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창화의 필사본 <화랑세기>에 대한 진위논쟁
『花郞世記』는 8세기 초에 신라의 김대문이 저술한 책으로, 화랑에 관한 내용이다. 삼국사기 열전 <설총> 조에 “김대문이 伝記 몇 권을 지었는데 그 가운데 고승전, 화랑세기, 樂本, 漢山記가 아직도 전하고 있다”고 서술되어있다. 삼국사기가 저술된 1145년경에는 여러 권의 화랑세기가 존재해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이에 관하여 네이버백과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있다.
.....................
조선시대부터 화랑세기는 사라진 책으로 분류되었다. 그런데 1989년 2월에 갑자기 지방의 한 사람이 소장하고 있던 필사본 화랑세기가 공개되었다. 그 책에는 화랑의 기원, 역대 화랑의 지도자인 風月主의 계보 및 행적 등이 향가와 함께 기록되어있었다. 역사학계의 연구자 가운데 일부는 책의 내용이 사실이라면서 김대문의 화랑세기가 맞는다고 인정하였지만, 다수의 연구자들은 책을 소장하게 된 경위가 분명치 않고, 책의 내용 중 골품제도 및 혼인제도에 관한 부분이 기존의 학계 연구결과와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僞書로 보고 있다.
원본 화랑세기를 필사했다는 사람은 朴昌和(1889~1962)이다. 그는 1923년에 渡日하였으며, 1933년에서 1945년까지 일본 宮內省 도서료(현재의 궁내청 서릉부)에서 朝鮮典故를 조사하는 부서의 촉탁으로 근무했다고 알려져 있다. 궁내청이란 황실의 사무를 보는 관청이며, 書陵部는 황실의 도서 및 천황의 陵墓를 관리하는 부서이다. 이 서릉부가 관리하는 도서란 正倉院에 보관되어 있는 도서류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正倉院은 8세기 말에 세워진 보물창고로, 당시 光明황후(701~760)가 황실에서 소유하고 있던 귀중품들을 모두 東大寺에 기증하자 이를 보관하기 위하여 만든 건물이다. 正倉院에는 수만 점의 보물들이 있으며, 대부분 8세기 이전의 것들이다. 특히 무역을 통하여 입수한 통일신라시대의 유물들도 많이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없어진 당시의 가야금도 2개가 있으며, 신라에서 시행한 丁田(班田制)의 실태 등을 알 수 있는 경덕왕시대의 농촌자료도 발견되었다.
궁내청의 천황릉 관리에 대하여 井澤元彦은『역설의 일본사』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궁내청이 천황릉의 학술조사를 인정치 않는 진짜 이유는 무엇인가? 물론 그것이 공식 견해는 아니기 때문에 신문잡지에는 한 번도 실린 적이 없다. 그러나 알 만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것이 진짜 이유라는 소문이 있다. 본래 풍문에 지나지 않는 것을 굳이 받아들여야 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것은 일본의 고대사를 생각할 때 매우 유익한 재료이므로 감히 소문을 그대로 옮겨본다. 그것은 천황릉을 발굴하면 천황가와 한반도의 관계가 밝혀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천황가의 조상이 한반도에서 건너왔다는 증거가 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궁내청은 신성한 천황릉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학계의 끈질긴 요구에도 불구하고 천황릉의 발굴을 거부하고 있다. 正倉院은 외인출입을 철저히 통제하지만 매년 1회 일반에게 공개를 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 때에도 황실도서 전체를 공개하는 것인지는 의심스럽다. 천황릉의 경우로 미루어 보아 황실의 도서도 전체는 학자들에게도 공개를 하지 않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특히 고대 한국에 관련된 도서는 그렇다.
그런데 박창화는 궁내성 도서료의 직원이었으므로 출입이 자유로웠을 것이다. 더욱이 그가 맡은 일은 이 正倉院 내의 조선관련 문서를 찾아내어 그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었다. 그는 12년간 이 일을 계속했다. 12년간을 그곳에서 근무했으므로 그는 正倉院 내의 도서류는 눈을 감고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아주 익숙해있었을 것이며, 우리가 알지 못하는 많은 우리나라 문서를 보았을 것이다. 光明황후가 황실의 보물을 기증한 것은 김대문이 화랑세기를 저술한 시기보다 50년 정도 뒤의 일이다. 이와 같은 타이밍과 당시 활발했던 신라-일본 간의 무역을 고려할 때 이 책이 일본으로 흘러들어가 正倉院에 보관되어왔을 가능성이 높다. 박창화가 궁내성 도서료에 근무했다는 것은 그의 한문 실력이 뛰어났음을 말해준다. 그가 김대문의 화랑세기를 그곳에서 발견했다면 그가 그것을 필사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는 그 가치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박창화는 귀국 후 정부관계자를 수차례 찾아가 일본으로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나는 박창화의 필사본이 眞書 화랑세기의 필사본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박창화는 화랑세기 필사본을 포함하여 많은 遺稿를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는 <강역고>와 같이 그의 저작이 분명한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 원본의 저작연대와 저술자가 밝혀지지 않아 화랑세기까지 僞作의 의심을 받고 있는 것 같다. 화랑세기 외의 遺稿들은 세상에 공표된 것도 아니어서 사료적 가치를 판단할 수는 없지만 저작연대와 저술자가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만으로 그것을 위작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본다. 그것이 박창화의 창작물이라면 그가 무슨 목적으로 그런 위작을 만들었는지 나는 전혀 짐작이 가지 않는다. 역사서를 위작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오히려 그의 유고들은 모두 그가 궁내성에 근무할 때 필사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위서가 아닐 가능성도 그만큼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여튼 그런 애매모호한 유고들이 있다고 하여 저작연대와 저술자가 분명한 화랑세기까지 도매금으로 위작의 의심을 받는 것은 억울한 감이 있다.
