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전기기사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자료] 자료 공유방 스크랩 반복해서 보아야
마스터 추천 16 조회 43,492 15.08.26 20:03 댓글 361
게시글 본문내용

 

<절연협조>

*절연협조- 계통내의 각 기기, 기구 및 애자등의 상호간에 적정한 절연강도를 지니게끔 함으로서 계통의 설계를 합리적,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끔 한 것.


*기준충격 절연강도 비교: 선로애자 > 결합 콘덴서 > 변압기 > 피뢰기


*BIL(Basic Insulation Level):기준충격 절연강도 [KV]

BIL 60 150 350 750 1300
정격전압 7.2 25.8 72.5 170 362
*조작전원 종류: DC125[V]


<유도장해>

*근본대책

대지전류를 최소화 한다.

송전선과 통신선을 충분히 이격한다.

선로 병행길이를 감소시킨다.


*전력선측 대책

송전선로를 가능한 한 통신선로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건설한다.

중성점을 저항 접지할 경우 저항값을 가능한 한 큰값으로 한다.

고장회선을 고속도 차단한다.

차폐선을 설치한다.

연가를 충분히 한다.


*통신선측 대책

통신선 중간에 중계코일을 설치 구간을 분할한다.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통신선에 성능이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배류코일을 설치한다.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송전선로 안정도 증진 대책

직렬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

전압변동을 작게 한다.

계통을 연계한다.

중간조상방식을 채택한다.

고장전류를 줄이고 고장구간을 고속도 차단한다.

고장시 발전기 입출력의 불평형을 작게한다.


<코로나 현상>

- 전선로나 애자 부근에 임계 전압 이상의 전압이 가해지면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낮은 소리나 엷은 빚을 내면서 방전되는 현상.


*영향

코로나 손실.

코로나 잡음.

통신선의 유도장해.

소호 리액터의 소호 능력 저하.

전선의 부식.




*코로나 발생 방지대책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복도체 방식을 채용한다.

가선금구를 개량한다.

[이유]: 전선주위의 전위경도를 낮춤으로서 코로나 임계전압을 상승시켜 코로나 발생 방지.


*복도체 방식

[장점]

송전용량 증대.

코로나 손실 감소.

안정도 증대.

[단점]

건설비 증가.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

단락시 대전류등이 흐를 때 소도체 사이에 흡입력 발생.


*파열극한 전위경도

교류: 21[KV/cm], 직류: 30[kV/cm]의 전위경도를 가하면 절연이 파괴.


<고조파 전류>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통신선의 유도장해.

보호계전기 오, 부동작.

전력계통의 공진현상 발생.


*발생원인

변압기, 전동기등의 여자전류.

컨버터, 인버터, 쵸퍼등의 전력변환장치.

전기로, 아크로로


*고조파 억제 대책

전력변환장치의 펄스의 수를 늘린다.

직렬 리액터 설치.

고조파 필터 사용.


<지중 전선로>

*송전선로로서 지중 전선로 사용 이유

도시의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수용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뇌, 풍수해등에 의한 사고에 대해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경우.

보안상의 제한조건으로 가공전선로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지중 전선로 시공방법

직접 매설식

관로식

암거식


*지중 전선로 접지공사

전선 케이블을 사용한다.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지중 전선로 고장점 탐지법

머레이 루프법: 1선 지락사고 및 단락사고.

펄스 측정법: 3선 지락사고 및 단락사고.

정전 브리지법: 단선사고.


<유도전동기>

*유도전동기 기동법

[농형]

직입기동: 전동기에 직접 전원 접속하여 기동. 5[kW]이하 소형.

Y-△기동: Y결선으로 기동한 후 타이머 설정시간이 지나면 △결선으로 운전한다. 이때 Y와 △는 동시 투입되면 안된다. 5.5~37[kw]사용.

기동보상기법: 기동시 전동기에 대한 인가전압을 단권변압기로 감압하여 공급함으로서 기동전류를 억제하고 기동완료후 전전압을 가하는 기동방식. 고전압 농형 유도전동기를 기동할때 사용. (수명과 경제적으로 유리)

[권선형]

2차 저항 기동법: 유도전동기의 비례추이 특성이용.

2차 임피던스 기동법: 회전자 회로에 고정저항과 리액터를 병렬 접속한 것을 삽입하여 기동.


*Y-△ 기동시와 전전압 기동시의 기동전류를 비교.

: Y-△ 기동전류는 전전압 기동전류의 1/3배.


*리액터 기동: 전동기와 직렬로 리액터를 접속하여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걸리는 기동전압을 감압시켜 기동하는 방법.


*유도전동기 속도 제어 종류

[3상]

2차 저항제어법(권선형).

2차 여자법.

극수 제어법.

주파수 제어법.

종속법.

[단상]: 전압 제어법


*최대전류 억제방법

설비부하의 피크컷 및 피크시프트.

자가발전기 가동에 의한 피크제어.

디멘드 컨트롤러를 이용한 프로그램 제어.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방식

반발 기동형.

콘덴서 기동형.

분상 기동형.

세이딩 코일형.


*분상 기동형 단상 유도전동기 회전방향 반대로

- 기동 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한다.


*절연종류와 허용온도

Y종 A종 E종 B종 F종 H종 C종
90
이하
105이하 120이하 130이하 155이하 180이하 180초과



*3상 농형 유도전동기 4대로 MCC 구성시 대표장치.

차단장치

기동장치

제어 및 보호장치


*3상 유도전동기 기동하지 않는 원인

3선중 1선이 단선된 경우.

기동기의 고장

고정자 권선 내부의 오접속.

코일의 단선 및 소손.

큰 전압강하로 인한 기동토크의 부족.


*3상 유도전동기 Plugging회로

- 정회전중인 경우 3선중 2선의 접속을 바꾸어 역회전의 접속으로 전환하여 급속히 감속하고, 시한 계전기나 역회전 검출 계전기에 의해서 역방향으로 가속되기 전에 정지 시킨다. (역전제동)


*동기 전동기

[장점]

정속도 운전.

역률이 좋다.

[단점]

직류전원이 필요하고, 보수와 점검이 불편하다.

가격이 비싼편이다.


*고압전동기 조작용 배전반에 필요한 계전기

과부족전압 계전기.

결상 계전기.


*50[Hz]에 사용하는 3상 유도전동기를 60[Hz]의 전원에 사용할 때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수

? 회전수는 20[%] 빨라진다.


*주파수증가→자속감소→전력손실(철손)감소→효율증가

↓ ↓

속도증가 온도상승증가


<수변전설비>

*기기명칭, 약호, 기능

1. 전류계용 절환개폐기 AS - 전류계 1대로 3상의 각 선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

2. 전압계용 절환개폐기 VS - 전압계 1대로 3상의 각 선간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

3. 계기용 변압기 PT - 고전압을 저전압(110V)으로 변압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

4. 변류기 CT - 대전류를 소전류(5A)로 변류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

5. 계기용 변압변류기 MOF - PT와 CT를 한 함내에 설치하고,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로 변압, 변류하여 전력량계에 공급한다. (PTT:시험용 전압단자. CTT:시험용 전류단자)

7. 차단기 CB - 부하전류의 개폐 및 고장전류 차단.

8. 유입개폐기 OS - 부하전류의 개폐.

9. 단로기 DS - 무부하에서 회로 개방. (F-F:표면접속, B-B:이면접속)


10. 트립코일 TC - 사고시에 여자되어 차단기를 동작시킨다.

11. 지락계전기 GR -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로 동작하여 차단기를 동작.

12. 영상변류기 ZCT -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를 검출하여 지락계전기에 공급.

13. 과전류계전기 OCR - 과전류에서 동작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킨다.

14. 영상 계기용 변압기(접지형 계기용 변압기) GPT - 지락사고시 영상전압을 검출한다.

15. 피뢰기 LA - 낙뢰등에 의한 이상전압 침입시 전기를 대지로 방전시키고 그 속류를 차단한다.

