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MD·PEET 2007 meet/deet 24번 질문이요
흰둥이♡ 추천 0 조회 1,915 09.10.15 23:54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9.10.16 12:32

    첫댓글 혈중에 지방산을 첨가하면 세포내로 유입되는 포도당의 양이 저해되는 효과가 있습니다.또한 문제에서처럼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지방산을 Beta산화시켜 아세틸-Coa의 형태로 시트르산에 유입되려는 작용보다는.. 해당작용과 발효과정이 일어나게 되겠지요. 답이 4번인가요?

  • 09.10.16 16:06

    F16BP 형성에 관여하는 PFK-1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은 ATP,시트르산으로 지방산은 PFK-1의 활성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ㄴ은 틀린답입니다. 정답은 2번이네요.

  • ㄹ 은 왜 틀린건가요?

  • 09.10.16 20:11

    ㄹ의 포도당6인산의 농도가 감소한 것은 해당과정이 진행되어 F16BP로 바뀌어서 그런거지요.

  • 작성자 09.10.16 23:10

    그러면..지방산을 첨가 할 경우 원래 과당 1,6 이인산 그래프가 그대로 유지되나요?

  • 09.10.17 00:23

    전에 제가 생각한 것이 앞뒤가 안맞네요. (혈중에 지방산을 첨가해서 포도당이 유입되지 않는데<->해당은 일어난다..이것 잘못되었네요.) 그래서, 저도 책을 펼쳐봤는데..지방산은 PFK-1의 활성을 직접 저해하지는 않지만, 해당의 마지막 단계인 피루브산 키나아제를 저해한다네요. 그렇다면 오히려 해당작용 조차도 일어나지 않고 과당1-6이인산 농도의 변화도 일어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래서 과당1,5이인산의 농도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MEET해설지의 답은 2번인가봐요?;;;

  • 09.10.17 14:11

    지방산이 PFK-1의 활성을 저해하는게 아니니까 F6P에서 F16BP로의 변화는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ATP를 사용하는 델타G가 큰 음의 반응이니까요,) 지방산이 피루브산 키나아제를 저해한다면, F16BP의 농도가 일단은 높아진 채 유지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09.10.17 15:06

    해당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중간대사산물이 제거되어야 하고, 화학물질을 분해시킴으로서 생기는 에너지 저장체를 생성할 수 있는 전구체(ADP, NADP+, FAD)가 존재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시트르산 회로-전자전달계(산소조건), 발효(무산소조건)에 의해서 중간산물이 제거되어 주어야 합니다. 만일 글쓰신 분처럼 대사과정의 하나만으로 생각하려면 실험계를 다시 재구성해서 효소계를 재구성하고 물질을 지속적으로 투입하고 생성된 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해서 결과를 살펴보면 되겠지만 여기서 실험의 대상은 세포수준 이상입니다. 단지 해당의 특정 단계에서 반응이 저해되지 않는 것이 반응을 진행시키고 물질이 나타났다고 생각하는 것

  • 09.10.17 15:05

    에 저는 동의하지 못하겠습니다. 그래프라는 것은 수많은 실험의 결과 나타난 일반적인 경향성을 담고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경향성이라는 것은 특정 규칙성을 띄고 있는 정확한 예측치나 상대적인 농도에 대한 경향치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죠. F-1,6-BP가 해당-시트르산이 진행되기 위한 농도이상으로 축적되면 반응계는 저해받을 것입니다.(제가 이부분은 기억이 정확하지 않은데, 어느 효소가 저해받았던 것 같습니다. 이후 확인해볼게요.) 따라서 실제 무산소 조건에서 과당1,6이인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실제값이라 보면 실제값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를 (a)로 나타낸 것이다..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 09.10.17 15:08

    그래서 정답이 뭔지 궁금한 것이구요.

  • 09.10.17 16:28

    이 문제에서 다루고자 하는것은 ATP합성을 위해 유산소 조건에서 보다 무산소 조건에서 해당이 빠르게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F16BP의 농도변화가 유산소 조건에서보다 무산소 조건에서 더 큰것이구요. ㄴ에서 지방산을 넣었다고해서 바로 모든 해당과정이 정지되어 F16BP가 증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도 문제가 있을것 같네요. 정답은 2번이 맞아요. a처럼 농도를 '유지'하는데는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 09.10.17 22:04

    풀아이님 말씀이 맞는거 같네요. 제가 잘못알았네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