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예식 비용, 코로나19 이후 심화 10만원 축의금도 눈치 보며 내는 실정 "5만원 축의금, 식권 받지 않아야 한다는 룰도"
최근 물가 상승에 예식장 대여비와 식비 등 결혼식에 드는 비용 역시 고공행진 하면서 축의금을 두고 하객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축의금 액수가 늘어났다며 이른바 '축의금플레이션'(축의금+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마저 나올 지경이다.
14일 서울 시내 웨딩홀 6곳의 예식 비용을 확인한 결과, 1인당 식대는 평균 8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최소 6만6000원에서 최대 10만8000원까지 가격대가 다양했고, 성수기(통상 3~6월, 9~11월)와 비수기(12~2월, 7~8월) 사이에는 17%가량 가격에 차이가 났다.
호텔 웨딩홀에 식대를 문의하자 지출 비용은 크게 올랐다. 서울 호텔 웨딩홀 3곳의 평균 식대는 1인 기준 16만원으로, 적게는 13만원에서 많게는 20만원을 받는 곳도 있었다.
홀 대관료도 적게는 수백만원대에서 많게는 수천만원대를 호가했다. 컨벤션 웨딩홀의 경우 생화 장식 비용까지 포함해 최소 600만원에서 1400만원대에 가격대를 형성했다. 호텔 웨딩홀은 생화 장식과 대관료, 무대연출 비용을 더해 2000만원 초반대에서 3000만원대까지 대관료를 받았다.
이 같은 결혼 비용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다. 한국소비자원이 2013년에 발간한 '결혼 비용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1인 기준 평균 식대는 3만3000원, 대관료(꽃장식 포함)는 300만원이었다.
오히려 좋아
오히려 고맙죠 이제 가족끼리 조촐하게 하는 문화 정착했으면 좋겠어요
전 절친 결혼식 갔다가 다짐했긔.... 이제 다신 결혼식 절대 안가긔 결혼 당사자들 완전 이기적이긔.. 모든 면에서요.
제발 부르지말아주라
그러니깐 부르지말아주라. 안가면 오히려 좋긔
안불러주시면 감사해요! 귯!
아싸
진정한 윈윈!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ㅋㅋㅋㅋㅋ
결혼할때는 축의금 받으려고 연락하더니 받고 나면 죄 먹튀하고 연락 끊긔 너무 괘씸하긔
어쩔수없이 친분때문에 가긴 하는데. 기본급이 올라서 일당으로 20만원 받는 직장다니면 10만원 할 수 있긔.... 결혼식 그냥 안가는게 더 사실 더 좋긔 ㅋㅋ 가족끼리 식사하는 결혼식 문화 지지하긔
사람들 생활수준은 비슷한데 내야될 요금만 오르네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