16. 전력퓨즈 PF -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계통으로 파급되는 것을 방지.

17. 전력용 콘덴서 SC - 진상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역률을 개선한다.

18. 방전코일 DC -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방전시킨다.

19. 직렬리액터 SR - 제5고조파 전류의 확대방지 및 콘덴서 투입시 돌입전류 억제.

20. 케이블 헤드 CH - 고압케이블의 단말과 가공 전선을 접속하는 것.

21. 고압 컷아웃 스위치 COS - 과부하 전류로부터 변압기 1차권선 보호와 사고시에 과전류를 차단한다.




*분류기호 및 약호

부족전압계전기: UVR ? 27

지락 선택계전기: SGR ? 50

단락,지락 선택계전기 - 50T

과전류계전기: OCR ? 51

과전압계전기: OVR ? 59

지락 과저압계전기: OVGR ? 64

지락 방향계전기: DGR ? 67

전류 차동계전기(비율차동계전기) ? 87

주변압기 차동계전기 ? 87T

발전기용 차동계전기 ? 87G

모선보호 차동계전기 ? 87B

역률계: PF

주파수계: F

전력량계: KW

고장표시등 ? 30F


*고압 수전설비

@고압 전동기의 조작용 배전반에 설치하는 계전기 - 과부족전압 계전기. 결상 계전기.

@계기용 변성기: 몰드형. (특고압: 유입형)

@계기용 변류기는 차단기 전원측 설치이유 - 보호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차단기 트립방식 - 변류기 2차전류 트립방식(과전류 트립방식)

@콘덴서용량 50[KVA]미만에서는 COS사용


*특고압 수전설비

@ULTC종류: 병렬구분식. 단일회로식.

@차단기 트립방식

직류(DC)방식: 66[KV]이상 수전설비에서 사용.

콘덴서(CTD)방식.

@생략가능: LA용 DS.

@22.9[KV-Y]용의 LA: Disconector 또는 Isolator 붙힘형 사용.

@DS대신 ASS(자동고장구분 개폐기)를 사용할수있다.

(7000[KVA]초과시 Sectionalizer). 66[KV]이상의 경우 LS를 사용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

@22.9[KV-Y]에서 CB대신 사용하는 것.

- 1000[KVA]이하: ASS(자동구분고장개폐기) + PF

- 300[KVA]이하: INT.SW(인터럽터스위치) + COS (비대칭전류 10KA이상)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하는경우: 예비회선포함 2회선

@22.9[KV-Y] 케이블 종류

[일반]: CN-CV 케이블

[지중인입선]: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트리억제형)

[화재우려]: FR CNCO-W(난연) 케이블 (동심중성선 수밀형 저독성 난연 전력 케이블)

*22.9[KV-Δ]에서는 CV케이블 사용.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는 변압기 2차측 주차단기에 결상계전기 설치. (결상사고에 대한 보호)


*자동고장구분개폐기와 인터럽터 스위치 비교

@자동고장구분개폐기 (ASS) - 무전압시 개방이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고장 구분 개폐기로서 돌입 전류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300 ~ 1000[KVA]에서 인입 개폐기로 사용.

@인터럽터 스위치 (INT.SW) - 수동 조작만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없고, 돌입 전류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용량 300[KVA]이하에서 ASS 대신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정격전압 [KV]

공칭전압 CB, DS, 개폐기, (BIL) LA LA와 Tr의 이격거리
345 362 (1300) 288 85[m]
154 170 (750) 144 65[m]
66 72.5 (350) 72 45[m]
22.9 25.8 (150) 21:변전소
18:배전선로
20[m]
22 24
6.6 7.2 (60) 7.5
3.3 3.6

*변전설비를 계획하고자 할 때 기본계획에 고려해야 할 사항

안전성

신뢰성

경제성

주변 환경고려

조작 및 취급

보수점검 유지


*수전설비의 설치 장소로서 구비하여야 할 조건

전원의 인입, 인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소.

가능한 부하의 중심에 가까워 배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소.

증설, 확장에 필요한 여유가 확보될 수 있는 장소.

변압기 등의 소음공해를 일으키지 않을 장소.

지반이 견고한 장소.

기기의 반입, 반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소.

침수의 우려가 없고 가스, 분진 등이 적은 장소.

가연성, 폭발성 물질의 제조 및 저장소로부터 떨어진 장소.


*수전설비의 크기를 좌우하는 사항들

수전 전압의 크기.

변압기 용량과 대수.

콘덴서 용량과 대수.

고압회로의 분기수.

저압회로의 분기수.

기기의 배치와 형식.

보수 점검의 공간.

수전 설비의 형태.



*특별고압 수전회로의 수전방식

1회선 수전.

2회선(상용예비) 수전.

평행 2회선 수전.

루우프 수전.

스포트 네트워크 수전.


*고압 수용가의 수전설비 종류

CB형 정식 수전.

PF + CB형 정식 수전.

PF + S (OS형) 간이 수전.

(특고일 경우 ASS + PF 간이 수전.)


<차단기>

*차단기 종류

기중 차단기 ACB 대기 중에서 아크를 길게 해서 소호실에서 냉각 차단
유입 차단기 OCB 소호실에서 아크에 의한 절연유 분해 가스의 열전도 및 압력에 의한 Blast을 이용해서 차단.
가스 차단기 GCB 고성? 절연 특성을 가진 특수가스(SF6)를 이용해서 차단.
진공 차단기 VCB 고진공 중에서 전자의 고속도 확산에 의해 차단.
자기 차단기 MBB 대기중에서 전자력을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실 내로 유도해서 냉각 차단.
공기 차단기 ABB 압축된 공기를 아크에 불어 넣어서 차단.

*고압 이상에 사용되는 차단기

유입 차단기

가스 차단기

진공 차단기


*특고압 이상에서 사용되는 차단기

유입 차단기

가스 차단기

진공 차단기

자기 차단기

진공 차단기


*특고압 이상에서 재점호가 발생되지 않는 차단기

가스 차단기

진공 차단기


*ACB와 ABB비교

ACB:기중 차단기로서 고,저압 회로에 사용되는 차단기.

ABB:공기 차단기로서 특별고압용 차단기로 사용.


*차단기 트립방식

직류전원 방식: 별도로 설치된 축전지등의 제어용 직류전원의 에너지에 의해 트립되는 방식.

과전류 트립방식: 차단기의 주회로에 접속된 변류기의 2차전류에 의해 차단기가 트립되는 방식.

콘덴서 트립방식: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에 의해 트립되는 방식.

부족전압 트립방식: 부족전압 트립장치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의 저하에 의하여 트립되는 방식.


*차단기 정격 차단 시간: 개극시간과 아크 소호시간까지의 합


*차단기의 정격전압: 차단기에 부과할 수 있는 사용 회로 전압의 상한.

*과전류 차단기 시설 제한

접지공사 접지선.

다선식 선로의 중성선.

저압 가공 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차단기 표준전압

공칭전압: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

최고전압: 전선로에 통상 발생하는 최고의 선간전압.


*차단기 단락전류 계산

차단기의 차단용량 결정.

보호계전기 정정.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 추정.


*전력계통 단락용량 경감대책

고 임피던스 기기 채택.

모선계통 분리 운용.

한류 리액터 설치.


*500[KW] 미만의 주 단로기 다음에 설치할 설비기기 - 차단기


*수전용 유입 차단기의 차단용량 부족의 대비를 위하여 설치하는 설비기기 ? PF (전력퓨즈)


*교류 차단기 동작책무: 차단기가 계통에서 사용될 때 차단-투입-차단의 동작을 반복하는데 그 동작시간 간격을 나타낸 일련의 동작을 규정한 것.


*차단기 정격 단시간 전류: 정격 단시간 전류는 그 전류값을 규정된 회로 조건하에서 규정된 시간 동안 차단기에 흘려도 차단기에 이상이 생기지 않는 전류.


