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MD·PEET PEET 2018 PT 16번
붙짜 추천 0 조회 2,184 17.08.24 22:44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7.08.24 23:47

    첫댓글 발현량 많은쪽이 코돈중 하나만 빈도가 높으니까 자연선택 더 일어난거에용'
    대장균은 CUG 효모는 UUG요

  • 작성자 17.08.25 00:14

    발현량이 많은 유전자군에서 동의치환 코돈들(cug,uug이외의 코돈)이 이용빈도가 낮은게 자연선택을 덜받아서 그런거고, 발현량이 적은 유전자군에서는 동의치환 코돈들의 자연선택을 받았기 때문에 이용빈도가 높은거라고 계속 생각되는데 뭐가 문젤까요?ㅜ

  • 17.09.17 19:13

    @붙짜 발현량이 많은 유전자군에서 대장균은 CUG의 이용빈도만 높고, 효모는 UUG의 이용빈도만 높습니다. 이 코돈들을 가질때 더 환경에 잘 적응하여 선택되는 거죠. 반면 발현량이 적은 유전자군에서는 류신 코돈이 고루고루 사용되된것으로 보아 발현양이 많은 유전자군에서 자연 선택(방향성 선택처럼 보시면 될듯)을 더 많이 받았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 17.08.24 23:47

    대장균이랑 효모랑 각각 다른 코돈 양상 보이니까 독립적으로 진화한거 맞구용~

  • 17.12.14 17:44

    ㄱ. 동의치환 => 같은 아미노산 발현.
    발현량이 많은 유전자군에서 동의치환코돈인(CUA, CUC+CUU 와 UUG + UUA)는 사용빈도가 적습니다.-> 염기의 변이가 일어나면 불리하다 -> 선택압이 높다.
    발현량이 적은 유전자군에서 동의치환코돈인(CUA+CUG와 CUC+CUU, UUG.UUA)는 사용빈도가 많아집니다.-> 염기의 변이가 일어나도 살만하다.-> 선택압이 낮다.
    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6개 모두다 류신코돈이며, 발현량이 많은 유전자군에서 특정 류신 코돈만 이용한다는 것은 다른것을 사용하면 선택압을 많이 받는다라고 해석이 될 것 같습니다.
    ㄴ. 대장균과 효모에서 사용하는 코돈 빈도가 다르므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고 볼수 있습니

  • 17.11.15 12:32

    선생님 설명해준신거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발현량이 많은 유전자군에서 CUG만 자연선택을 받아 사용빈도가 높고
    발현량이 적은 유전자군에서는 UUG의 사용빈도가 높고요..

    설명에 다 같이 묶여있는건 무슨 의미인지요...?

  • 17.12.14 17:45

    @steady 그리고 해석을 대장균만으로 혹은 효모만으로 보기 힘들기때문에 각각 융합해서 해석하다보니 그렇게해석을적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시고 해석하시면 좋을것같습니다

  • 17.11.09 00:57

    근데 자연선택은 형질로 발현되는 것에만 해당되는게 아닌가요? 아미노산의 변화가 없으면 형질도 변화가 없어 자연선택이 안일어나지 않나요? 동의코돈에서의 자연선택이라는 말이 어쩐지 저는 좀 이해가안되네요 ㅠ

  • 18.11.10 16:34

    그렇게 생각하면 문제를 풀 수 없을듯 싶습니다... 짜고 치는 고스톱인거죠. 선택압을 받는다고 생각하고 풀어야 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