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종이art
 
 
 
 

자주가는 링크

 
등록된 링크가 없습니다
 
 
  • 닥종이 생산과정 2
    野草 朴恩美   08.06.19

    닥나무 채취 닥나무 채취는 강원도 원주, 주문진, 경북 예천, 의성 등지에서 주로 이루어 집니다. 주로 1년생 닥나무를 12월에서 그 다음해 3월말까지 채취를 합니 다. 피닥 만들기닥나무를 가마솥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10시간 정도로 삶아서 벗긴 후, 닥나무 껍질을 건조 시킵니다 백닥 만들기피닥을 장시간 물속에 넣고 불린 후 칼로 표피(흑피)를 제거하여 백닥을 만듭니다. 삶기메밀짚을 태워서 재를 만든후, 시루에 천을 깔고 태운 재를 넣고 물을 부어서 울어 나오도록 한 것이 잿물입니다. 이 잿물을 백닥에 넣어 10시간 정도 장작불을 지펴서 삶습니다. 헹굼과 일광표백삶은 백닥을 맑은 물로 15일 가량..

  • 닥종이란? 2
    野草 朴恩美   08.06.01

    닥종이란? 우리 조상들이 여러 가지 원료를 사용하여 종이를 만들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원료가 닥나무 껍질입니다. 여기에 뽕나무 껍질, 소나무속껍질, 솔잎, 버드나무잎, 마의 대를 섞은 것을 주 재료로 종이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닥나무섬유로 만든 전통한지(닥종이)는 종이의 제왕으로 꼽힙니다. 질박한 분위기와 은은한 품격을 함께 지닌 데다가, 질기다는 점에서도 으뜸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종이는 근대적인 기술로 목재를 사용하여 만든 양지이고 우리의 전통 제작 기법으로 만든 종이를 한지라고 합니다. 한지의 이름은 조선종이, 닥종이, 창호지, 문종이, 참종이라고도 합니다. 한지는 시대에 따라..

 
 
 

게시판

 
선택된 게시판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