*차단기 사용전 검사항목 (다른기기도 적용)

절연저항 측정 시험.

절연내력 측정 시험.

접지저항 측정 시험.

외관 검사

계전기 동작 시험.

계측장비 설치 상태 확인.

절연유 산가측정.

내압시험.


*SF6가스 특징

[전기적 특징]

절연내력이 크다.

소호능력이 뛰어나다.

아크가 안정되어 있다.

절연회복이 빠르다.

[물리적 특징]

열 전달성이 공기의 약 1.6배.

화학적으로 불활성 가스로 안정적이다.

무색, 무취, 무해의 불연성 가스이다.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가스 절연 개폐기 (GIS)

[사용가스]: SF6가스 (육불화 유황가스)

[공기에 비해 절연내력이 몇배 좋은가]: 2~3배

[장점]

절연성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불활성 기체이다.

소호능력이 뛰어나다. (공기의 약 100배)

절연내력도 공기의 약 2~3배이다.


*GIS 장점

① 소형화 경량화

② 충전부 밀폐로 인한 안정성 향상

③ 신뢰도 향상

④ 소음감소

⑤ 친환경성


*기기별 정상전류 또는 이상전류에 따른 작동상태 확인

정상전류 이상전류
통전 통전 투입 차단
차단기
퓨즈 × × × ×
단로기 × × ×
게폐기 ×

 

[접지순서]

? 접지측 금구를 먼저 대지에 연결 후 선로측 금구를 선로에 연결

[접지개소]

? 선로측 A부하와 부하측 B부하

[폐로시 조작순서]

: CB(OFF) → DS2(OFF) → DS1(OFF)

[개로시 조작순서]

: DS2(ON) → DS1(ON) → CB(ON)

[긴급할때 DS로 개폐 가능한 전류]

- 무부하전류, 충전전류. 변압기 여자전류.

[B모선을 점검하기 위한 절체 순서]

: 31(ON), 32(ON), 30(ON), 21(ON), 22(OFF), 30(OFF), 31(OFF), 32(OFF)

[B모선 점검후 원상복구 순서]

: 31(ON), 32(ON), 30(ON), 22(ON), 21(OFF), 30(OFF), 31(OFF), 32(OFF)

[10, 20, 30에 대한 기기명칭]: 차단기

[11, 21에 대한 기기 명칭]: 단로기

[2중 모선의 장점]: 모선 점검시에도 부하의 운전을 무정전 상태로 할수 있어 전원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절환모선

[평상시에 절환모선이 가압되어 있는지 여부]: 가압되어 있지 않다.

[절환모선을 설치한 이유]: 교류차단기 또는 OCR 점검시 무정전 전원공급.


<피뢰기>

[제1보호대상]: 전력용 변압기.

[구성요소]: 직렬갭과 특성요소.


*피뢰기 공칭 방전 전류

공칭방전전류 설치장소 적용조건
10000[A] 변전소 154[KV]이상.
66[KV]이하 계통에서 뱅크용량 3000[KVA]초과
5000[A] 변전소 66[KV]이하 계통에서 뱅크용량 3000[KVA]이하.
2500[A] 배전선로 배전선로

*상용주파 허용 단자전압

[직접접지]: 공칭전압의 0.9 ~ 1.0 배

[저항접지]: 공칭전압의 1.4 ~ 1.6 배


*피뢰기 정격전압, 제한전압.

[정격전압]: 속류를 차단수 있는 최고 허용 교류전압.

[제한전압]: 피뢰기 방전중 피뢰기 단자간에 나타나는 전압의 파고값.


*피뢰기 구비조건

상용 주파 방전 개시전압이 높을 것.

충격 방전 개시전압이 낮을 것.

제한전압이 낮을 것.

속류 차단 능력이 클 것.


*피뢰기 피뢰침 접지가 타접지와 공용이 안되는 이유

- 낙뢰에 의한 이상전압 침입시 피뢰기 접지선을 통해 다른 기기 및 기구에 침입하여 계통의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


*피뢰기 접지극 이격거리: 2[m]


*피뢰기 종류

갭 저항형.

밸브형.

밸브 저항형.


*피뢰침 설치 의무화

- 지면상 20[m]를 초과하는 건축물, 설비 위험물, 화약류 저장소.


*갭레스형 피뢰기에 사용하는 금속 산화물

- ZnO (산화아연)


*갭레스형 피뢰기 특징

직렬갭이 없으므로 소형화, 경량화.

속류가 없어 빈번한 작동에도 좋다.

속류에 따른 특성요소 변화가 적다.


*서지흡수기 (SA)

- 피뢰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으나 적용 전압 범위만을 조정하여 적용시키는 일종의 옥내 피뢰기.


*설치장소

[피뢰기]: 인입구와 주차단기 1차측 사이에 설치.

[서지 흡수기]: 개폐서지가 발생되는 차단기의 후단에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기기의 전단 사이에 설치.


*서지 흡수기를 설치하는 경우

진공차단기와 전동기 사이에 설치. (전동기보호)

진공차단기와 몰드변압기 사이에 설치.(변압기보호)

진공차단기와 건식변압기 사이에 설치.(변압기보호)


*서지 보호장치 (SPD)

- 50/60[Hz]의 교류에서 정격 1000[V]까지의 전원에 접속하는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시설하는 것으로 서지전압을 제한하고 서지전류를 분류하기 위해 1개소 이상에 비선형 소자를 내장하고 있는 장치이다.


<전력퓨즈>

*기능

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 시킨다.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보호.


*퓨즈의 특성 (성능)

용단특성.

단시간 혀용 특성.

전차단 특성.


[장점]

소형 경량이다.

릴레이나 변성기가 불필요하다.

고속도 차단할 수 있다.

소형으로 큰 차단 용량을 가진다.

보수가 간단하다.

[단점]

재사용 할 수 없다. (가장 큰 단점.)

과도전류에 의해 용단 될 수 있고, 결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동작시간-전류특성을 계전기처럼 자유로이 할 수 없다.

한류형은 용단 되어도 차단하지 못하는 전류 범위가 있다.

차단시 과전압을 발생한다.


*기능상 고려사항

정격 전압.

정격 전류.

정격 차단 전류.

사용 장소.


*퓨즈 선정시 고려사항

과부하 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변압기 돌입 여자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충전기 및 전동기 기동전류에 기동하지 말 것.

보호기기와 협조를 가질 것.


*PF-S형 큐비클의 주 차단 장치

- 전력퓨즈, 고압 개폐기.


*퓨즈 및 각종 개폐기 기능비교

회로 분리 사고 차단
무부하 부하 과부하 단락
퓨 즈
차단기
개폐기
단로기
전자접촉기

<보호 계전기>

*보호 계전기 동작 요소.

전압 요소.

전류 요소.

임피던스 요소.

위상 및 방향 요소.


*고압 회로용 진상콘덴서 설비에 사용되는 계전기

과전압 계전기.

부족전압 계전기.

과전류 계전기.


*영상 변류기를 3상 3선식 수전설비에 시설할 때 항상 짝지어서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계전기

- 지락 계전기 (GR)


*지락 보호 계전기 종류

지락 과전압 계전기 (OVGR)

지락 과전류 계전기 (OCGR)

지락 선택 계전기 (SGR)

지락 방향 계전기 (DGR)


*디지털 계전기 장점

고성능 다기능화.

소형화.

신뢰도가 높다.

융통성이 높다.

변성기의 부담이 줄어든다.


*전자 릴레이

[장점]

과부하 내량이 크다.

온도 특성이 좋다.

전기적 잡음 없이 입, 출력을 분리 할 수 있다.

가격이 싸다.

부하가 큰 전력을 인출 할 수 있다.

[단점]

소비 전력이 크다.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응답 속도가 느리다.

가동 접촉부 수명이 짧다.

충격, 진동에 약하다.


