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된 등산가는 하나의 방랑자이다. 내가 말하는 방랑자는 일찌기 인류가 도달하지 않은 곳에 가고 싶어하는 사람, 일찌기 인간의 손가락이 닿지 않은 바위를 붙잡거나, 대지가 혼돈에서 일어난 이래 안개와 눈사태에 그 음산한 그림자를 비쳐온 얼음으로 가득 찬 걸리를 깎아 올라가는데 기쁨을 느끼는 사람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참된 등산가는 새로운 등반을 시도하는 사람인 것이다. 그는 성공하거나 실패하거나 마찬가지로 그 투쟁의 재미와 즐거움에 기쁨을 느낀다. 그것을 이해하려면 그것을 느껴야 한다. 그것은 행복에 대한 강력한 감정이다. 그것은 온 혈관에 욱신거리는 피를 흐르게 하여 모든 냉소의 자국을 파괴하고 비관적인 철학의 뿌리 그 자체를 강타한다."
"인생의 근심걱정은 금권주의 및 사회의 본질적 속악함과 함께 아득히 저 아래쪽에 남는다. 위쪽에서 우리는 맑은 공기와 날카로운 햇빛 속에서 신들과 함께 걷고, 인간은 서로를 알며 자신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를 안다."
- 알버트 머메리(1855∼1895), <알프스에서 카프카스로> 中에서
* * *
꽤 오래 전에 일찌감치 '히말라야'를 다녀온 친구가 있었다. 그 친구는 IMF 이후 경제적으로 크게 성공을 거두고 난 뒤 갑자기 '정신적 허기'를 극심하게 느꼈는지 한동안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홀로 산 속 깊은 암자에서 온 겨울을 지내기도 하고, 해남 땅끝마을에서 고성의 통일전망대까지 보름씩이나 걸어가 보기도 한 끝에 결국 히말라야까지 다녀오게 되었다고 했다.
그 친구가 히말라야를 다녀온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무렵, 마포의 어느 허름한 술집에서 돼지고기 주물럭을 안주삼아 소주잔을 호기롭게 주고받으며 여러 친구들 앞에서 껄껄 웃으며 했던 얘기가 아직도 내 귓가에 생생하다.
"세상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있지. 히말라야에 가 본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하하하"
그때 그 친구로부터 들었던 '히말라야'에 대한 또다른 얘기는 왜 하나도 기억이 나질 않는지 모르겠다. 그 친구의 폐부를 찌르는 듯한 그 말 한 마디는 그 후 오랫동안 내 가슴 속에 콕 박혀 있었던 듯싶다.
그로부터 몇 년이 더 흐른 후 영화 버킷 리스트 :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은 것들을 보면서 '히말라야를 가고 싶은 열망'이 다시금 불쑥 뜨겁게 되살아나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었다.
"맞아 바로 저기야. 나도 언젠가는 저길 꼭 가봐야지......"
그 영화 속 이야기는 다시 떠올려봐도 언제나 생생하다. 주인공인 카터(모건 프리먼)는 갑작스레 찾아온 병으로 병원에 입원한 어느 날, 대학 신입생이던 시절 철학교수가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은 일, 보고 싶은 것들을 적은 ‘버킷 리스트’를 만들라고 했던 일을 떠올린다. 그리고 같은 병실을 쓰게 된 에드워드(잭 니콜슨)와 함께 병원을 뛰쳐나간 두 사람은 '리스트'를 행동으로 옮긴다.
그 두 사람이 스포츠카를 타고 프로펠러 비행기로 하늘을 마음껏 날아다니는 것도 멋져 보였지만, 아프리카로 건너가 해질 무렵 노을에 물든 '장엄한'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바라보고 마침내 만년설에 뒤덮인 히말라야에 오르는 장면들은 내게 정말 감동적이었다.
그 영화속 주인공들을 그렇게 이끈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바로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돌아보고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을 꼭 해야겠다는 결심' 때문이었다. (나는 그 영화 덕분에 '하기 힘든 몇 가지'를 생각보다 조금 일찍 실행에 옮겼다고 여기고 있다. 기억에 오래 남을 일들은 2008년에 가족들과 함께 이집트 일주여행을 다녀온 일, 단테의『신곡』을 읽은 일, 그리고 이번에 히말라야를 다녀온 일 등이다.)
그런데 히말라야는 대체 언제쯤 생겨난 것일까?
최근까지 밝혀낸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1억 4천만 년 전까지만 해도 오늘날의 인도는 곤드와나 초대륙의 일부였으나 떨어져 나가 연간 18~20㎝라는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북쪽으로 이동해 5천만 년 전 유라시아 판과 충돌했으며 이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히말라야 산맥이 형성된 것"이라고 한다.
인류의 조상이 아프리카의 숲 속에서 살다가 나무에서 내려와 직립보행을 시작한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약 400만 년 전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고 보면 히말라야의 만년설을 '신들이 사는 영역'으로 알고 감히 범접하기조차 두려워했던 시대를 뒤로 하고, 나같은 일반인조차 겁도 없이 수천미터의 봉우리를 오를 수 있게 된 우리 세대야말로 정말 엄청난 행운아들인지 모르겠다. 인류의 역사를 하루로 환산하면 인간은 23시간 59분 59초 동안이나 '히말라야 트레킹'을 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드높은 히말라야에 마음껏 오를 수 있다고 해서, 혹은 수천미터의 고봉을 직접 두 발로 다녀왔다고 해서 우리의 본질이 과거에 비해 근본적으로 달라질 게 무엇이 있겠는가. 다만 우리가 히말라야의 대자연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 봄으로써 우리 자신의 '진정한 유래'를 다시금 생각하며, 또한 히말라야의 눈부신 햇살과 맑은 공기를 마시며 내 자신의 발걸음 걸음마다 내가 살아온 자취를 되돌아봄과 동시에 앞으로 또 살아갈 나날들을 새롭게 그려볼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히말라야는 우리들의 삶을 조금은 덜 진부한 방향으로 이끌어 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