로 보는 관점이 있다. 이 지능의 표시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능의 결정요인으로 유전과 환경이 있는데 지능이 유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불변관’과, 지능은 환경적인자극에 의해서 변한다는 ‘변화관’이 있다.

       3) 지능검사

지능검사로는 개인용 지능검사인 Stanford-Binet 지능검사와 Wechsler지능검사가 있다.

또 집단용 지능검사로는 군대 알파검사와 군대 베타검사, 군대일반분류검사(AGCT), 정범모의 간편지능검사 등이 있다.


제11장  이상행동


     1. 이상행동의 정의

이상행동(abnormal behavior)이란 정상에서 벗어난 행동을 말한다.

       1) 이상행동을 정의하는 준거

(1) 통계적 준거: 통계적 관점에서 정의. (2) 사회문화적 준거: 사회규범, 문화적 관습이 기준. (3) 행동의 적응성 준거: 개인과 사회집단의 복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여부. (4) 개인적 준거: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갈등의 정도가 심한가에 따라 (5) 전문적 준거 (6) 이상행동의 명명: Zimbardo(1979)가 증거 제시.

       2) 이상행동의 설명모델

(1) 통계학적 모델 (2) 생리학적 모델  (3) 정신분석적 모델 (4) 행동주의 심리학적 모델 (5) 인본주의 심리학적 모델   

     2. 이상행동의 분류

       1) 이상행동의 분류체계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요강 제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SM-Ⅳ, 1994) 및 국제 질병분류체계(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tenth Edition: ICD-10, 1992).

       2) 이상행동의 주요 유형

DSM-Ⅳ의 정신장애 분류

(1)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스위스 정신과의사 Bleuler가 이 용어 처음 사용(1911년).

① 정신분열증의 임상적 특징: 정적 증상(positive symptom)과 부적 증상(negative symptom)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사회적 직업적으로 명백한 역기능을 보이며 분열정동장애나 기분장애 등으로 설명될 수 없는 장애. 사고장애, 지각적 왜곡, 정동장애, 성격장애 및 대인관계의 장애를 보이며, 망상과 환각, 현실검증력의 손상이 특징.

② 정신분열증의 하위유형

가. 망상형(paranoid type) 나. 혼란형(disorganized type) 다. 긴장형(catatonic type)

라. 미분화형(undifferentiated type) 마. 잔여형(residual type).

정신분열증의 원인

가. 심리적 관점 나. 생리학적 관점 다. 사회적․ 환경적 관점-하류가 1:9로 발생빈도가 높음.

(2) 기분장애(mood disorder)

① 기분장애의 임상적 특징: 주요 우울일화(major depressive episode), 조증일화(manic episode), 혼합일화(mixed episode), 경조증일화(hypomanic episode).

② 기분장애의 하위유형:

가.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는 장애. 부정적 신념이 문제(Beck). 학습된 무기력(Seligman).

나.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 우울한 기분과 고양된 기분이 주기적으로 교대로 나타나는 장애.

③ 기분장애의 원인: 가. 인지적 관점, 나. 행동주의 심리학적 관점, 다. 생리학적 관점,

라. 정신분석적 관점.

(3)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① 불안장애의 임상적 특징: 불확실감, 무력감, 생리적 각성을 특징으로 보이는 장애.

가. 공황발작(panic attack) 나. 광장공포증(agoraphobia) 다. 공황장애(panic disorder)

라. 특수공포증(specific phobia) 마. 사회적 공포증(social anxiety disorder) 바.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강박관념(obsession)과 강박행동(compulsion).

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해리상태(dissociative state)나 심인성 기억상실증 증상 유발.

아. 급성 스트레스 장애, 자. 일반 불안장애.

② 불안장애의 원인

가. 행동주의 심리학적 관점, 나. 인지적 관점, 다. 생물학적 관점, 라. 정신분석학적 관점.

(4)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성격의 정의: 사람이 사회적 개인적 맥락 속에서 나타나는 자신과 환경에 대해서 지각하고 생각하며 관련을 짓는 지속적인 정서적 행동의 특질.”