*접지형(영상) 계기용 변압기 GPT

[결선]: 1차-Y결선. 2차-오픈델타 결선.

[전압계 지시값]: 평상시 0[V], 1선 지락시 190[V].

[GPT옆에 병렬로 설치된 R]: 전류 제한 저항기 (CLR)

- 비접지 방식에서 ?를 사용하여 GR을 동작시키기 위한 유효전류 발생.

[A상 지락사고시 접지표시등]: L1은 소등되고, L2, L3는 더 밝아진다. (L1: 0[V], L2=L3: 110[V])


*비율 차동 계전기-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 고장에 대한 보호용으로 사용.


*보조변류기 CCT- 전류차동계전기(비율차동계전기)의 1차와 2차간 전류차가 클 때 전류차를 보정해주는 계전기.


*주변압기 기계적인 내부 고장 검출

? 부흐홀쯔 계전기.


*중성점 접지 저항기 NGR

- 지락사고시 지락전류 억제 및 건전상의 전위상승 억제.


*CT 2차측 운전중 개방해선 안된느 이유 - 2차측 절연보호.

(개방하면 1차측 부하전류가 모두 여자전류가 되어 2차측에 고저압이 유기되어 절연파괴 우려가 있다.)


*통전중에 있는 변류기 2차측 기기 교체- 2차측 단락.


*계전기용 변류기는 차단기 전원측에 설치

- 보호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부하 합계 용량 300[KVA] 초과하는 배전반에 반드시 부착하는 측정계기 - 전압계, 전류계.


*계기용 변압기 1차측과 2차측에 퓨즈 부착 여부 - 1차측과 2차측에 퓨즈를 반드시 부착한다.

[이유]: 계기용 변압기 2차 부하의 과부하 및 단락 또는 계기용 변압기 단락시 퓨즈가 차단되어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


*PT 2차 전로측 접지공사 이유 - 1, 2차 혼촉 사고로 인한 2차측 고전압 유기 방지.



 

[단자 결선방법]

1-4, 2-5, 3-9, 6-8, 7-10

[기기 명칭]

A ? 수저항기 (물저항기)

B ? 전류계

C ? 사이클 카운터 (계전기 시험장치)

[시험명]

S2 투입: 계전기 한시 동작 특성 시험.

S2 개방: 계전기 최소 동작 전류 시험.


*4E 계전기가 보호하는 사고

과부하 사고.

역상 사고.

접지 사고.

결상 사고.


*보호장치에서 3E

과부하 보호장치.

단락사고 보호장치.

지락사고 보호장치.


*변류기 2차측에 접속한 외부 임피던스 - 부담 임피던스.


*정격부담[VA] - 변성기 2차측 단자간에 접속되는 부하의 한도.


*변압기 돌입 여자 전류에 의한 차동계전기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차동계전기 종류(방식)

- 감도 저하법. 고조파 억제방식.


<변압기>

*수용률: 설비용량에 대한 최대전력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부등률: 전력 소비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정도

[부등률이 클수록] 최대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사용 시간대가 서로 다르다.

[부등률이 클수록] 공급설비를 유효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경제성은 높아진다.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부하율: 어떤 기간 중의 평균수용전력과 최대수용전력과의 비를 나타낸다.

[부하율이 크다]

- 공급설비에 대한 이용률이 높고 전력변동은 적다.

[부하율이 적다]

공급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부하설비의 가동률이 저하.


 


*Δ-Δ결선

[장점]

제3고조파 전류가 Δ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1대가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사용 할 수 있다.

각 변압기의 상전류가 선전류의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이 되어 대전류에 적합하다.

[단점]

중성점을 접지할수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로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Δ-Y결선

[장점]

Δ권선내에 제3고조파 전류가 흐를수 있어 정현파 기전력을 얻는다.

Υ결선의 중성점을 접지하여 이상전압을 저감할수 있다.

[단점]

1,2차간 선간전압 사이에 30도의 위상차가 생긴다.

1상 또는 1대의 변압기가 고장이 생기면 송전이 중단된다.


*Y-Y 결선

[장점]

1,2차 전압사이에 위상차가 없다.

중성점 접지를 할수 있어 이상전압을 감소시킬수 있으며 절연에 유리하다.

상전압이 선전압의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이 되어 고전압에 적합하다.

[단점]

기전력의 파형이 제3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된다.

중성점 접지시 통신선 유도장해를 일으킨다.

부하의 불평형에 의해 중성점 전위가 변동하여 3상 전압이 불평형을 일으킨다.





*Y-Y-△ 3권선 변압기에서 3권선 용도

제3고조파 제거.

조상설비 설치.

소내 전력 공급용.


*V-V 결선

[장점]

Δ-Δ결선에서 변압기 1대가 고장시 2대만으로도 3상부하에 전원공급 가능.

설치가 간단하고, 소용량이면서 가격이 저렴.

[단점]

설비이용률이 86.6[%]로 저하.

Δ결선에 비해 출력이 57.7[%]로 저하.


*Tr 2차가 저압인경우

Y 결선: 중성점 접지.

Δ, V 결선: 한단자 접지.

[이유]: 고,저압 혼촉시 2차측 전위상승 방지


*주상변압기 저압측 한단자 접지목적 - 고,저압 혼촉시 2차측 전위상승 방지


*단권 변압기

[장점]

소형이고 가격이 싸다.

효율이 좋다.

전압변동률이 작다.

여자전류가 작다.

[단점]

단락전류가 크다.

1차회로와 2차회로가 전기적으로 완전히 절연되지 않는다.

[용도]

승압기.

기동보상기.

계통의 연계.

전차선의 급전용.


*몰드형 변압기

[장점]

소형, 경량화 가능하다.

내습성, 내진성이 양호하다.

난연성이 우수하다.

전력손실이 적다.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용이하다.

[단점]

가격이 비싸다.     

충격파 내전압이 낮다.



*H종 건식 변압기

[장점]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난연성, 자기 소화성으로 화재의 발생이나 연소의 우려가 적으므로 안전성이 높다.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용이하다.


*변압기의 효율이 향상되고 소형, 경량화되는 이유

건식화.

절연재료 개발.

자성재료 향상.  

도전율 향상.

몰드화.

권철심 사용.


*변압기 효율이 저하하는 경우

부하 역률이 저하하는 경우.

경부하 운전하는 경우.

주위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옥외용 변전소 내의 변압기 사고

권선의 상간단락 및 층간단락.

권선과 철심간의 절연파괴에 의한 지락사고.

고저압 혼촉.

권선의 단선.

부싱 리드선 절연파괴.


*OA:유입자냉식, FA:유입풍냉식


*저감절연 - 중성점을 접지하여 지락사고시 이상전압을 경감시켜 변압기 및 기타기기의 절연을 저감시켜 준다.

(170[KV]에 사용하는 변압기에 많이 사용)


*유입변압기 흡습제: 실리카겔 또는 염화칼슘 (청백색)


*절연유 특징

절연저항이 클 것.

점도가 낮을 것.

인화점이 높고 응고점이 낮을 것.

산화 및 화학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 다를 경우

각 변압기 극성이 같을 것. -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소손.

각 변압기의 권수 및 1차, 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가열.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 부하의 분담이 균형을 이룰 수 없다.

각 변압기 저항과 누설 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 각 변압기의 전류간의 위상차가 생겨 동손이 증가.

변압기의 상회전 방향 및 위상변위가 같을 것.


*변압기 병렬운전 불가능한 것

:Δ-Δ와 Y-Δ , Δ-Y와 Y-Y

[이유]: 각 변위의 차가 다르므로 대단히 큰 순환전류가 흘러 변압기 소손 우려.


*대용량 변압기 보호장치

유온계.

충격압력 계전기.

부흐홀쯔 계전기.

비율차동 계전기.

방압장치.


