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업체에서 샘플과 함께, 재질을 EPDM, MS296-3 으로 표기하여 왔는데...
물성을 알수 있을까요?
자동차쪽 부품입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MS269-3은 현대기아 고무재료 규격표입니다. 뒤에 표기가 있어야 재질시험규격을 알수있습니다.도면이 있으면 경도,인장강도등을 알수있습니다.
재질란에 R 610 BC1FJPZ1(EPDM) 이렇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확인가능한지요? 감사합니다.
EPDM 60도를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BC 610(원래;CR60도) 입니다만, 요사이는 EPDM으로 변경되는 추이입니다.
차이사님 좀더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610은 경도와 인장을 나타내고 뒤의 숫자에 따른 2차 시험 내용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규격집을 나중에 첨부로 올릴것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6.02.03 13:31
규격집을 보냈습니다.
R계열은 내유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고무입니다.경도 60 인장 70이상 신율300%이상 B가 뜻하는것은 압축영구줄음율 70도에22시간 25%이내 C1이 뜻하는 내오존성 30시간*40pphm*20%에 NO CRACK 시험 F1은 -40도의 저온취화시험 J는 내마모성 마모지수 200이내 P는 내오염성 Z1은 도면에 규제를 해야 하는 스펙입니다
국제규격이 버젓이 그리고 KS 규격 범위내에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을텐데... 자기네 규격을 만들어서 아직도 사용한다는건 시대적 찌질함의 대표... ㅋㅋㅋ 암튼 현대, 기아란......쯧
MS269-3규격집 내용이 일반 자동차용 고무규격(KSM6626)과 동일합니다.
내용은 당연히 동일하죠... 규격을 읽는 코드와 숫자를 어설프게도 자기네 걸로만 바꾸어 놓아서 그렇다는 얘기 입니다..ㅎㅎ
현대.기아에서는 주로 MS269-3 규격을 사용 하고 있는것 같더군요.
첫댓글 MS269-3은 현대기아 고무재료 규격표입니다. 뒤에 표기가 있어야 재질시험규격을 알수있습니다.
도면이 있으면 경도,인장강도등을 알수있습니다.
재질란에 R 610 BC1FJPZ1(EPDM) 이렇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확인가능한지요? 감사합니다.
EPDM 60도를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BC 610(원래;CR60도) 입니다만, 요사이는 EPDM으로 변경되는 추이입니다.
차이사님 좀더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610은 경도와 인장을 나타내고 뒤의 숫자에 따른 2차 시험 내용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규격집을 나중에 첨부로 올릴것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6.02.03 13:31
규격집을 보냈습니다.
감사합니다.
R계열은 내유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고무입니다.경도 60 인장 70이상 신율300%이상 B가 뜻하는것은 압축영구줄음율 70도에22시간 25%이내 C1이 뜻하는 내오존성 30시간*40pphm*20%에 NO CRACK 시험 F1은 -40도의 저온취화시험 J는 내마모성 마모지수 200이내 P는 내오염성 Z1은 도면에 규제를 해야 하는 스펙입니다
국제규격이 버젓이 그리고 KS 규격 범위내에서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을텐데... 자기네 규격을 만들어서 아직도 사용한다는건 시대적 찌질함의 대표... ㅋㅋㅋ 암튼 현대, 기아란......쯧
MS269-3규격집 내용이 일반 자동차용 고무규격(KSM6626)과 동일합니다.
내용은 당연히 동일하죠... 규격을 읽는 코드와 숫자를 어설프게도 자기네 걸로만 바꾸어 놓아서 그렇다는 얘기 입니다..ㅎㅎ
현대.기아에서는 주로 MS269-3 규격을 사용 하고 있는것 같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