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MD·PEET MD 2014 md 30번
unice4199 추천 0 조회 1,673 14.06.16 17:53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06.16 18:50

    첫댓글 ㄱ. 발생"빈도"는 일정해요~ 축적 개수의 기울기가 일정하잖아요 ㅎ

  • 작성자 14.06.16 19:23

    ㄱ은 바로 이해되었어요! 감사해요^^

    근데 ㄷ에서 선택압력이 B가 더 크데요........... 이해가 안되는데....ㅜ

  • 14.06.17 00:33

    A는 돌연변이 발생 빈도가 높다: 풍족한 환경에서는 돌연변이가 일어나도 용납?이 가능하다. 돌연변이가 없어지지 않고 개체군에 남아 있다.
    B는 돌연변이 발생 빈도가 낮다: 풍족하지 못한 환경에서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조금만 돌연변이가 일어나도 자연선택에 의해 도태됩니다.
    따라서 선택압력은 B에서 큽니다.

  • 14.06.17 16:58

    어제 답변에서 ㄷ을 잘못해석했네요ㅠㅠ
    선택압이라는게 특정표현형을 불리하게 작용하게 하는 압력인데. 먹이가 부족하면 그 먹이를 더 잘 먹을 수 있는 개체만 자연선택되어 살아남기때문에 선택압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핀치새의 부리 생각하시면 될듯해요.
    먹이가 풍부하면 선택압을 받지않겠죠~!

  • 15.01.26 22:02

    @Redbean 혹시... 왼쪽 그래프에서 A는 성체로 자란 개체 수의 비율이 줄어 들기 때문에 돌연변이 효과가 중립적이지 않다고 볼 수 있는데.. 이 결과로 오른쪽을 보면 계속 돌연변이가 축적 되잖아요. "돌연변이가 중립적이지 않은데... A처럼 계속 돌연변이가 축적된다? "이게 잘 이해 안가요 ㅋ

    A는 먹이가 풍족하다 -> 경쟁이 심하지 않다 -> 돌연변이가 특별한 선택압을 받지 않는다. -> 중립적으로 돌연변이가 유발된다. 가 아닌가요?
    왼쪽 그래프에서는 중립적이지 않다가 맞지만...

  • 18.11.14 11:38

    @생화학대마왕 A는 먹이가 풍부해서 돌연변이가 일어나도 용납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왼쪽 그래프에서 성체로 자란 A 비율이 되게 낮게 나오는 이유는 뭘까요ㅠㅠ
    성체로 못자란 A가 많으니까 A가 선택압이 더 큰거 아닌가요..?

  • 18.11.14 15:00

    @한번에가즈아ㅏ 선택압은 A는 A끼리, B는 B끼리 받는 겁니다.
    돌연변이 축적 비율이 낮다=선택압이 크다.
    돌연변이 축적 비율이 높다->성체 비율이 낮다=중립 돌연변이가 아니다.
    성체로 못자란 A는 선택압의 결과가 아니고 돌연변이 축적의 결과입니다.

  • 18.11.14 15:01

    @힘내라: '중립적이지 않은 돌연변이가 축적되었고, 그럼에도 선택압을 받지 않았다'
    라고 생각합니다.

  • 18.11.14 19:18

    @생물학대마왕 오아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