<변압기 역률>

*역률 개선 원리 - 유도성 부하를 사용하게 되면 역률이 저하하는데,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용량성)을 설치, 진상전력을 공급하여 부하의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역률 저하시 수용가측 손해

전력손실이 커진다.

전기요금 증가.

전압강하 증가.

설비의 여유 감소.


*역률 개선 효과

배전선의 전력손실 경감.

전기요금의 감소.

전압강하 감소.

설비여력의 증가.


*역률 과대보상

[경부하시 콘덴서 과대 삽입되는 경우 결점]

역률 증가로 인한 손실증가.

단자전압 상승.

고조파의 왜곡증가.

전기요금 증가.

설비여력이 줄어 과부하.


<콘덴서 회로>

[콘덴서 용량결정의 상한값]부하의 지상 무효분의 전력값보다 크지 않아야한다.

[콘덴서를 본선에 접속 시키는 방법]: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 전용의 개폐기, 퓨즈, 유입 차단기등을 시설하지 말 것. 이 경우 콘덴서에 이르는 분기선은 본선의 최소 굵기보다 적게 하지 말 것.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하여 유해할 경우]- 직렬 리액터 설치.

[콘덴서 설치시 제5고조파 제거 방법] - 콘덴서 용량의 6%정도의 직렬 리액터 설치.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원인

콘덴서 설비의 모선단락 및 지락.

콘덴서 소체 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콘덴서 설비 내의 배선 단락.


*전력용 콘덴서 뱅크수 결정

300[KVA]: 1개군

300[KVA] ~ 600[KVA]: 2개군

600[KVA]초과: 3개군


*전력용 콘덴서 보호장치

과전류 계전기. OCR

과전압 계전기. OVR

부족전압 계전기. UVR

지락 방향 계전기. DGR


*전력용 콘덴서 개폐 제어방식

무효전력에 의한 제어.

시간에 의한 제어.

역률에 의한 제어.

전압에 의한 제어.

전류에 의한 제어.


*방전코일 (DC):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 방전.

[저압]: 개로후 3분이내 75[V]이하로 방전시킬수 있을 것.

[고압]: 개로후 5초이내 50[V]이하로 방전시킬수 있을 것.


*직렬 리액터 (SR) - 제5고조파 전류 억제. 콘덴서 투입시 돌입전류억제

[이론적]: 전력용콘덴서의 4[%]

[실제적]: 전력용콘덴서의 6[%]


[분로 리액터]: 페란티현상 방지.

[한류 리액터]: 돌발 단락전류 제한.

[소호 리액터]: 아크 소호.

[중성점 접지 리액터 NGR]: 배전선로의 지락 고장시 변압기 권선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해주는 리액터.


*22.9[KV] Y-Δ결선시 1차측 중성점 접지 -부동처리 (Δ-Y결선시 2차측 400[V]이하에선 제2종 접지공사)


*수전용 변압기 용량에 알맞은 콘덴서 용량

500[KVA]미만 ? 변압기 용량의 5[%]

500[KVA]~2000[KVA]이하 ? 변압기 용량의 4[%]

2000[KVA]초과 ? 변압기 용량의 3[%]



 

[임피던스 전압]: 슬라이닥스를 서서히 움직여 전압을 높여가면서 전류계 지시가 정격전류일 때 전압계의 지시값.

[%임피던스]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동손]: 임피던스 전압에서의 전력계 지시.

 

[철손]: 슬라이닥스를 조정하여 전압계가 정격전압일 때의 전력계 지시값.

[효율]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임피던스 크면] 단락 고장전류가 적고 전압변동은 크다.


*절연내력 시험

[시험전압]=최대사용전압(=공칭전압 x 1.15/1.1) X 고압1.5배

(특고압 1.25배. 중성점 비접식 결선에서는 0.92배.)

@시험전압에 10분간 견디어야 한다. (직류로 할경우에는 2배의 전압을 가한다.)

[전압계 1에 인가되는 전압]: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전압계 2에 인가되는 전압]: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mA]전류계: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

[PT]:피시험기기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


<발전기>

*자가용 전기설비 중용검사 사항

절연저항 시험.

접지저항 측정.

절연내력 시험.

계전기 동작 시험.

외관검사.


*발전기와 부하 사이에 설치하는 기기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고압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반드시 시설되어야 할 것)

개폐기.          

과전류 차단기.

전압계.         

전류계.

[시설방법]

각 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 설치.

전압계는 각 상의 전압을 읽을수 있도록 시설.

전류계는 각 상의 전류를 읽을수 있도록 시설.


*발전기 병렬운전 조건

기전력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무효 순환전류 발생.

기전력의 위상이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동기화 전류, 유효횡류 발생.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난조 발생.

기전력의 파형이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고조파 순환전류 발생

기전력의 상회전이 같아야 한다. ? 다를 경우 동기검정.

*발전기실 천정의 높이 결정시 고려사항

발전기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것.

발전기 부속설비의 높이 확인.


*예비전원 설비가 구비하여야 할 조건

비상용 부하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방식의 전원 설비 일 것.

신뢰도가 높을 것.

조작, 취급, 운전이 쉬울 것.

경제적일 것.


*자가용 전기설비에 발전시설 구비시 설치되어야

할 계전기

과전류 계전기      

주파수 계전기

과전압 계전기

부족전압 계전기

비율차동 계전기


*발전기실 위치선정시 고려할 사항

기기의 반입, 반출 및 운전 보수가 편리할 것.

급배수가 용이할 것.

전기실에 가까울 것.

연료의 보급이 간단할 것.

실내 환기를 충분히 할수 있을 것.

배기 및 배출구에 가급적 가까이 위치할 것.


*발전기 단락비

[단락비]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단락비는 수차발전기가 터빈 발전기보다 더 크다.

[단락비가 큰 교류발전기]

기계의 치수가 크고,

가격이 크고,

풍손, 마찰소, 철손이 크고,

효율은 낮고,

전압변동률은 적고,

안정도는 크다.


<무정전 전원장치(UPS)>

- UPS는 축전지, 정류장치(Converter)와 역변환 장치(Invert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로의 정전이나 입력 전원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전력을 부하측에 공급하는 설비를 UPS라 한다.



 

[UPS]: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CVCF]: 정전압 정주파수 장치.

[명칭]:

컨버터: 교류를 직류로 변환.

축전지: 충전장치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저장.

인버터: 직류를 사용하여 주파수의 교류전압으로 변환.

절체스위치: 상용전원 정전시 인버터 회로로 절체되어 부하에 무정전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바이패스 트랜스포머 설치이유]

회로의 절연.

교류 입력전압과 부하 정격전압이 다를 경우 전압의 크기를 같게하기위해.


*UPS, CVCF, VVVF 비교

UPS CVCF VVVF
우리말 명칭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 정전압 정주파수 장치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장치
주회로 방식 전압형 인버터 전압형 인버터 전류형 인버터
스위칭 방식 컨버터 PWM제어 또는 위상제어 PWM제어 PWM제어 또는 위상제어
인버터 PWM제어 PWM제어 PWM제어
주회로 디바이스 컨버터 IGBT IGBT IGBT
인버터 IGBT IGBT IGBT
출력 전압 무정전 × ×
정전압 정주파수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 ×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의 회로상의 차이점

전류형 인버터 전압형 인버터
DC Link 양단에 평활용 콘덴서 대신에 리액터 사용 출력의 맥동을 줄이기 위해 LC필터 사용
인버터부에 SCR사용 컨버터부에 3상 다이오드 모듈사용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의 출력파형상의 차이점

전류형 인버터 전압형 인버터
전류 구형파 정현파
(전동기 부하인경우)
전압 정현파 PWM구형파

<축전지>

*축전지설비 구성요소

축전지.           

충전장치.

보안장치.            

제어장치.


*충전방식

초충전 방식.      

부동충전 방식.

균등충전 방식.      

급속충전 방식.


