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살림살이 노하우 짠돌이생활기 짠순이 혼수준비 충고 부탁드립니다.
WIND 77 추천 0 조회 1,885 05.07.15 14:22 댓글 2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05.07.15 15:17

    첫댓글 실크커버 + 목화솜 베게 방석 100만원+은수저 금문양 + 반상기 = 120만원

  • 05.07.15 16:45

    양복 2벌이 무슨 150만원이나 쓰시나요. 백화점에서 세일할때 사도 그렇게 안들어요..*^^* 침대도 협탁까지 해도 그렇게 안들구요. 물론 에이스나 대진급으로요. 침구류도 사고나면 후회하니까 일단 한세트만 백화점에 가서 세일,특가 상품 하나만 사세요. 식기류도 당장 기본 한세트씩만 있으면 되요.

  • 05.07.15 16:46

    사은품도 많이 생기구요. 어차피 결혼해서 하나씩 장만하는게 더 좋구요. 사고나면 항상 더 예쁜게 많이 생기니까..요. 당장 2식구면 그릇도 50개짜리 한세트사면 남아돕니다.

  • 05.07.15 16:48

    그리고 요즘 두꺼운 솜이불은 잘 안쓰니까 양모이불도 한번 생각해보세요. 물론 시부모님 의견이 다르다면 어쩔수 없구요. 결사모 까페등에서 도움을 받으면 좋으실거에요.

  • 05.07.15 17:45

    양복 저희도 롯데에서(세일해서70만원) 구입했는데요..솔직히 이쁘긴하지만..그만큼주고 살필요 없더라구요 여자들은 결혼하면 자기집 꾸미고싶은 마음이 크잖아요..근데.결혼해서 살아보니깐..가구나가전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더라구요..10년 지나면 또 다 바꿔야하는데..저렴한거 구입하시고,통장에다가 넣어두세요..

  • 05.07.15 17:49

    그럼..살다보면 더 이쁜거 마니 나오고..사고싶을때 하나씩 구입하면 되니깐요.글구..식시는 코렐한세트면 충분할듯(필요한건 살면서 구입하세요)

  • 05.07.15 19:35

    다른 것들에 비해 예단이 적어 다행이네요..저는 10년전에도 그것보다 많이 햇는데..시댁이 마음이 넓 신가봐요.^^제가 보기에는 식기에 돈을 너무많이 투자 하시는거 같아요..20-30만원대면 시기 구입할수잇고..저는 그 돈을 아껴 쇼파에 투자하겟어요 ..저렴한 레자쇼파는 금방 찢어지고 패브릭은 아기한테 안좋고.

  • 05.07.15 19:38

    장농이 50만원 짜리가 잇나요..? 잘못 적으신건 아닌지..붙박이인가..? 양복비 조금 줄이시면 어떨지..신랑 직업에 따라잘 입을수잇는 옷들로 여러벌 정말 하심이 더경제적이 아닐가싶구요...그리고..예물..다이아 그거 정말 안하게되던데요..? 심플하게 끼고 다닐수잇는것이 낫지않을까싶으네요.

  • 05.07.15 19:42

    침대 쓰시면 솜이불 절대 안쓰고요..저희 10년째 쳐박아 놓고잇음...여비님 말씀대로 10년 지나면 어떤 가전제품이든...슬슬망가지드라구요 ..갈아야 할 시기오니 ...사시면서 장만하시는것도 사는 재미^^

  • 05.07.15 21:39

    스튜디오, 예물,양복, 이불......짠돌이 아니시네요ㅋㅋㅋ 저도사실 예물은 좀 비싼거했지만 후회해요 누가 비싸다고 알아주는것도아니고.....현찰도 걍 많이 가지고계세요 신랑몰래

  • 05.07.16 01:32

    침구류는 저도 비싼거 했더랬죠 90만원짜리 두개 그런데 다 필요없더이다 걍 홈쇼핑것 사두 좋구요 아님 백화점 행사품 사도 좋아요

  • 05.07.16 01:38

    저도 결혼할때 최대한 절약했구요.....결혼하구 나니까 500만원 쫌 넘게 남더라구요..그거 쌈짓돈으로 해서 둘이 가지고 있던 돈해서 둘이 모으니까 일년에 몇천 금방 모아지던데요.....세일기간 마니 찾았구요....상품권저렴한거 구입해서 백화점 세일때 샀구요그릇도 다들 그렇게요

  • 05.07.16 01:40

    가전제품도 모델명에서 단어하나 정도 틀린거 사면 가격이 천차만별이예요..그래서 백화점하고 하이마트하고 차이가 나는거구요..똑같은 모양인데 영문이름이 단어하나씩 다르더라구요..물론 A,B급 얘기하지만 A/S다되고 위에분들처럼 거의 수명은 같구요....몇년 지나면 다 하나씩 교체가 필요하구요..최대한 줄이세요

  • 05.07.16 01:43

    저는 시집올때..가구 침대 콘솔 베란다 부부탁자 장농 화장대 식탁 이렇게 다 햇어도 200정도 였궁.. 가전제품도 냉장고 밥통 세탁기 이렇게 해서 200만원이 안들었는뎅.. 무지 비용이 많이 드네용!? 저렴한곳 무지 많든뎅..

