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과학교육론 과학교육론 2016 화학 B 2번. 과학지식의 주관성
모도리 추천 0 조회 307 22.09.18 16:28 댓글 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2.10.01 12:29

  • 작성자 22.09.18 20:14

    첫댓글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그런데 질문이 하나 더 있는데요..ㅠ 과학자 개개인마다 과학현상을 주관적으로 설명하고 해석하는 데에서 그친 것이 아니라
    저렇게 공공연하게 정의 내리는 과정에서는 과학자 집단의 합의도 필요한거 아닌가요??

  • 22.09.18 21:18

    1. 우선 선생님이 말씀하신대로 사회적 합의가 답이 되려면 다수의 과학자 집단이 해당 개념을 인정했다거나 합의가 이루어졌다는 내용이 제시되어야 합니다.
    물론! 과학사적으로 봤을때는 당연히 산화와 환원의 정의가 한 명의 과학자에 의해서 변화해온 것이 아니기때문에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다수의' 과학자가 해당 개념에 대해서 제시했다는 내용이 언급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해당 정의가 과학자 집단의 합의 과정에 의해서 인정받았다는 내용도 제시되지 않아 답안으로 보기 어려울 것 같네요.
    엄밀히 말하면 사회적 합의는 현대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과학지식이 구성되는 방법으로서 제시된 것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사회적 합의와 잠정성을 같은 맥락에서 보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드네요....!
    2. 위 문제에서는 같은 화학반응이더라도 산화-환원의 정의에 따라 해석 가능/불가능 여부가 달라진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상은 동일하지만, 해석하는 사람의 이론적 틀이나 개념 체계에 따라 그 의미나 해석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과학의 이론의존성 혹은 주관성을 답으로 쓰도록 출제된 문제인 것으로 보입니다 :)

  • 작성자 22.09.18 22:01

    아하 선생님 이제 정리가 되는 것 같습니다…!!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려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