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장애인의 눈 '점자블록
설치·관리 부실로 ‘있으나마나’
춘천 시내 곳곳, 점형블록 미설치로 차도·공사현장 경고 기능 못해
마모된 블록 미교체 지역도 많아…도 미설치율 전국 2위
춘천 시내 ‘점자블록(유도블록)’이 미흡한 설치와 부실한 관리로 시각장애인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이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을 통해 보행상태에서 도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면에 돌기를 붙인 것이다. 블록은 보행 방향을 지시해주는 ‘선형 블록’과 장애물이나 위험 지역을 알리는 ‘점형 블록’으로 나뉜다. 앞이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이 두 종류의 블록이 사실상 눈의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잘못된 설치로 메시지가 틀리게 전달될 경우 심각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춘천사람들>이 지난 12일 시내 도로 현장을 점검한 결과, 횡단보도 앞이나 공사현장 등 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서조차 점자 블록 설치와 보수가 미흡한 것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명동거리 입구 앞 횡단보도의 경우 유동 인구가 많아 오히려 점자 블록이 더욱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리는 점형 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자칫 잘못하면 횡단보도를 인식하지 못한 시각장애인이 차도로 걸어나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게다가 오랫동안 보수 관리가 되지 않아 돌기 부분이 전부 마모되어 있어 시각 장애인이 발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국토교통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지침)’에는 "점형블록의 경우 돌출점의 높이가 3.5mm이하, 선형 블록의 경우 돌출선의 높이가 3.0mm이하이면 시각장애인의 감지가 불가능하므로 점자블록을 교체한다"고 규정돼 있다.
또한 지침에서는 공사지역 내에서 보도를 차단할 때 시각장애인을 위한 임시 보행 유도 시설을 설치하고 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춘천역 인근 공사 현장에는 비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자 통로 안내만 있을 뿐 시각장애인용 점자 안내판조차 찾아 볼 수 없었다. 임시 보행로도 없이 갑자기 보행을 안내하는 블록이 사라진 도로 위에서 시각장애인은 갈 곳을 잃고 우왕좌왕하거나 공사장 안으로 들어가는 등의 돌발 상황이 우려되는 지점이다. 이 밖에 지하상가로 내려가는 계단 입구에 블록이 전혀 설치 돼 있지 않아 낙상 사고의 위험이 도사린 곳도 있었다.
시각장애인편의시설지원센터에서 지난해 조사한 ‘전국 7개 시·도 소재 공공건물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조사’에 따르면 강원도 소재 공공건물 점자 블록 미설치율은 46.5%로 전국 7개 시·도 중 2번째였으며 평균 미설치율인 37.6%보다 약 10%p 높았다. 부적정 설치율도 37%나 되었으며 적정 설치율은 16.5%에 불과했다.
시청 도로과 김창현 주무관은 “정기적인 점검이나 보수 공사는 인력 부족 등 여러 여건상 이뤄지기가 쉽지 않다”며 “대신 민원이 들어왔을 경우 응급보수는 최대한 신속히 착수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응급 상황 발생 후 보수 공사에 착수하는 식의 대응은 사고를 예방할 수 없고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권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실효성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박은주 시민기자
춘천 명동거리 앞 횡단보도. 횡단보도 앞에 장애물이 있거나 위험 상황이므로 잠시 멈춰 상황을 살피라는 뜻의 점형 블록은 없고 보행을 유도하는 선형 블록만 있다. 시각 장애인의 눈이 되어줘야 할 점자 블록이 오히려 시각 장애인을 차도로 이끌어 생명의 위협이 되는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춘천역 앞 공사현장. 점자 블록이 시각 장애인을 공사 현장으로 안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을 돌아갈 수 있는 임시 보행로를 찾아볼 수 없다.
(좌) 민원실 입구, (우) 민원실 내부. 춘천 시민이라면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 시청 민원실로 안내하는 유도 블록이 전혀 없다. 시청 정문에서부터 주차장을 거쳐 민원실로 이어지기 때문에 갈 방향을 잡지 못한 시각 장애인이 주차하려는 차량과 부딪힐 위험이 있다. 또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점형 블록이 정작 있어야할 유리벽 앞이 아닌 옆에 있어 장애물을 감지하지 못한 시각 장애인이 다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