네이버백과사전에 의하면 학계에서는 다수가 박창화의 필사본 화랑세기를 위서라고 보고 있으며, 그 주요 이유는 그 필사본의 花郞徒 像이 학자들의 연구결과와 크게 다르다는 점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그것은 앞뒤가 뒤바뀐 전도된 논리로, 마치 신발이 너무 작아 발에 맞지 않으니까 발을 깎아야 한다는 말과 같다. 그것은 그들의 연구가 엉터리라는 증거는 될지언정 그 책이 위서라는 증거는 되지 않을 터이다. 화랑세기의 내용으로 볼 때 화랑도란 원래 군사조직이 아니라 성인식의 한 과정이었던 것 같다. 성인이 된 남녀가 산에 들어가 함께 생활을 하면서 미래의 신랑신부감을 찾는 행사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화랑이 미소녀들로 조직된 源花에서 시작되었다는 것도 그것이 원래 군사조직이 아니었음을 잘 보여준다. 그렇지만 진흥왕 이후 점차 고구려와 백제의 공격이 격화되자 신라도 군국화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화랑의 조직도 군사화 하였고 실전에도 나아가 크게 활약하게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摩腹子라는 것이 나온다. 마복자란 임신한 여자가 왕이나 귀족과 성관계를 갖은 다음 낳은 아이로, 그 아이는 그 왕이나 귀족이 마치 자신의 양아들처럼 뒤를 돌봐 준다는 것이다. 그것은 말하자면 한국식 代父制度이다. 또 眞骨正統, 大元神統 등 이른바 姻統이라는 것도 나오는데 이것은 왕에게 왕비를 포함하여 女色을 공급하는 조직이다. 이들은 母系로 그 法統을 이어갔다고 하므로 이 책을 통하여 우리는 신라시대에 고대 모계사회의 遺風이 남아있었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은 신라사회의 실태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매우 신기하고 귀중한 자료이다. 그렇지만 고려시대에는 그 내용은 별로 신기할 것도 없고 또 화랑세기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으므로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는 굳이 기술되지 않은 것인지도 모른다. 김부식은 유학자였고 일연은 승려였다. 그들 입장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그들의 저서에 담는 것은 그리 달가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화랑도 상과 화랑세기의 화랑도 상이 다른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신라는 聖骨과 眞骨만이 모든 권력을 독차지한 신분주의 사회였다. 그리고 그것은 철저한 族內 혼인으로 유지되었다. 성골진골은 근친결혼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신당서 신라전에는 ‘兄弟女 姑姨 從姉妹, 皆聘爲妻, 王族爲第一骨, 妻亦其族, 生子皆爲第一族’ 이라고 하였다. 신라에서는 ‘형제의 딸, 부모의 자매, 사촌자매를 모두 처로 맞아들이며, 왕족은 제1골이고 그 처도 같은 친족이며, 그 자식도 모두 제1족이 된다’ 는 것이다. 신라 지배층의 이와 같은 극단적인 순혈주의는 애당초 어디에서 기원한 것일까. 혹시 그것은 그들의 뿌리가 흉노로서, 그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만들어진 관습 아닐까? 상상의 나래가 끝없이 펼쳐지는, 흥미진진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일본에는 ‘國學’이라는 것이 있다. 에도시대에 생겨난 학문으로, 일본의 古典을 연구하여 불교와 유교에 물들기 이전의 순수한 일본인의 모습을 되찾자는 것이다. 많은 훌륭한 학자를 배출했지만 一派는 국수주의로 흘러 神道와 결합한 후 明治維新 때에는 國家神道로 재탄생하였고, 明治維新의 이론적 지주가 되어 황국사상을 고취시켰으며, 오늘날의 극우파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의 우파는 우리나라의 이른바 뉴 라이트와는 근본이 다르다. 그들은 그들 나름의 전통과 古典이라는 고유의 연구분야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앞에는 천여 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홀연히 화랑세기가 등장한 것이다. 그야말로 유교불교의 윤리에 물들지 않은 천연의 모습 그대로. 이것이 眞書의 필사본이라면 참으로 감격이 아닐 수 없다.
