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가속도 방향이 운동방향과 반대라서 속도가 감소한다는 의미입니다. F=ma에서 가속도의 방향이 곧 힘의 방향을 결정함을 알 수 있습니다.(m, 질량은 방향이 없는 스칼라량이니까요) 따라서 물체가 오른쪽으로 운동하고 있을 때 왼쪽으로 힘이 작용(가속도가 작용)하면 물체의 속도가 점점 느려지겠지요.
님이 말씀하신... 운동방향을 (+), (-)로 표시하는 것은 속도(v)입니다. 속도 v<0 이면, 기준방향을 (+)로 표시했을 때, 그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운동하고 있는 물체를 +5m/s로 표시한다면, 반대 방향으로 같은 속력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5m/s로 표시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가속도의 개념을 정확히 한다면 간단합니다. 가속도는 시간에 따른 속도의 변화량입니다. 운동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더라도 속도가 감소하고 있다면 가속도는 (-)값이 되죠! 그리고 초록님이 쓰신(두번째) 가속도가 작용하고 있다가 아니라 힘이 작용하고 있다고 말을 바꾸셔야겠네요!!!
첫댓글 가속도 방향이 운동방향과 반대라서 속도가 감소한다는 의미입니다. F=ma에서 가속도의 방향이 곧 힘의 방향을 결정함을 알 수 있습니다.(m, 질량은 방향이 없는 스칼라량이니까요) 따라서 물체가 오른쪽으로 운동하고 있을 때 왼쪽으로 힘이 작용(가속도가 작용)하면 물체의 속도가 점점 느려지겠지요.
하지만... 물체의 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계속해서 가속도가 작용하면, 결국 정지했다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겠지요. 그러나 방향이 바뀌지 않고 단순히 속력만 줄어드는 단계까지만 생각한다면 무턱대고 운동방향이 반대로 바뀐다고 하면 곤란하겠지요?
님이 말씀하신... 운동방향을 (+), (-)로 표시하는 것은 속도(v)입니다. 속도 v<0 이면, 기준방향을 (+)로 표시했을 때, 그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운동하고 있는 물체를 +5m/s로 표시한다면, 반대 방향으로 같은 속력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5m/s로 표시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가속도의 개념을 정확히 한다면 간단합니다. 가속도는 시간에 따른 속도의 변화량입니다. 운동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더라도 속도가 감소하고 있다면 가속도는 (-)값이 되죠! 그리고 초록님이 쓰신(두번째) 가속도가 작용하고 있다가 아니라 힘이 작용하고 있다고 말을 바꾸셔야겠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속도와 가속도의 개념을 명확하게 갖지 못해서 그런거 같아요..^^
달리는 자동차에서 엑셀을 밟으면 +로 가속되는 경우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로 가속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편리하겠네요. 브레이크 밟는다고 차가 뒤로가는 이상한 차는 없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