① 성격장애의 주요 하위유형과 임상적 특징:

가. 군집 A의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망상, 의심, 참조관념, 기이한 신념, 마술적 사고 등.

나. 군집 B의 반사회적 성격장애: 죄의식이나 양심이 없는 상태인 초자아 결여(superego lacunae)를 보이며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경향.

다. 군집 B의 경계선 성격장애: 자아상, 대인관계, 기분의 영역에서 광범위한 불안정성을 보임. 정서적 불안과 우울증세 심화. 자해 자살 시도.

라. 군집 C의 기타 성격장애중 수동공격적 성격장애.


제12장  스트레스와 적응

     1. 적응의 개념

       1) 적응과 부적응

적응의 정의: “적응이란 한편으로는 개인의 욕구가, 다른 한편으로는 환경의 주장이 충분히 만족된 상태. 개인과 대상 혹은 사회 환경과의 조화를 말한다. 이 조화로운 관계가 획득될 수 있는 과정이다.”(Eysenck & Wurzburk, 1972, p.52). 즉 적응(適應, adaptation)이란 개인이 살고 있는 가정, 직장, 학교 등 사회 내의 대인관계 맥락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면서 조화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적응개인과 환경의 조화로운 관계이다.”

       2) 적응과 건강의 관계

(1) 적응의 문제: 적응은 환경의 수용이나 동화(accommodation)를 의미한다.

(2) 정상성의 문제, (3) 정신건강의 문제.

     2. 스트레스의 원인과 유형

       1) 스트레스의 개념

스트레스외적 조건에 대한 생리적 반응이며, 환경적 자극 혹은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이다.

외적조건에 대한 생리적 반응

       2) 스트레스의 근원

개인 내부에서 상반되는 두 개의 욕구 혹은 동기가 있을 때 갈등을 느께게 되고, 이는 매우 중요한 스트레스의 근원이 된다. 갈등은 다음 네 유형으로 나뉜다. ① 접근-접근 갈등, ② 회피-회피 갈등, ③ 접근-회피 갈등, ④ 이중접근-회피 갈등이다.

     3. 적응의 방법: 대처

       1) 문제중심의 대처(problem-focused coping)

          정서중심의 대처(emotion-focused coping)

       2) 방어기제의 사용

방어기제자기기만이 무의식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스트레스 상황을 직접적으로 처리할 수 없을 때 우리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주는 적응의 방법이다. 모든 방어기제는 개인을 위협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일차적 기능을 갖는다.

억압(repression): 위협적인 내적 충동이나 생각을 의식 밖으로 밀어내는 것.

부인(denial): 외적인 위험과 당면한 상황을 받아들이기 두려울 때 하는 기제.

합리화(rationalization): 그럴듯한 설명이나 이유를 붙여서 불쾌한 현실을 피해보려는 시도. 신포도 기제와 단 레몬 기제. 합리화는 무의식적 변명이다. 

치환(displacement): 어떤 사람이나 대상ㅇ에게 향한 충동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게 옮겨서 표현하는 것. 승화(sublimation).

투사(projection): 자기 자신의 느낌, 생각, 충동 및 속성들을 다른 사람에게 귀인시키는 과정. 편집증적인(paranoid) 경향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제. 소박한 투사와 방어적 투사(Coan). 그 밖에도 자아를 위협하는 상황을 다루기 위하여 퇴행(regression), 이지화(intellectualization), 고립화(isolation) 등의 기제가 사용된다.


제13장  심리치료


     1. 정신분석적 치료방법

       1) 정신분석: Freud의 성격의 이론에 기초한 치료방법으로, 자유연상이나 꿈의 해석을 사용하여 환자의 무의식적 세계를 이해하고, 정신 내적인 갈등을 해소하는 데 관심이 있다. 치료의 과정은 ① 개시 단계 ② 전이의 발달 ③ 통찰과 훈습 ④ 전이의 해결의 4단계가 있다.