*보충전 방식 - 축전지가 장시간 방치되어 자기 방전되었거나 극판을해체한 경우 또는 축전지를 상시 충전한

상태로 두기 위해 미소한 전류로 계속 충전을 행하는것.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또는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등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해 실시하는 충전방식

? 보충전 방식


*부동충전 방식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하는 동시에 일상적인 부하전류는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며, 충전기가 부담키 어려운 일시적 대전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충전방식.

[부동충전 전압] = 2.15 X 축전지 갯수 [V]


*부동충전방식 특징

항상 완전 충전상태에 있어 언제든지 그 능력을 발휘할수 있다.

수명이 길어진다.

보수가 간단하고 고장이나 취급상 과실이 적다.

충전지 및 충전지 용량이 길어도 된다.


*균등충전 방식 -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해 1~3개월 마다 1회 정전압으로 10 ~ 12시간 충전하여 전해조의 용량을 균등화 하는 방식

*세류충전(트리클 충전) - 자기 방전량만을 항상 충전하는 방식.


*L(보수율)

- 사용연도의 경과 및 사용조건의 변동등에 의한 용량변화 보정값 (K: 용량환산시간, I: 방전전류)

*축전지설비 설치형식에 의한 분류

거치형: 일정장소에 설치사용하는 것으로 각종 기기 제어반, 전화교환설비등에 사용.

이동형: 상시 이동하며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차량용 등이 있다.


*연축전지와 알칼리축전지 비교

연 축전지 알칼리 축전지
공칭전압 2.0 [V/cell] 1.2 [V/cell]
공칭방전율 10 [Ah] 5 [Ah]
수명 짧다 길다
강도
사용용도 장시간 일정전류를 취하는 부하 단시간 대전류를 쓰는 부하

*알칼리 축전지

[장점]

충방전 특성이 양호.

방전시 전압변동이 작다.

사용 온도 범위가 넓다.

수명이 길다.

진동, 충격에 강하다.

[단점]

연축전지에 비해 단자전압이 낮다.

중량이 무겁다.

가격이 비싸다.


*축전지 설명

(전해액)으로는 순수한 묽은 황산을 쓰고 그 농도는 (비중)으로 나타낸다.

(비중)은 방전초기에 (높)고 방전 종기에는(낮)이며 그 변화가 직선적이다.

충전종료시의 (비중)(1.125)이 되어야 하며 방전에 의해서 0.03~0.05정도의 변동이 생긴다.

축전지가 충전상태로부터 규정된 방전 종지 전압이 될 때 까지 낼 수 있는 (전기량)을 그 축전지의 용량이라 하고, 이것의 단위는 (Ah)로 나타낸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방전시간에 대한 시간 방전율은 (10)시간방전율을 표준은로 삼고 있다.


*증류수나 묽은 황산 보충시기

- 액면이 저하되어 극판이 노출되었을 때.

[이유]: 충방전시 수소가스가 발생하기 때문.

액면은 극판위 1~2[cm] 정도.

[황산액 비중]: 그림에서 가장 높은 값.


*축전지 고장원인

@극판이 백색 또는 백색반점: 방전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

@비중저하, 충전용량 감소: 방전전류가 대단히 큰경우.

@충전시 전압상승이 빠르고 다량의 가스발생: 불충분한 충전반복.

@전해액 변색, 그냥 두어도 가스발생: 불순물 혼입.

@전 셀의 비중이 높다: 증류수 부족.

@전 셀의 전압 불균일이 크고 비중이 높다: 충전 부족으로 장기간 방치.

@초기고장 ? 전 셀의 전압 불균일이 크고 비중이 낮다: 부동 충전 전압이 낮거나 균등충전이 부족한 경우.

@우발고장 ?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충전전압이 높거나 실온이 높은경우.

@초기고장 ? 비중이 저하, 전압계 역전.: 역접속

@어느셀의 전압, 비중이 극히 낮다: 국부적인 단락현상.

@충전장치 고장, 과충전, 액면저하로 ?나 극판 노출.-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상승 및 소손발생.

@부동충전 전압이 높거나 실내온도가 상승한경우.-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알칼리 축전지에서 불순물 혼입.- 전압이 저하되고 용량감소.

@알칼리 축전지 우발고장: 전체셀의 전압 불균일이 큰경우- 부동충전 전압이 낮거나 균등충전 부족.


<전선>

*전선 옥내 배선용 기호

HIV : 내열용 비닐 절연 전선

IV : 600V 비닐 절연 전선

RB : 600V 고무 절연 전선

DV : 인입용 비닐 절연 전선

OW : 옥외용 비닐 절연 전선


CV : 가교 폴리에틸렌절연 비닐외장 케이블

VV : 비닐 절연 비닐 외장 케이블

CVV : 제어용 비닐 절연 비닐 외장 케이블

VVF : 비닐 절연 비닐 외장 평형 케이블

EV : 폴리에틸렐 절연 비닐 외장 케이블


ACSR : 강심 알루미늄 연선

CNCV : 동심 중성선 차수형 전력 케이블

CNCV-W : 동심 중성선 수밀형 전력 케이블

FR CNCO-W :동심 중성선 수밀형 저독성 난연 전력 케이블


NV : 비닐 절연 네온 전선

NEV :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외장 네온 전선

NRC : 고무 절연 클로로포렌 외장 네온 전선

NRV : 고무 절연 비닐 외장 네온 전선


*전선 굵기 결정 3대요소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접지선 굵기 결정 3대요소

전류용량.

내식성.

기계적 강도.

         

*금속관 종류

@후강전선관(내경-짝수)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mm]

@박강전선관(외경-홀수)

-15, 19, 25, 31, 39. 51, 63, 75 [mm]

*전력케이블 허용전류

연속시 허용전류- 통상의 부하전류 이상의 값으로 허용되는 전류.

단락시 허용전류- 단락사고등 매우 짧은 시간에 큰 전류가 흐른 경우의 허용전류.

단시간 허용전류- 짧은 시간에 연속허용전류 이상의 과부하전류를 허용하는 경우.


*배전선 전압조정 방법

자동 전압 조정기.  

고정 승압기.  

병렬 콘덴서.

주상변압기 탭 조정.

변전소에 ULTC 설치.


*승압의 효과

전력손실 및 전압강하율 감소.

전력 판매 원가 절감.

양질의 전기 공급 및 사용가능.

저압 설비의 투자비 절감.

전압에 비례하여 공급능력 증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여 공급전력 증대. (전력손실율이 동일한경우)

고압 배전선 연장의 감소.

대용량 전기기기 사용이 용이.


*대지 저항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

흙의 종류와 수분의 양.

흙에 함유된 물질의 용도와 온도.

토양 알갱이의 크기 및 조밀도.


*옥내 저압 배선 (이때 시설 장소의 조건에 관계없이 한가지 배선방법으로 배선 하고자 할 때 옥내에는 건조한 장소, 습기진 장소, 노출 배선장소, 은폐배선을 하여야 할 장소, 점검이 불가능한 장소 등으로 되어있다면 적용 가능한 배선 방법의 종류 4가지)

금속관 배선.

합성 수지관 배선.

2종 가요전선관

3종,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인입구 장치에서 심야전력기기까지 배선공사방법

금속관 공사.

케이블 공사.

합성 수지관 공사.

가요전선관 공사.


*3상 4선식의 옥내 배선 전압측 전선색

: 흑 ??? 백색 또는 회색


*플로어 덕트: 통신선로 혹은 전력 선로용 전선을 바닥에 배선하는 경우 바닥에 포설되는 관로로서 600[mm] 간격마다 인출구를 갖는 강판제의 덕트

[용도]: 중규모 혹은 대규모 사무실, 백화점, 실험실 등에서 통신선 혹은 전력통신의 배전용으로 사용.