  • 05.07.16 11:29

    가전제품을 돈을 많이 쓰시는것 같네요.. 일반냉장고 리터 큰걸로 사고 나중에 아이 생기면 김치냉장고 사쓰면 될듯. 예식비도 비싸네요.. 예복도 너무 비싸요.. 사실 아울세도 있고 상설매장도 있는데. 그곳이용하는것이 어떠실련지..

  • 05.07.16 17:48

    아무리 봐도 짠순이가 아니신듯..식장도 굳이 호텔에서 하실 필요가..스튜디오도 더 깍을수 있어요.. 두달전 저는 다해도 190에 했는데..예물도 금목걸이, 다이아반지 모두 사치인듯..침구, 가전, 식기 모두 넘 비싸요.. 잘 찾아보면 훨씬 저렴하게 좋은 제품 많습니다.. 차라리 신랑이랑 얘기해서 현금으로 가지고 계세요

  • 05.07.16 17:50

    굳이 브랜드 고집 안하시면 저렴하면서 실용적인 제품들 많이 있습니다.. 절대 태클은 아니구요.. 그냥 안타깝네요..막상 결혼하고 나니 진짜 돈 들어갈 곳 많거든요.. 아끼고 현금을 많이 가지고 계세요..

  • 05.07.18 12:17

    이렇게 다갖추는것보다 돈으로 가져가서 그때그때 필요할때마다 사는게 절약될거같네여

  • 05.07.19 08:01

    장농 제가 싼게 한다고 하는게 60만원짜리거든요? 딴거는 많이 잡으셨는데 장농은 50?? 침대 좋은거해도 100 안넘어가요.. 얼마나 좋은거 사실라고 200짜리를.. 지금 이 혼수는 보통분들의 2배는 넘습니다.. 저한테는 3배도 넘네요.. 현금을 쥐고 계셔야죠.. 아이생기면 뒷돈 장난아닌데.. 안타깝네요..

  • 05.07.19 13:21

    짠순이는 아니신듯.. 윗분들 말씀이 하도 다 옳아서..리플만달아요..정말 윗분들 말씀 다 맞으니~잘 생각하고 결정하세요~

  • 05.07.19 15:59

    현물예단만 있네요. 실제로 현금예단 들어요. 이게 상당한 금액이에요. ㅡ.ㅡ 없으면 좋지만 고려해보세요. 가구는 가구단지에 가셔서 싸게 하실 수 있어요. 단, 싼건 시트지 붙은거죠. 더 싸게 하실려면 장롱대신 행거하세요. 침대생활한다면 장롱 없어도 된답니다. 식기는 세트 꼭 갖출 필요없고요 필요한 갯수만 챙기세

  • 05.07.20 12:58

    누구나 자기 기준에서 저렴하다는 기준은 틀리니까...남들이 내비용 몇배더 잡았다고 하는거 님 기준에서 적당한지 생각하세요. 식장은 호텔이시면 비싼금액은 아니구..근데 실비포함인가요? 호텔은 꽃값, 행사비 보통 따로 받던데요. 스튜디오도 청담동쪽에서 하신거면 비싼건 아니구요...출장이시면 지방에서 하시나요?

  • 05.07.20 13:02

    그럼 교통비 따로 들고, 헬퍼비 야촬, 본식 각 7~10만원, 수모비 5만원 따로 있구요...예물은 두분이 상의할 문제시고(150짜리 5부면 다이아가 아주 좋은건 아닐테니...넘 비교하지는 마세요. 가게에서야 눈에 확 들어오지만 밖에 나가면 다 똑같아요. 가게에서 비교하면서 돈보태서 좋은거 하자는 마음이 들거든요. 결혼

  • 05.07.20 13:09

    준비하면서 10만원만 더, 10만원만 더 쓰라고 꼬드기는 사람들 무지 많을거에요. 그것만 아껴도 성공입니다) 전 시몬스쪽으로 견적받아서 협탁까지 200정도였는데...두 업체 가격대를 잘 몰라서리^^: 화장대 협탁까지 240잡으시면 어지간한 좋은걸로 준비하실수 있어요. 그런데 전 붙박이장해도 100만원 넘던데...행거놓고

  • 05.07.20 13:12

    옷방 따로 만드실 계획 아니시면 조금 올리셔야할듯해요...안방 전체 300잡고 유두리있게 진행하셔도 좋을듯...그리고 예단은 현금따로 드리는지 확인하심이 좋을듯합니다...침구는 정말 그 계절용으로 하나만 사시면 계속 이쁜것들 무궁무진쏟아져 나옵니다. 그릇도 6인용정도만 준비하시면 집들이때 말고는 넉넉하시구요.

  • 05.07.20 13:16

    그릇값에 기타 주방용품 포함이신가요? 칼, 밥솥은 좋은걸루 하세요...가구 아주 비쌀 필요는 없지만 10년동안 잘 쓰는것과 10년동안 못버리고 그냥 쓰는건 다르니까 잘 고르시구요. 그리고 정말 최소한 몇백(되도록 천만원 이상)은 비상금으로 갖고계셔야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 05.07.22 23:32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 06.03.10 18:53

    원본 게시글에 꼬리말 인사를 남깁니다.

  • 10.03.31 12:11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