       2) 다른 분석적 심리치료들

분석적 심리치료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성적인 요소보다는 사회적 혹은 문화적 요인들을 강조하였으며,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여기에는 신 프로이트 학파로 알려진 Adler(개인심리학, 인지적 심리치료), Jung(분석적 심리치료, 원형), Karen Horney(신경증, 자기분석(self-analysis)) 등의 치료양식이 포함된다.

     2. 행동치료

행동치료에는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를 사용하는 매개적 자극-반응 모형,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를 주로 사용하는 행동수정, 사회학습의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과 인지-행동치료 등이 포함된다.

       1)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Wolpe가 개발. 이것은 역조건 형성(counterconditioning)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내담자가 불안을 느끼고 있는 상황을 묘사하는 상상적 장면과 이완을 짝지어주는 것을 골자로 한다.

       2) 정적 강화를 사용한 행동의 증진

정적 강화를 사용한 행동수정은 기대한 행동이 일어난 후에 적절한 강화물을 제공하여 그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며, 수반관계적 처벌은 어떤 행동에 대하여 부정적 혹은 혐오적 결과를 제공하여 행동의 빈도를 낮추려는 것이다.

       3) 문제행동을 제거하기 위한 행동수정

(1) 수반관계적 처벌 (2) 타임 아웃 (3) 연속적 비강화에 의한 단순 소거 (4) 변별강화

       4) 모델링

     3. 인본주의적 심리치료

       1) 인간중심 치료

(1) 공감적 이해 (2) 긍정적 존중 (3) 진솔성 혹은 일치성

       2) 게슈탈트 치료(F. Perls에 의해 창시된 현상학적-실존적 치료 형태)

즉각적인 현재 경험을 명료하게 하고 자각을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을 통하여 지금-여기에서 경험하는 것을 자각하도록 도움을 준다.)

(1) 대화 게임 (2) 책임 받아들이기 (3) 實演하기 (4) 감정 속에 머무르기

       3) 실존적 심리치료: 역동적 심리치료의 한 형태. 인간존재의 궁극적 관심사인 죽음, 자유, 고립 및 무의미성에 직면하게 될 때 생겨나는 실존적 갈등에서 야기되는 불안을 다루는 데 관심이 있다.

     4. 인지적 치료

       1) 합리적-정서적 치료(Rational-emotive therapy: RET):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이고 과장되고 완벽주의적인 사고방식에 도전하는 포괄적인 성격변화 체계이다.

       2) 인지-행동적 치료: 다양한 정신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극적이고 직접적이며 시간 제한적이고 구조화된 접근방법으로, 개인의 왜곡된 사고를 교정하는 데 관심이 있다.

     5. 집단상담과 가족치료

       1) 집단상담: 집단치료는 한 사람의 치료자가 동시에 몇 명의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적 관심사와 생활상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능력을 개발하고, 자기이해와 수용능력의 향상으로 인간적 성장을 목표로 노력하는 과정을 말한다.

       2) 가족치료: 문제를 가진 개인보다는 그가 속한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치료양식.

(1) 대상관계 (2) 가족체계 (3) 구조적 가족치료 (4) 전략적 개입과 역설적 개입(paradoxical intervention), 이 외에도 가족치료 방법으로 Ackerman의 생물심리사회적 치료(bio-psychosocial therapy)와 Satir의 공동가족치료(conjoint family therapy)가 있다.


제14장  사회적 행동


     1. 사회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의 정의: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사회심리학의 정의: “사회장면에서의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연구하는 과학.”

      

     2. 사회지각

       1) 인상형성

(1) 인상형성의 특징 (2) 인상형성의 단서

(3) 인상형성 과정: 정보의 통합


① 평균원리 ② 초두효과 ③ 중심특성 ④ 부정적 정보의 중시

(4) 인상형성시의 왜곡 또는 편향

① 고정관념(stereotype), 편견(prejudice)

② 묵시적 성격이론(implicit personality theory)

       2) 귀인(attribution)

(1) 귀인의 의미: 어떤 행동이나 행동의 결과에 대한 원인의 추리, 즉 인과관계의 추리과정.

(2) 귀인의 방향: 내부귀인(행위자 본인이 원인인 경우)과 외부귀인(환경, 상황, 타인).