*저압배선 방법 중 캡타이어케이블의 사용구분

옥내 옥측, 옥외
400V 미만 400V 이상 400V 미만 400V 이상
2종 비닐 캡타이어 케이블 × ×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 ×
클로로프렌 설폰화 폴리에틸렌 캡타이어 케이블 × ×
고무 캡타이어 케이블 × × ×
3종 및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클로로프렌 설폰화 폴리에틸렌 캡타이어 케이블
고무 캡타이어 케이블 × ×

*지중 케이블의 사고점 측정법, 절연감시법

[사고점 측정법]

Murray Loop법.

Capacity Bridge. (정전브릿지법)

펄스측정법.

[절연 감시법]

Megger법.

Tan 측정법.

부분 방전 측정법.


*400V이상 저압옥내배선의 시설장소와 배선방법

노출장소 은폐장소
점검가능 점검불가능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 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 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 장소
애자 사용 배선 × ×
금속관 배선
합성수지관 배선

<적산전력계>

[잠동현상]

-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주파수 및 정격전압의 110[%]를 인가하여 계기의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잠동 방지대책]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힌다.


*적산 전력계 구비조건

옥내 및 옥외에 설치가 적당할 것.

온도나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 할 것.

기계적 강도가 클 것.

부하특성이 좋을 것.

과부하 내량이 클 것.


*한쪽 전력계 눈금이 0 이 되는 역률: 50 [%]




<분기회로>

*분기회로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 시설

정격전류 대비 분기선 허용전류 운세선 길이
35[%]이하 3[m] 이내
35[%]넘고 55[%]이하 8[m] 이내
55[%]초과 제한없음
간선 단면적 1/5 이상: 8[m]이내에 과전류차단기 시설.

간선 단면적 1/2 이상: 과전류 차단기 생략가능.


*분기 회로의 종류

분기회로의 종류 분기 과전류차단기의 정격전류
15[A] 분기회로 15[A]
20[A] 배선용차단기 분기회로 20[A]
(배선용차단기에 한함)
20[A] 분기회로 20[A] (퓨즈에 한함)
30[A] 분기회로 30[A]
40[A] 분기회로 40[A]
50[A] 분기회로 50[A]
50[A] 초과하는 분기회로 배선의 허용 전류 이하

*간선의 설계순서

건축 일반 도면.

분전반의 용량 및 위치확인.

각 간선의 그룹분류.

배전방식 결정.

배전 루트 결정.

배선재료 결정.

간선 계산.

배선 굵기 계산.

보호장치 선정.

도면 작성.


*전기재해

전기 재해 : 감전, 아크의 복사열에 의한 화상, 전기 화재, 전기설비의 손괴 및 기능 일시 정지.

정전기 재해 : 감전, 설비기능 저하, 정전기 화재.

낙뢰 재해 : 감전, 낙뢰 하재, 물체 손괴.


<저항 및 접지저항>

*저압 전로의 절연저항값

전로의 사용전압의 구분 절연저항값
400[V] 미만 *대지전압이 150[V]이하 0.1[MΩ]
*대지전압이 150[V]넘고 300[V]이하 0.2[MΩ]
*대지전압이 300[V]넘고 450[V]미만 0.3[MΩ]
400[V] 이상 0.4[MΩ]

*절연저항: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게하는 저항. (메거로 측정)


*접지저항 측정

1. 콜라우시 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2. 어스테스터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저항측정방법

굵은 나전선의 저항 캘빈 더블 브리지
단선인 전선의 굵기 와이어 게이지
수천옴의 가는 전선의 저항 휘스톤 브리지
검류계 내부 저항 휘스톤 브리지
전해액의 저항 콜라우시 브리지
황산구리 용액 콜라우시 브리지
옥내 전등선의 절연저항 메거
백열상태에 있는 백열전구의 필라멘트 전압 강하법
접지 저항 접지저항계(어스테스터)
콜라우시 브리지
배전선의 전류 후크온 메터











<설비불평형률>

[단상]: 40[%]이하 허용. (초과시 저압밸런서 이용 가능)

[3상]: 30[%]이하 허용.


*위의 제한을 따르지 않는경우

저압 수전에서 전용변압기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이하의 단상 부하인 경우.

특고압 및 고압선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이하인 경우.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접지공사>

[접지목적]

감전방지 - 기기의 손상등으로 누전이 발생하면 전류가 접지선으로 흘러 기기의 대지전위 상승이 억제되고 감전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기기 손상 방지 - 고,저압 혼촉시 침입하는 고전압을 접지선을 통해 대지로 흘려보내 기기의 손상등을 방지 할 수 있다.

보호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 지락사고시 일정크기 이상의 지락전류가 쉽게 흐르기 때문에 지락계전기등의 동작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중요 접지 개소]

일반기기 및 제어반 외함접지.

피뢰기 접지.

피뢰침 접지.

옥외 철구 및 경계책 접지.

케이블 실드 접지.


*기기별 접지공사

고압 방전장치: 제1종 접지공사.

피뢰기: 제1종 접지공사.

보호망: 제1종 접지공사.

1000[V]이상: 제1종 접지공사.

1000[V]이하: ┌ 관등회로의-특별 제3종 접지공사.

└ 관등회로로서?제3종 접지공사.

400[V] 미만: 제3종 접지공사.

접지용 전선 (중성선, 중성점): 제2종 접지공사.

저압과 고압을 연결하는 변압기의 혼촉 방치판: 제2종 접지공사.

풀장용: 특별 제3종 접지공사.

400[V]이상 사람 접촉 우려: 특별 제3종 접지공사.

계기용 변성기 2차측: ┌ 특고압: 제1종 접지공사.

└ 고,저압: 제3종 접지공사.

400[V]미만 저압: 제3종 접지공사.

400[V]이상 저압: 특별 제3종 접지공사.

고압또는 특고압: 제1종 접지공사.


*비접지 3상 3선식 배전방식에 대한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방식의 장단점

[장점]

고, 저압 혼촉 사고시 이상전압이 적다.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이상전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변압기 절연을 단절연 할 수 있으므로 가격이 저렴하다.

이중 고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

[단점]

지락전류 검출이 어려워진다.

통신선에 유도장해.

안정도 감소.

차단기 용량 증대.


*접지공사 종류

접지공사 종류 접지 저항값 접지선 굵기(연동선)
제1종 접지공사 10[Ω] 이하 2.6[mm] 이상
제2종 접지공사 150(2초이내 300, 1초이내 600)/ 1선 지락전류 [Ω] 이하 4[mm] 이상
제3종 접지공사 100[Ω] 이하 1.6[mm] 이상
특별 제3종 접지공사 10[Ω] 이하 1.6[mm] 이상

*감전사고 방지대책

외함접지공사 철저히 한다.

접지 저항값을 규정값 이하로 한다.

정기적으로 선로와 기기의 절연 저항과 절연 내력을 측정하여 기준값 이상으로 유지.

2중 절연구조의 전기기기 선택.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 시설예

옥내 옥측 옥외 물기가 있는 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 장소 우선내 우선외
150[v]이하 X X X
150[v]초과
300[v]이하
Δ X


*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 5, 10, 15, 30 [mA]

[고감도 고속형]: 정격감도전류에서 0.1초 이내.

[인체감전보호용]: 0.03초이내.


*소형전기 기계기구

[소비전류]: 6[A] 이하

[소비전력]: 전동기 110[V] ? 200[W]이하

220[V] ? 400[W]이하


*대지전압

[접지식 전로]: 대지와 전압선 사이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 전압선 상호간의 전압.


*용어설명

[뱅크] -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나 콘덴서의 결선상의 단위.

[수구] -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의 총칭.

[한류퓨즈] - 단락전류를 신속하게 차단하고, 단락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갖는 퓨즈.

[접촉전압] - 지락사고가 발생한 금속체에 인체가 접촉하였을 때 인체에 발생하는 전위차.


*전기 방폭설비 - 전기설비가 원인이 되어 가연성 가스나 증기, 또는 분진이 인화되거나 폭발되어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것 방지.