그렇지만 박창화의 필사본을 대하는 학계의 태도는 냉담하기만 한 것 같다. 노태돈교수는 원고를 입수하고도 몇 년간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유는 이것이 위서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학계의 태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박창화가 스스로 한국의 고대사 서적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만 남아있다고 이야기를 했다면서 이것은 박창화가 스스로 화랑세기의 존재를 부정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고 한다. 학계에서는 이것을 박창화 필사본이 위서라는 유력한 근거로 내세우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그것은 오히려 박창화가 한국에는 고대사에 관한 자료가 적기 때문에 화랑세기를 발굴해낸 것이 얼마나 값진 것인가를 강조한 말일 수도 있는 것이다.
박창화 필사본 화랑세기는 뒷부분이 앞부분에서의 책 체제가 무너지고 내용도 간략해 진다고 한다. 위작론자들은 이것도 위작의 근거로 삼고 있는 것 같지만 이것은 박창화가 화랑세기의 필사를 늦게 시작하여 시간에 쫓겼음을 의미한다고 나는 본다. 아마도 일본군의 패망이 점차 현실로 다가와 조만간 귀국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들자 박창화는 서둘러 화랑세기의 필사를 시작한 것 아닌가 추측한다.
화랑세기의 내용이 자신들의 연구결과와 다르다는 것을 박창화 필사본 위서론의 주요 근거로 삼는 학자가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그들이 진정한 학자라면 설사 그것이 위서일 가능성이 90%라고 생각된다고 해도 나머지 10%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력을 해야 마땅한 것이다. 이 책은 그만큼 귀중한 것이기 때문이다. 박창화 필사본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1989년이고 그 全文이 확인된 것은 1995년의 일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그 원본을 찾는 노력을 얼마나 기울였나. KBS와 MBC에서도 그 소재를 찾으려 노력을 한 적이 있다는데 학계는 언제까지 뒷짐만 지고 있을 셈인가. 최소한 주일 한국대사관을 통해 일본정부에 그 책의 소장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요청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되지만 그런 노력조차 한 것 같지 않다. 대한민국정부는 얼마나 노력했나.
박창화 필사본에 나오는 摩腹子, 姻統 등은 세계에서도 보기드믄 고대의 독특한 제도이다. 그것이 위작이 아니라면 이러한 생생한 모습을 담고 있는 화랑세기는 우리의 문화적 자긍심을 높여줄 것임은 말할 것도 없고 세계문화유산으로서도 그 가치가 충분한 매우 귀중한 책이 될 것이다. 고려시대 중엽까지 남아있던 화랑세기, 그 원본이 지금도 어딘가에 남아 있기를, 그리고 그것이 확인되어 박창화 필사본에 대한 진위논쟁에 종지부를 찍을 날이 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첫댓글 근친혼은 세계사적으로 보면 주요 귀족세력간의 정치적 결속을 수 세대에 걸쳐 공고히 하기 위한 방편으로, 또 고귀한 혈통에서 피의 순수성을 지키겠다는 이유 등으로 종종 행해졌습니다. 따라서 그것이 흉노의 후손이라는 근거라 보긴 어렵습니다.
몇몇 집안이 세대를 걸쳐 교차 혼인을 할 경우, 근친혼이 발생하기 쉬운데, 대표적인 사례가 김춘추 집안과 김유신 집안의 교차혼인에 따른 근친혼 사례지요. 그 외에도 이자겸은 고려 왕실과 계속 혼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려 인종에게 자신의 이모(이자겸의 딸)와 결혼하게 하기도 합니다. 게다가 고려 초기 고려 왕실의 혼인사례를 보면 이건 '족내혼' 이라는 말이 걸맞을 정도로 '왕씨
친척 상호간의 결혼'(이 경우 여자는 왕씨 성 대신 다른 성씨를 쓰게 됩니다.)이 자주 나타났지요. 드라마 <천추태후> 에서는 왕실 내부의 근친혼이나 근친상간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표현을 한 바 있습니다.
외국의 예를 봐도 이집트의 왕실 내부 근친혼은 매우 유명하지요. 카이사르의 이집트 원정 전 클레오파트라의 원래 남편은 그녀의 남자형제였고, 최근에는 투탕카멘의 사망원인이 중복된 근친혼에 따른 유전병일 것이라는 주장도 있을 정도였지요.
각설하고, 박창화 필사본 <화랑세기> 가 확실히 진본이라 인정을 받게 되면 좋겠습니다. 그 책에는 상당히 많은 이야기가 들어 있으므로 신라 초기 역사를 복원하는 데 엄청나게 도움이 될 테니 말입니다.
그런데 진위를 떠나 화랑세기의 내용 어디가 그렇게 문제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박창화 선생이 짜집기 한 것일 수도 있다... 좋은 지적입니다. 사실 그런 정도의 위작을 만들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고 또 正倉院에는 수많은 고대의 문서가 있을 것이니까요. 일본이 박창화선생을 고용하여 한국관련 문서를 정리하게 한 것을 보더라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박창화 선생은 그 고서들을 일일이 정독했을 것이구요.
박창화씨의 필사본 화랑세기가 위작이라면 박창화는 천재라고 밖에 볼 수 없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