(3) 귀인 규칙

① 항상성 원리(principle of invariance): 원인과 결과(Heider).

② 입방체 이론(cube theory): Kelley가 제안. 합치성, 특이성, 일관성 정보.

③ 절감원리(discounting principle)

(4) 귀인 오류(attribution error)   

① 기본 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② 행위자-관찰자 차이

③ 자아고양편파(self-serving bias): ‘잘 되면 내 탓, 잘못되면 조상 탓.’

     3. 타인지향 행동

       1) 호감(liking): 상대방에 대하여 갖는 호의적인 태도.

(1) 호감의 조건: ① 물리적 근접: 이웃 사촌,  ② 유사성,  ③ 외모: 후광효과(halo effect), ④ 능력.

(2) 사귐의 지속과 파경. -사회적 침투(social penetration), 자기개방(self disclosure),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비교수준(comparison level: CL)과 대안비교수준(comparison level for alternatives: CLalt).

       2) 도움행동(helping behavior)

(1) 위급상황에서의 도움행동: ① Kitty Genovese 사건(1964년 미국 뉴욕 노상 살인사건), ② 설명이론-책임감 분산이론. 상황해석의 모호.

(2) 평상시 상황에서의 도움행동: ① 규범: 응보(reciprocity)의 규범, 사회적 책임규범,

② 죄책감: 형평성(equity)에 대한 신념.

       3) 반사회적 공격

(1) 공격충동의 원천

① 본능(Freud) ② 욕구좌절(Dollard) ③ 피해

(2) 공격행동의 실행

① 강화(reinforcement) ② 모방(imitation): TV폭력물시청이 공격행동 모방학습 유발.

(3) 공격행동 감소방법; ① 정화(淨化), ② 처벌의 위협, ③ 학습된 억제-공격불안.

     4. 사회영향

       1) 개인의 다른 개인에 대한 영향

(1) 응종(compliance): 타인의 부탁에 좇아서 움직이는 것,

"문간에 발 들여놓기(foot-in-the-door)"방법이 효과적.

(2) 복종(obedience): 상대방의 권위나 권력 때문에 상대방이 요청하는 바에 따르는 것.

Milgram(1963)의 복종에 관한 실험. 나치의 유태인학살. 맹목적 복종의 참극.

       2) 집단의 개인에 대한 영향

(1) 동조 ① Sherif의 실험-자동운동(autokinetic movement)  ② Asch의 실험.

       3) 태도 변화

(1) 태도 (2) 태도 변화: ① 설득, ② 행동유도.

     5. 집단역학

       1) 집단과 과제수행

(1)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  (2)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2) 집단 의사결정

(1) 집단극화(group polarization), (2) 극단이행(extremity shift),

(3) 집단 사고(group think): 전문가들로 구성된 최고 집단이 최악의 방안을 선택함.

집단합리화(collective rationalization)이 문제. 개방적 분위기 유지가 방지방안.

       3) 협동과 경쟁

혼합동기상황(mixed-motive situation): 경쟁과 협동이 동시에 개입되는 사회적 상황.

(1) 흥정 : 제로섬(zero-sum) 상황, 포부수준이론(‘강하게 밀어 붙이기’식)

포부수준이론(aspiration level theory) ⇔ GRIT(단계적 상호양보에 의한 긴장감소)이론.

(2) 사회적 딜레마(social dilemma): 집단내의 구성원들이 각자 개인의 단기적 이익만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면 장기적으로 각 개인을 포함한 집단 전체가 커다란 손실을 입게 되는 상황. 예) 공동목초지에 가축을 방목하는 경우. 지하자원 남용이나 어류남획.

죄수의 딜레마 게임(prisoner's dilemma game: PDG)상황. 맞받아치기(tit-for-tat: TFT) 전략. 혼합동기상황에서 나온 연구결과에 의하면 무조건적 일방적 양보인 ‘전적인 협동’ 전략은 도덕적 이상론이고 상대방에게 착취만 자초함.

 
다음검색
댓글
  • 15.10.20 01:47

    첫댓글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