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알림]----------------- 지우지 마세요!
1. 매매글 금지 ★★★
- 전자상거래법 강화로 매매글은 예고 없이 삭제됨을 알려드립니다.
- 바로 삭제되는 글 : (글과 '비댓' 모두 해당)
① '삽니다' 또는 '팝니다' 언급.
②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무단 복사 전재 배포 금지)의 PDF 파일 언급.
③ 금액 언급.
- 비댓에 언급되어도 삭제됩니다. 쪽지 권장합니다.
- 저작권 없는 자료에 한하여 무료나눔은 가능합니다.
2. 비댓 금지입니다! ★★★★★
------------------------------------------------------- 지우지 마세요!
배아 발생과정에서 배아 세포의 특정 유전자가 한개만 발현되어야 하니까 정상적인 발생을 위헤서는 유전체 각인이 필수적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x염색체의 무작위적 응축에 의한 바소체형성으로 세포마다 표현형이 다르게 나타나는 모자이크 현상이 대표적인 현상이라는데 이건 포배기에 암컷의 x염색체 불활성화 기작과는 다른 것이죠? 그럼 유전체 각인안에 x염색체 불활성화의 예도 ㅇ ㅣㅆ는 건가요??
첫댓글 염색체 불활성화로 바소체가 형성되서 체세포성 모자이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완전히 겹치는건 아니라고 하셨습니다. (ㄱㅊㅇ선생님 필기 중), 유전체 각인은 수컷이나 암컷 중 메틸화가 일어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어디서 메틸화일어날지 메틸화가 염색체를 발현할 지 억제할 지는 종마다 다 달르고요 무작위적인게 아니죠
1. 염색체는 불활성화는 XIST에 의한 바소체 형성에 의해, 무작위로
2. 유전체 각인은 메틸화에 의해, 종마다 암컷이나 수컷 중 확정으로
이렇게 보시면 될겁니다
필기남깁니다 참고하세요 :)
필기까지 너무 감사드립니다!! 유전체 각인은 별개고 X염색체 불활성화와 체세포성 모자이크만 구분해서 정리해두겠습니다!
참고하세요~
게놈 각인 발생이 상염색체만 이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