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MD·PEET 2015 MD 17번 피토크롬B와 PIFs 돌연변이실험
speed 추천 0 조회 1,417 14.11.06 22:10 댓글 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11.07 22:09

    첫댓글 자료해석 문제인것 같아요.
    적색광 조건에서 phyB돌연변이는 하배축이 신장하므로 PHYB는 하배축 신장을 억제합니다. 같은 조건에서 pifs돌연변이는 하배축 신장이 저해되므로 PIFs는 하배축 신장을 촉진합니다. 두 유전자의 이중돌연변이 식물은 하배축 신장이억제되므로 phyB보다는 pifs의 표현형을 따르는 것으로 보아 PIFs가 PHYB보다 상위입니다. 즉 신호전달 과정에서 하류입니다.
    그렇다면 신호전달 경로는
    적색광은 PHYB를 활성시키고 PHYB는 PIFs를 억제하여 PIFs가 촉진하고 있던 하배축 신장이 억제되었다 라고 하면 되겠네요.

  • 14.11.17 15:27

    답변 잘봤습니다 ^^
    저기 죄송한데 상위에대해서 하나만 질문드릴께요~
    PIFs가 상위라고하시고 하류에서 작동한다고하셨는데요
    상위는 상류에서 작용하는것아닌가해서요??
    하류에서 작용하는것도 상위라고하나요??

  • 14.11.17 17:00

    @난합격할꺼야 상위는 한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의 표현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상류 하류는 신호전달 과정에서 앞단계를 상류, 뒤의 단계를 하류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알고있어요.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신호전달단백질이 하류에 있는 단백질이 돌연변이가 일어났을 때 상류의 단백질의. 표현을 막게되요. 상류가 표현형이더라도 하류가 돌연변이라면 신호전달은 일어나지 않는것이죠. 그래서 상위는 하류라고 말한 것입니다.^^

  • 14.11.17 17:36

    @송요용 감사합니다 ^^ 좀더 봐야겠네요 ㅋ

  • 14.11.18 14:47

    @송요용 지나가다가 궁금해서 질문드려요~이해가 잘 안되서요ㅠㅠphyB가 pif를 억제한다고 하셨는데 그럼 phyB가 상위가 아닌가요?

  • 14.11.19 09:07

    @생물쓰 phyB가 돌연변이라도 pif는 정상이라면 적색광 유무와 상관없이 하배축 신장 촉진 입니다. 반대로, pif가 돌연변이라면 phyB가 정상이라도 적색광 유무와 상관없이 항상 하배축신장은 억제입니다. 즉, phyB의 표현형과 상관없이 pif의 표현형에 따라서 하배축 신장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pif가 phyB에 대해 상위입니다.

  • 14.11.17 15:29

    총론입니다

  • 15.01.23 22:45

    상위(epistasis)와 상위(upstream, 상류)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