*aa접점: 닫힐 때는 늦게, 열릴 때는 빠르게.

bb접점: 닫힐 때는 빠르게, 열릴때는 느리게.


*방폭구조 종류

내압 방폭구조.

유입 방폭구조.

안전증가 방폭구조.

본질안전 방폭구조.

특수 방폭구조.


*콘센트 심벌

LK: 빠짐 방지형

T: 걸림형

ET: 접지 단자 붙이

E: 접지극 붙이

EL: 누전 차단기붙이

H: 의료용

WP: 방수형

EX: 방폭형

TM: 타이머 붙이

2: 2구

3: 3구

3P: 3극

천장붙이 콘센트

 바닥붙이 콘센트



*점멸기 심벌

 2p: 2극 스위치

3: 3로 스위치

4: 4로 스위치

L: 파일럿램프붙이

T: 타이머 붙이

A: 자동

R: 리모콘


*콘센트는 15A 미만, 점멸기는 10A 미만은 방기하지 않음.

*콘센트는 20A 이상, 점멸기는 15A 이상 방기.


<조명설비>

*조명용어

광속 F: 복사속 중에서 눈에 보이는 빛의 양

광도 I : 단위 입체각당 광속 밀도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완전확산(평균구면)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조도 E: 단위 면적당 입사 광속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휘도 B: 수직 투영면적당 광도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광속발산도 R: 단위면적당 발산 광속 ※수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적외선 전구

용도: 표면가열 및 건조

사용[W]: 250[W]

효율: 80 ~85[%]

필라멘트 온도: 2500[K]

파장: 1.15[㎛]


*플리커 현상 줄임 조치

백열전등: 직류 전원 공급.

3상전원: 전체 램프를 1/3씩 3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위상이 120도가 되도록 접속하고, 개개의 빛을 혼합.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기구: 2등용으로 하나는 콘덴서, 다른하나는 코일을 설치하여 위상차를 발생시켜 점등.


*플리커 현상 경감 대책

[전원측]

전용계통으로 공급.

공급전압 승압.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

전용 변압기로 공급.

[수용가측]

직렬 리액터 설치.

부스터 설치.

직렬 콘덴서 설치.


*백열전구 플리커 현상 원인

점등상태에서 필라멘트의 온도가 내려가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정현파가 아닌 경우.

공급 전압이 정격전압 보다 낮아지는 경우.

외부 진동이나 자장의 변화로 필라멘트가 진동하는 경우.


[인광]: 자극을 멈추어도 어느정도 발광을 지속하는 현상.

[형광]: 자극을 지속하는 동안에만 발광하는 현상.


*슬림라인 형광등

[장점]

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의 기동장치 불필요.

순시기동으로 점등시간이 짧다.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전압변동으로 인한 수명단축이 없다.

[단점]

점등장치가 비싸다.

전압이 높아 기동시 음극이 손상되기 쉽다.

전압이 높아 위험하다.


*설계자가 크기, 형상등 전체적인 조화를 생각하여 형광등 기구를 벽면 상방 모서리에 숨겨서 설치하는 방식으로 기구로부터의 빛이 직접 벽면을 조명하는 건축화 조명 - 코오니스 조명 (Cornice light)


*조명설비에서 전력 절약 방법

고효율 광원 이용.

고역율 광원 이용.

고효율 조명기구 선택.

등기구의 격등제어 회로구성.

적절한 조명기구 배치.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의 적절한 병행.

자연채광의 최대 이용.

슬림라인 및 전구식 형광등 채용.




*조명계측기의 4가지

광도계.

조도계

휘도계

광속계.


*조명설비의 조도가 시설 당시보다 점차 떨어지는 이유

램프의 광속 및 효율 저하.

등기구의 오염에 의한 이용광속 감소.

벽, 천장등의 오염에 의한 반사율 감소.


*눈부심(글레어)의 주된 원인

고휘도 광원이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

반사 및 투과면이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

순응의 결핍.

눈에 입사하는 광속의 과다.

시선 부분에 노출된 광원.


*도로 조명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

운전자가 보는 노면의 휘도가 높고 일정할 것.

보행자가 보는 노면의 조도가 밝고 일정할 것.

조명기구의 눈부심이 적을 것.

도로나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광원의 연색성이 좋을 것.

도로상의 연직면 조도가 충분히 밝고 보행자 서로간 알아볼있을 것.


*일반조명에 쓰이는 램프의 종류

백열전구.

할로겐 전구.

형광램프.

대형방전램프.


*효율이 높은 순서

나트륨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형광 램프.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백열전구.


*형광등이 백열등에 비해 우수한점

효율이 높다.

광속이 크다.

수명이 길다.

열방사가 적다.

필요로 하는 광색을 얻을 수가 있다.


*백열전구 필라멘트 조건

융해점이 높을 것.

고유저항이 클 것.

선팽창 계수가 적을 것.

온도계수가 정확할 것.

가공이 용이할 것.

높은 온도에서 승화가 적을 것.

고온에서 기계적 강도가 감소하지 않을 것.


*HID Lamp: 고휘도 방전램프

[종류]

고압 수은등.

고압 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초고압 수은등.

고압 크세논 방전등.


*메탈할라이드 등의 특징

연색성이 좋다.

배광제어가 용이하다.

시동에 수분간 시간이 소요된다.

휘도가 높다.

효율이 전구에 비해 높다.

수명이 길다.


CB 1차측에 PT 와 CT 를 시설하는 경우

 

 

 

[주1] 22.9[kV-Y] 1000[kVA] 이하인 경우에는 간이 수전 설비 결선도에 의할 수 있다.

 

[주2] 결선도 중 점선내의 부분은 참고용 예시이다.

 

[주3] 차단기의 트립 전원은 직류(DC) 또는 콘덴서 방식(CTD)이 바람직하며 66[kV] 이상의 수전 설비에는 직류(DC) 이어야

한다.

 

[주4] LA 용 DS 는 생략할 수 있으며 22.9 [kV-Y]용의 LA 는 Disconnector(또는 Isolator) 붙임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주5]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로서 공동 주택 등 사고시 정전 피해가 큰 수전 설비 인입선은 예비선을 포함하여

2회선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6] 지중인입선의 경우에 22.9[kV-Y] 계통은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트리억제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전력구.공동구.덕트.건물구내 등 화재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FR CNCO-W(난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7] DS 대신 자동고장구분 개페기(7000[kVA] 초과시에는 Sectionaliz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66[kV] 이상의 경우는 LS를

사용하여야 한다.

 

 

첨부파일 수전설비 표준 결선도_PF-CB1.wma









 
다음검색
댓글
  • 21.06.16 11:03

    감사랍니다

  • 21.08.21 22:20

    감사합니다

  • 22.05.12 09:51

    반갑습니다
    저도 파일 부탁 드려봅니다
    hok2000@hanmail.net
    고맙습니다

  • 22.06.02 09:39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저도 화일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you20kt@daum.net

  • 22.06.12 15:35

    대단하십니다.
    저도 파일 부탁드려도 될까요?
    hs190502@naver.com

  • 22.07.05 00:48

    안녕하세요
    실기 준비 중인데 파일 부탁드려도 될까요?
    messin64@naver.com
    감사합니다

  • 23.05.12 21:47

    선배님
    저도 실기 준비 중인데, 자료 받았으면 공유 부탁드려도 됩니까?

    ays1517@naver.com

  • 22.07.18 20:41

    ㄷㄱㄷㄱ

  • 23.05.12 21:45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파일 자료 부탁 드려도 됩니까?

    ays1517@naver.com

  • 23.06.28 16:26

    쿨팁
    오른쪽 상단 "수정"아랫 부분에 쩜 3개 클릭
    인쇄 누른다.
    pdf로 저장한다.
    끝...

  • 23.08.18 08:34

    좋은 정보 너무감사합니다. 가능하시다면 파일로 자료 부탁드립니다.

    jjmun5@naver.com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