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MD·PEET 2015 MD 33번 취약X염색체가계도
speed 추천 0 조회 1,321 14.11.14 08:49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11.14 12:46

    첫댓글 PCR 결과 DNA 크기가 클수록 반복 횟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NA 크기가 1000bp 부근 이상일 경우 질병에 걸립니다.
    반복 횟수에 따른 발병률의 차이는 헌틴텅 무도병과 같은 맥락으로 보시면 됩니다.
    ㄱ. 환자가 남자 밖에 없고, 보인자 어머니에게서 모두 환자 아들이 태어났기 때문에 X-연관 유전입니다. 사실 이것보다는 보인자는 정상이기 때문에 열성 유전이고, 상염색체 유전이라면 정상과 보인자로부터 정상 표현형을 갖는 자식만 나와야 하는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상염색체 유전 기각시키고, 엄마가 보인자니 Y-연관도 기각시키는 쪽이 더 나을 듯 합니다.

  • 14.11.14 12:45

    ㄴ. II-3의 유전자 A 중 하나는 II-2로부터 물려받았기 때문에 ㄱ과 유사하거나 큰 밴드가 나타나야 하는데, ㅅ 은 오히려 밴드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II-3이 ㅅ이라고 보기 힘듭니다.
    ㄷ. 실제 환자 수가 3명인데, 밴드의 크기가 1000bp 부근 이상의 밴드가 3개 입니다. I-3은 밴드의 크기가 700bp보다 작기 때문에 아들에게 전달될 때 밴드의 크기가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만큼 반복 횟수가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작성자 14.11.14 13:03

    @분자생물학대마왕 자세한풀이고맙습니다^^

  • 14.11.30 18:02

    목록 링크 완료

  • 15.02.25 13:09

    밴드가 하나인 것과 두 개인 것이 있는데 하나인 것은 남성, 두 개인 것은 여성입니다. 이것으로 A가 X염색체에 있음을 추정할수 있고 또한 모든 X염색체에 존재함을 추정할수도 있습니다. 밴드가 한개든 두개든 총 합이 약900bp를 넘어야 질병이 발생하는데 그에 미치지 못하고 합이 약 700정도 인 것은 보인자, 165이하인 것은 정상이 됩니다. (나)에서1-3인 ㄴ과 같은 밴드의 패턴은 ㅂ, ㅈ이 있으므로 (가)의 2-3은 ㅂ 또는 ㅈ인것 같습니다. ㅅ은 1-1로 생각됩니다. 맞는 가설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생각하니까 문제 접근이 조금은 수월하네요^^;

  • 15.03.15 12:50

    Fragile X syndrome 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