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MD·PEET 미트 2012 40번
긍정적인 생물 추천 0 조회 2,750 11.09.27 11:05 댓글 2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1.10.05 18:47

    첫댓글 단위가 궁금한데요 분자량에 달톤 그대로 넣으면 됩니까?? 물리화학은 손놓은지 오래여서 감조차 없네요ㅠ 암튼 답변 감사해요~~

  • 15.01.07 22:03

    ① Da = g/mol (문제에서 평균 분자량이 33kDa라고 주어짐)
    ② M = mol/ℓ (흡광도 결과와 문제에서 주어진 공식을 바탕으로 몰농도를 구함)

    답 = ①×② = 단백질 농도 g/ℓ = ㎎/㎖

  • 16.11.03 19:02

    여기서 단백질의 농도가 g/L 인거랑 '2015임용기출 미카엘리스 멘텐' 관련 문제에서 전체효소의 농도를 g/mol로 단위를 설정하는 건 어떻게 아는 건가요??ㅜㅜㅜ 도움이 절실히 필요합니다ㅜㅜㅜ

  • 18.11.05 05:41

    ε = 5500×9 + 1500×3 + 125×12 = 55500 (M^-1 ㎝^-1)

    시료의 흡광도 (A) = ε(흡광도, M^-1 ㎝^-1) × c(몰 농도, M) × 1㎝
    A = 0.556 - 0.001 = 0.555
    A = ε × c × 1㎝
    0.555 = 55500 (M^-1 ㎝^-1) × c (M) × 1 (㎝)
    c = 0.00001 = 10^-5 = ②

    답 = ①×② = 33 kDa ×10^-5 M
      (↓단위변환 : Da = g/mol, M = mol/ℓ)
    = 33 ×10^3 g/mol ×10^-5 mol/ℓ
    = 33 ×10^-2 g/ℓ
    = 0.33 ㎎/㎖

  • ε을 구할때, 문제에 나와있는 평균 아미노산 조성에 3을 곱하고 공식에 대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평균값이기 때문에 아미노산 종류 수를 곱해주는 건가요? ㅠ 잘 모르겠네요 ㅠ

  • 16.04.14 20:22

    @최선을 다하고 그 뒤는 잊어라 문제에 식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그 식을 그대로 적용해서 푼 것입니다.

  • @飛烏 문제에 제시되어 있는 식의 N Tyr, N Trp, N Cys 에 평균 아미노산 조성 빈도인 3, 1, 4를 각각 대입하지 않고 9, 3, 12를 대입한게 궁금합니다 ㅠㅠ

  • 16.07.13 11:31

    @최선을 다하고 그 뒤는 잊어라 시료내 단백질 평균 300개의 아미노산을 가진다고 했어요~

  • 16.09.09 14:22

    @飛烏 비오누님 질문있습니다.. 우선 명쾌한 답변 감사드리구요, <실험과정>에서 6N 구아닌의 흡광도 측정의 의도는 무엇입니까? 세포시료 흡광도에서 6N 구아니딘 흡광도를 빼주는 이유가 무엇이죠?

  • 16.09.11 14:22

    @카누 카누님 안녕하세요. 실험과정을 보시면 (가)에서 6N 구아니닌용액을 현탁하여 실험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흡광도 측정시 6N 구아니닌용액과 세포시료를 합산하여 흡광도가 측정됩니다. 즉 세포시료 자체에 대한 흡광도는 전체 흡광도(세포시료)에서 6N 구아니닌 흡광도를 빼고 구하셔야 합니다^-^*

  • 16.09.11 16:28

    @카누 하트님이 잘 설명해주셨어요.
    blank 보정이라고 합니다.

  • 16.09.11 16:31

    @하트 아....... 이제야 보이네요 세포를 6N 구아니딘 용액에 현탁했군요ㅜㅜ

    당연한 말이지만 흡광도가 없는 용액에 현탁했다면 brank보정과정은 필요없겠네요ㅎㅎ

  • 18.04.30 03:22

    @飛烏 질문있습니다!
    1. 현재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건 단백질의 흡광도인데 왜 실험과정 (다)에서 상층액시료의 흡광도를 구한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단백질은 가라앉지 않나요?
    2. 그리고 상층액시료 흡광도를 구했다 하고, 밑에 결과 표에선 세포시료 흡광도 값이 나와있는데 왜 그런지도 궁금합니다ㅠ.ㅠ.. 두개를 같은 것으로 봐도 되는걸까요?

  • 18.04.29 06:49

    @한번에가즈아ㅏ 1. 네. 가라앉지 않습니다.
    세포소기관을 분리할 때 쓰는 세포분획법의 원리와도 같지요.

    2. 같은 것 입니다.
    상층액에 단백질이 있습니다.

    그림 용월

  • 18.04.30 03:22

    @飛烏 아 제일 마지막까지 남는게 단백질..! 순간 혼동됐었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비오님😆🙏🏻

  • 18.11.04 23:26

    @飛烏 생물 초보라 정말 기본적인 질문이라 쑥스러운데 왜 A를 구할 때 cm는 약분되어 없어졌는데 M^-1에 M을 곱한 것은 없어지지 않고 그냥 M으로 남아있나요?

  • 18.11.05 05:40

    @이남희 네. 없어지는 것이 맞습니다.
    (헷갈림 방지를 위해 댓글을 수정합니다.)
    c값 자체가 몰농도 이므로 나중에 g/l농도구할 때는 단위를 붙여서 계산합니다.

  • 18.11.05 22:28

    @飛烏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그런거였군요 진짜 죄송한데 구한 몰 농도와 평균 분자량을 곱하면 왜 시료의 단백질 농도가 나오는지 설명 좀 해주실 수 있나요?ㅠㅠ

  • 18.11.05 23:54

    @이남희
    위에 같은 댓글이 있지만 다시 적어 봅니다.
    그냥 단순한 단위환산입니다.
    답지에서 g/ℓ농도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거기에 맞춘 겁니다.

    ① Da = g/mol (문제에서 평균 분자량이 33kDa라고 주어짐)
    ② M = mol/ℓ (흡광도 결과와 문제에서 주어진 공식을 바탕으로 몰농도를 구함)

    답 = ①×② = g/mol × mol/ℓ = g/ℓ = ㎎/㎖

  • 18.11.15 20:27

    이렇게 어려운 문제가 있다니...
    해설 주신 분들 넘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