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지구과학 과교론 작년 시험 질문입니다
아바라덕 추천 0 조회 761 24.08.26 18:09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26 18:11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26 18:16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8.26 19:16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9.03 10:21

  • 24.08.27 09:18

    첫댓글 1.저희 학교 과교론 교수님은 자주 가르쳐주셨어요 아무래도 지구과학은 특성상 야외수업(지질)이 많을 수도 있는 과목이다 보니 그런것 같기도하네요.
    2.저는 2022 교육과정 나올것 같아서 공부하긴 했는데 그렇게 세세하게 나올줄은;;; 저는 틀렸고 제 친구는 추론해서 맞춘 것 같긴하더라구요

  • 작성자 24.09.03 10:23

    개인적으로 물화생지중 가장 세세하게 나온 2022가 아닐까 싶습니다..! 고생하셨네요ㅠㅜ 지학에서는 낯설지 않은 모형이었나봐요~생물도 야외수업을 적용하기 괜찮아서 봐야할거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 24.08.31 21:37

    올해 지구과학 합격자입니다. 1, 2차 공부하면서 느꼈던 점 위주로 말씀드릴게요.

    1. 타과와 다르지는 않으나, 모든 과목 과교론을 풀어본 결과 모형에 대한 집착이 타 과에 비해 상당한 편입니다. 정말 이래도 되나 싶을정도로.. 무서우리만큼 집착하더라구요. 5E 모형이 가장 자주 다루어지고, 다른 모형들 역시 빠짐없이 고르게 출제되는 편입니다. 말씀하신 오라이온의 야외학습 모형같은 경우 잊을만 하면 한번씩 출제되는 편입니다.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지질공원 단원 자체가 신설됨과 동시에 기존에 교수님 및 석박사 과정이신 선생님들께서 지질공원을 수업에 적용하려는 연구를 자주 하시는 편이라 앞으로는 지금보다도 더 자주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생물교육쪽에서도 비슷하게 야외 학습이 있던거로 기억하는데 같이 보셨으면 좋겠어요.

    여담으로 2차 수업실연 역시 모형에 충실하게 수업해야 하며, 문제로 나온 단계에서 보여주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들을 반드시 포함시켜 보여주어야 합니다. 적어도 지구과학에서는요.. 저는 수업의 전체적인 흐름도 모형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줄 수 있게 연습했고, 그래서 수업실연 점수가 소수점 단위로만 감점되었어요. 같이 준비했던 분들도 마찬가지

  • 작성자 24.09.04 10:01

    모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조언까지…정말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모형 교수학습 내용이 단계별로 정석적으로(?), 자세하게 나오다보니 지학 기출이 연습하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조언해주신 부분 잘 유념하여 2차까지 잘 대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4.08.31 21:39

    2. 연계성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용은 거의 다 숙지한 상태에서 시험에 들어갔어요. 기출문제 경향을 보니까 교육과정이 바뀌는 과도기에는 항상 명시된 개정년도+2 즉, 2022면 2024년도에 출제되는 식으로 나오더라구요. 작년 시험(2024년 임용)도 그럴 것 같아서 2015, 2022 모두 준비했었습니다.

  • 작성자 24.09.04 10:03

    오…선생님 전략이 좋으셨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