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이종격투기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엽기사진실 블루라이트의 실체(feat. 핸드폰)
어릿광대를 불러주오4 추천 0 조회 67,785 22.08.06 07:33 댓글 2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2.08.06 07:36

    첫댓글 집에서 쓰는 안경 맞출때
    블루라이트 차단 렌즈라서
    더 비싸게 줬는데
    상술인가? ㅅㅂ ㅋ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22.08.06 07:40

    자외선은 몸에안좋은게 딱 느껴지는편이지 않나여

  • 22.08.06 07:42

    @일곱시일분 군인들, 실외노동자들 보면 노화 장난아니져

  • 22.08.06 07:48

    세세한 부분에선 오도된 것도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자외선이 피부 노화와 직접 관계가 있다는 연구는 많아서... 본문처럼 세계적으로 확인되지 못한 연구와는 좀 차이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 22.08.06 08:46

    화장품업계 종사자로써 답변드리면 태양광이라고 말씀하시는 부분에 UVA UVB가 피부에 좋지않습니다 노화기미 등등 이를 차단해주는 기능성원료가 들어가는데 제품 출시전 후로 지속적인 품질관리가 필요하며 품질관리 스펙 미달시 출고 불가능한경우가 있는데 의학계보단 식약처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시면됩니다 식약처 감시하에 모든 제품이 생산되고있습니다 광고또한 화장품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경미한 것으로 광고문구에 도움을준다는 문구형식만 사용가능합니다 의약적 효능효과문구 사용시 과대광고로 문제가되죠

  • 과거로 돌아갈수 있다면
    저는 제일먼저 썬크림을 발라 피부를 보호 관리하는 것부터 시작할것 같습니다.

  • 22.08.06 09:09

    그건 나쁜게 맞아요 좀 후려쳐서 말씀뜨리면 자외선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너무 세서 dna를 끊어버립니다 그래서 피부세포들이 재생하려고 해도 dna손상이 생긴 상태라 제대로 재생이 안되고요. 블루라이트는 다른색 대비 자외선 영역대에 가깝기 때문에 다른색보다 에너지가 큽니다 그래서 블루라이트 조심하라는 건데 사바사인듯. 근데 저녁에는 끄는게 숙면에는 좋아서 그냥 끕니다

  • 22.08.06 09:47

    자외선이 유해하다는건 연구까지 아니더라도 확인이 가능하죠..
    트럭운전하시는분들 장시간 운전하다보니 몇년 지나면 왼쪽 볼이 더 늙음 왼쪽 창에서 들어오는 자외선 ㄷㄷ
    차단제 차단 기능에 대한건.. 그다음 얘기겠구요

  • 안구 작열감, 시신경파괴 연구결과 속속 나오고 있구만..헛소리작렬

  • 22.08.06 07:58

    빛은 청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아서 세포를 더 손상시킬 수 있는 건 당연한건데.. 그런 원리를 이용해서 자외선 살균도 하는거고.. 그런데 저분이 얘기하고 싶은 건 휴대폰에서 나오는 청색광의 에너지가 그 정도는 아니다라는 것 같네요

  • 22.08.06 07:59

    근데 블루라이트 차단하고 밤에 폰하는거랑 안하고 폰하는거랑 담날 침침한게 차이나긴함

  • 22.08.06 08:05

    이런글좋습니다.

  • 22.08.06 08:47

    역시 사람몸이 제일 어려운듯하네요 ㅠㅠ 얼마전에 뉴스보니 치매, 우울증 관련한 가설이 다 틀려서? 그동안 그냥 정석적인 치료약이라고 먹던 약들이 사실상 다 무효했던것도 뉴스에 나오던데요...
    다이어트관련해서도 오늘은 좋다했다가 내일은 나쁘다 했다가...ㅋㅋ
    건강하기 참 어려움..ㅎㅎ
    생각해보면 그냥 특별한걸 하려고 하지 말고 무난무난하게 생활하는게 제일 좋다는 생각..ㅎ

  • 22.08.06 09:00

    동의합니다! 그런의미에서 영양제도 과하게 안먹는게 좋은것같아요. 예를들면 한포당 사과64개분 비타민 함유 뭐 이런식의 문구를 봤을때 거부감이 확듬. 과연특정성분을 그만큼 섭취하는게 정상인가? 하는..
    다만 오메가3는 모든진료과목 의사들이 공통적으로 추천하긴하더라구요 ㅋ

  • 22.08.06 09:56

    2222 맞습니다 특히나 작위적인 '임상실험'이라는게 현실상황을 100퍼 반영을 못하거든요. 그러다보니 그때는 최선인 줄 알았던 치료가, 시간 지나고 보면 영 아니었던 걸로 밝혀지는 게 종종 있습니다

  • 아닌거 같은데....
    30분만 블루라이트 차단기능 끄면 눈에서 바로 차이를 느끼는데

  • 22.08.06 09:15

    저도
    차단 안경끼고 폰보는거랑 맨눈으로 보는거랑 차이 확실하게 느끼는데요.
    맨눈으로 폰 1분만보다가 그만보면 눈 빡빡하고 흐리멍텅해짐을 느낍니다.
    안경끼고 10분보다가 폰그만보면 별이상 못는끼고요.
    머 주변에 이런걸 느끼는 사람이 저뿐이라 일반화하긴 힘들지만요.

  • 22.08.06 11:53

    플라시보

  • 22.08.06 09:51

    집중해서 일하다 보면 눈깜박임이 줄어 눈이 건조해져서 피곤해진다라..
    그럼 컴퓨터 작업할때 의도 적으로 순목을 많이하면 그러지 않다는 이야긴가??

    본인 자녀나 가족들에게 시력교정 수술이나
    드림렌즈 판매는 하는지도 이야기좀 해줘보시지..

    작년쯤 어떤 엄마가 초3정도 딸 아이 데리고 안경하러 왔는데 안경렌즈 설명 듣고 아빠랑 통화하더니 블루라이트 차단 옵션도 추가해서 근시 억제렌즈 선택하심.
    아빠가 서울의대 안과 교수라면서..

    추후 안경 찾으러 오셨을때 일부러
    자녀분에게 드림렌즈 안해주시나요? 물으니
    그걸 왜해요? 의사들 상술로 판매하는걸..
    절대 안하죠.
    알고 물어보긴 했지만 너무 직설적인 답변에 쇼킹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 22.08.06 10:03

    질투 쩌는 안과의사들 있죠.
    그러면서 본인들은 백내장수술 라식 라섹 엄청 권유하고.
    블루라이트 차단도 다른 안과의사들은 적극 추천하죠.

  • 22.08.06 10:06

    일본애들과 영국애들이 이상한 연구결과를 많이 내놓죠.

  • 22.08.06 14:30

    모니터의 경우 블루라이트 차단이 확실히 유의미한거 같아요. 그건 블루라이트가 아니고 어쩌고 좀더 검증된 이론으로 설명할 수는 있는데 플라시보는 아닌거 같음
    일본발 이론이 좀 사짜 느낌 나는 것들이 많은건 사실인데 나이트모드 같은 경우는 스마트폰은 거의 기본기능이 되었죠

  • 22.08.07 03:36

    블루라이트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