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MD·PEET MD 2015 MD 32번 이익-비용 곡선 해석 질문 드립니다.
준비하는사람의여유 추천 0 조회 1,853 16.08.29 10:10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11.16 17:46

    첫댓글 이거가로로선을그어서. . 보는게아닐까요?? 노동당 에너지를 일정하게해서볼때 자원밀도가높다고나온 이익과 비용그래프는A이런식으로. . .해서. . . . ㅎㅎㅎ

  • 17.01.14 09:53

    ㄴ.
    ⓐ와 ⓓ의 교차점인 D1은 가장 성긴 지역(밀도가 낮은 지역)이므로
    밀집 지역에 적응한 A의 곡선이 될 수 없다.
    오답으로 제외.

  • 17.06.18 17:47

    비오님ㅜㅜ a곡선이 관목이 성긴 지역의 이익 곡선인지 모르겠습니다...성긴 지역일수록 오히려 벌이 모을수 있는 꽃가루의 양이 많은건가요? 도움부탁드립니다

  • 17.06.19 21:01

    @클로바 곡선 개별로 따지는게 아니고
    두개의 접점이 가장 낮으므로 (순이익) 성긴 지역이다

    이렇게 봐야하지 않을까요?

  • 17.01.14 10:21

    ㄷ.
    위에 주어진 데이터로는
    각 종의 곡선이 정확하게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여러 경우의 수를 모두 고려했을 때
    자원 밀도가 높은 곳에 적응한 A종은 D1보다는 큰 값을 가질 것은 알 수 있다.
    A종의 최소값은 D2이다.
    D1 과 D2 사이에서 A는 살 수 없다
    (또 여러 경우의 수를 고려해도 A의 D값은 B보다 항상 오른쪽에 치우치는 값을 가지므로 공존하지 못하는 구간이 반드시 존재한다)
    이것도 오답이라서 제외.

  • 17.02.13 13:53

    비오님~! A종의 최소값이 D3 아닌가요..??ㅠㅠ밀집된 지역이 a c 니까 그래프 보면요..!!!!!
    저는 A종이 D3, B종이 D2 라고 생각해서 D2~D3 사이에서는 A종이 살지 못한다고 생각했습니다!ㅠㅠ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나요..??ㅠㅠ

  • 17.02.13 13:53

    아 이 문제가 경우의수가 되게 많은 문제군요....!!!!ㅠㅠ

  • 17.02.13 14:15

    @아보카도 네~~ 위 자료로는 A종의 비용 곡선과 이익 곡선이 어떤 조합인지 확정할 수 없어요.
    (두 종이 비용 곡선은 같고 이익 곡선만 다를 수도 있으니까요)

    단지 D1일 수 없으므로 ⓐⓓ조합은 아니라는 것만 알 수 있습니다.

  • 17.02.13 14:15

    @아보카도 문제에 조건이 좀 부족합니다.
    만약 '두 종의 비용 곡선과 이익 곡선은 각각 다르다.'
    라는 조건이 붙는다면

    B종이 D1이면 A종은 D4입니다.
    B종이 D2이면 A종은 D3입니다.

    문제에서 곡선을 네 개 제시했으므로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 21.06.10 19:16

    <박선우 해설>
    ㄴ. 관목이 밀집된 지역에서 적응한 A는 꽃가루를 모으는데 덜 효율적. 그러므로 비용은 많이들고 이익은 적은쪽으로 적응하였을 것이라고 추측(자원에 대한 이용 효율 낮음) -> 이익곡선은 b, 비용곡선은 c
    관목이 성긴지역에 적응한 B는 꽃가루를 모으는데 더 효율적. 그러므로 비용은 적게 들고 이익은 많은 쪽으로 적응 -> 따라서 이익곡선은 a, 비용곡선은 d
    (같은 자원밀도일 때 어느 것이 에너지를 더 많이 얻을지 생각해보기..)
    ㄷ. A종은 D4 이상 자원밀도에서 생존 가능하므로 공존 불가

    샘들마다 해설이 다 달라서 뭐가 맞는지 모르겠는데요. ㄷ 보기에서 굳이 D1~D4에서 공존하냐 물어본걸 봐서는 왠지 A가 b, c 인게 맞는거 같기도 하고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