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HR포럼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홍지민
    2. 찬유맘
    3. 김민경
    4. 신현준
    5. summer snow
    1. 스패숑
    2. Paulos Hong
    3. 김태석
    4. 아자칸
    5. JinYoungll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 국~..
    누비아라   21.12.17

    이미지 클릭!

  • 문대통령, 가족 ..
    시골선생   17.05.26

    http://v.media.daum.net/v/20170526110716584 워로부터의 변화가 일고 있습니다.

  • 궁금할 때 펴보는.. 1
    시골선생   14.02.10

    전경련에서 직무관련 기업윤리를 상황별로 정리하여 Q&A 형식으로 묶은 가이드북을 발간했다. 2014. 2. 10 字 조선경제 기사 원문을 소개한다. ---------------------------------------------------------------- 한 대기업의 A과장은 협력사 직원들과 고스톱을 쳐서 제법 돈을 땄다. A과

 
 
 
  • 조u..
    골든아이   21.10.26

    

  • 혁신, 그 끝없는 ..
    시골선생   14.02.22

    닌텐도는 소니와의 게임기술경쟁 패러다임을 벗어나 친숙하고 누구나즐기기 쉬운 휴대용 게임기 닌텐도 DS로 일약 혁신의 대명사가 되었다. 2004년 DS, 2006년 Wii 이후 새로운 주력게임기가 나오지 않고 2011년 201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2013년 Wii U를 통해 흑자 반전을 기대했지만 350억엔의 적자가 났..

  • 삼성과 구글, 그리..
    시골선생   14.01.22

    Frienemy, 협력자이자 경쟁자인 관계를 의미하는 신조 합성어다. 구글과 삼성이 이런 관계다. 96년 애플이 아이폰으로 스마트폰 시장을 열었을 때 삼성은 스마트폰의 개념도 못잡고 있었던 듯 싶다. 곧이어 옴니아라는 허접한 스마트폰을 만들었지만 아이폰과는 비교할 것이 못되었다. 그러나 2013년 3분기 삼성..

 
 
 
  • 신­개&..
    바통터치   17.12.25

    여­성­회­원 휴­대­폰­을 통­한 본­인­인­증­제 실­시(실­명­인­증) goo.gl/ANw5cJ

  • 국내 NO.1 카$지..
    Nancy   17.12.10

    국내 NO.1 카$지$노 사이트, 10년 전통의 우리 추천 사이트,첫충 10%추가,매충 5% 추가 오링 뽀너스까지드립니다^^ dp3535.com

  • 시간은 돈이다? ..
    시골선생   13.12.09

    "시간은 돈이다" 우리가 존경해 마지않는 벤자민프랭클린의 철학이 담긴 말이다. "인생이 소중한가 그렇다면 시간을 허비하지 말라. 인생은 시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뢰침을 발명했고 인쇄사업으로 성공했으며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불릴 만큼 존경받아100달러 지폐의 모델 인물이기도 하다. 시중에 나도는 온갖 성..

 
 
 
  • 미래를 결정하는 ..
    시골선생   14.02.12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 예언할 수 없다. 그러나 예측은 가능하다. 크든 작든 모든 문제에 대해 미래를 예측해야 현재의 행동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정의 본질은 선택, 그 선택에 따라 미래는 달라진다. 우리의 미래가 어떨지는 알 수 없지만 그 미래가 누구의 손에 달려 있는지는 너무나 분명하다. 이번에..

  • 리더십은 강점을 ..
    시골선생   14.01.11

    난 박정희라는 인물에 대해 정의라는 관점에서 악당으로 보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의 리더십에서 참고할 점은 좀 있다. 1973년석유파동으로 외환보유고가 바닥났을 때 당시 김용환은 대통령의 지시로 '대통령 긴급조치 3호와 관련된 사항에 관한 보고' 계획안을 만들어 74년 1월보고했다. 문제가 생겼다. 보고서에 ..

  • 안녕들하십니까 대..
    시골선생   13.12.15

    학창시절 대자보 참 많이 썼다. 지금도 글을 자주 쓴다. 블로그처럼 짧고 즉흥적인 글에서부터 논문까지 여러가지를쓴다. 글이라는 것이 소통의 수단이다. 어떤 글은 소통이 잘 되고 또 어떤 글은 외로운 외침으로 끝나기도 한다. 최근 고려대 학생이 쓴 '안녕들하십니까?'라는 대자보가 화제다. 다른 대자보와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