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선 낙동강 철교가 운행선 변경된다는군요. (낙동강역-한림정역 구간)
아래 사진은 동쪽(하류)을 보고 찍은 사진인데
차례대로 (1)신철교, (2)구도로교, (3) 구철도교, (4) 신도로교(건설중) 입니다.
여기서 현재 사용중인 구도로교는 경전선 개통당시 철도교로 쓰였다는 군요.
그러니까 예전에도 철교 운행선 변경이 있었던 것입니다.
철도교 사용 순서가 (2)->(3)->(1) 순서가 되는 군요.

경전선의 새로운 역사를 쓰다
- 낙동강 철교 철제 트러스트교로 변경 -
영남본부(본부장 오병수)는 추석을 맞아 철도를 이용해 고향을 찾는 귀성객들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29일부터 낙동강 철교(경전선 낙동강 한림정 구간)를 새로운 철제 트러스트교로 변경 운행할 계획이다.
새롭게 운행될 新 낙동강철교는 공사의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고향을 찾는 이들에게 철도건설을 통해 국민에게 봉사하고자 하는 영남본부 임직원의 헌신적인 노력과 감리단 및 시공사가 일체 단결하여 이루어낸 쾌거이다.
낙동강 철교는 경상도와 전라도의 머리글자를 따서 이름 붙인 경전선 중 1905년 5월 26일 개통된 삼랑진∼마산 구간에 위치해 있으며 그 역사가 105년이나 된다.
강원도 태백에서 발원하여 안동, 왜관, 대구 등을 거쳐 부산에서 바다로 빠져나가는 낙동강에는 여러 군데의 철교가 있다. 그 중 경전선이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곳은 낙동강 한림정역 구간으로 이곳에는 서로 역사를 달리하는 3개의 철교가 나란히 서 있어 경전선의 오랜 역사를 보여주는 산 증거가 되고 있다.
그 중 재래교는 경전선 개통 당시의 철교로서 그 동안 비만 내리면 침수되는데다가 홍수로 교량이 굽어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한 적도 있으며, 현재는 철교로서의 사명을 다하고 자동차용 교량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차량 2대가 겨우 교행할 정도로 폭이 좁다.
現 운행선은 재래교의 하류 200m 지점에 건설되었다. 하부구조는 1938년 9월 착공하여 1940년 4월 준공되었으나 상부구조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착공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가 대한민국정부수립 후인 1950년에야 착공하여 1962년 12월 22일에야 겨우 준공되었다. 그 사이 6·25전쟁으로 사업이 중단되는 등 민족사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한 철교이다.
이번에 새로 개통되는 新 낙동강철교는 철제 트러스트교로 아름다운 미관뿐만 아니라 발상의 전환이 돋보이는 신공법인 경사인양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공기를 당초 27개월에서 15개월로 12개월이나 단축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간접공사비 등 18억원의 원가절감 효과도 거두었다. 경사인양시스템은 '08. 8. 17 건설신기술 제538호로 지정된 바 있다.
이 철교는 앞으로 마산·진주권 지역에 KTX를 운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는 경전선복선전철과 부산신항 배후철도가 함께 사용함으로써 서남부 경남권의 매우 중요한 교통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랑진 진주간 101.4㎞을 복선화하는 경전선복선전철사업은 삼랑진∼마산 구간은 2010년, 마산∼진주 구간은 2012년 완공 목표로 공사 중에 있다.
※ 경사인양시스템 : 고층아파트에서 이삿짐을 나르는 방식을 공학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지상에서 트러스 1경간을 조립한 후 경사인양장치와 수평이동장치를 이용해 간단하게 상부로 트러스교를 이동시키는 시스템
<영남본부 박성용 기자>
2009-09-29 09:20:08 관리자(admin)
http://enews.krnetwork.or.kr/publish/php/articleview.php?idx=2664§ion=53&diaryDate=2009-09-29

http://local.daum.net/map/index.jsp?urlX=914229&urlY=527266&urlLevel=4&map_type=TYPE_SKYVIEW&map_hybrid=true&SHOWMARK=true
첫댓글 어제 1914, 1915열차로 지나가봤습니다.(현재 창원에 있는지라) 신교량과 그 전후에 있는 터널의 너비는 복선입니다. 그러나 단선통행을 시키고 있어요. 신 선로 통행을 위한 분기기가 설치되고 선로안정화가 되지 않아서 그런지 신선 시작점과 끝지점, 그리고 마산 방향으로 신교량 끝나는지점은(낙동강 건너자마자) 속도를 많이 줄입니다. 그래서 신선을 타도 평균적인 속도 단축은 얼마 없는 듯 하구요, 다만 교량 중간에 속도를 많이 내는데 충분히 만족할 만한 스피드까지 올라가는 듯 합니다. 구조물이 휙휙 지나가는데 분명히 구선로와는 차원이 틀려요..지금은 임시통행이지만 완전히 공사 끝나면 속도 향상 충분히 기대해볼만 합니다.
서울남산체가 참 많이 퍼진것 같네요.
오와~~~ 드디어 新 낙동강철교가 완성되었군요... 아직은 보완이 필요하니 서행통과... 제가 지난 4월 첫날에 창원 현대로템 공장 견학 갈 때 RDC타고 가면서 新 낙동강철교 봤는데.. 거짐 완성되어가더군요..
(+) 단선 낙동강 철교(이제 舊자를 붙여야하나요?;;)는 길이가 996m?라던데.. 新 낙동강철교는 이것보다 더 긴것 같은데 몇m인지 아시는 분??
네 창원 마산은 KTX가 직통으로 들어가면 상당한 수요가 예상됩니다.
제가 답사를 하여 블로그에 작성(http://blog.daum.net/zenith2/15861542 )할 당시에도 철교는 공사 중이었는데 어느 새 완공되었군요.......
낙동강철교 지나갈때마다 바로 아래에 강이 보이고... 아슬아슬한게 무너질까 무서웠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