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중화반응의 알짜이온 반응식을 산화환원반응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나요?
샘무울 추천 0 조회 223 24.09.27 20:13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9.27 21:16

    첫댓글 결론적으로 일단 acid-base 반응은 oxidation-reduction 반응으로 보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사례의 경우 산소의 이동으로만 산화-환원을 정의하게 된다면 그렇게 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게 되는 재밌는 질문 같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중화반응이 일어날 때는 수소이온(H+)이 아닌 하이드로늄 이온(H3O+)가 반응에 관여하기 때문에 H3O+ + OH- -> 2H2O로 반응식이 구성되므로 알짜적인 산소의 이동이 없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전자의 이동의 관점에서는 설명하기가 조금 어려울 것 같기는 한데 이는 Na+와 Cl-가 합쳐져 NaCl 고체를 형성해도 산화-환원 반응으로 정의하지 않는 것 처럼 원래 음이온과 양이온이 이미 만들어진 상태에서 중성 화학종을 만드는 것이라 중화반응의 알짜반응은 산화-환원으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제 짧은 식견으로 보았을 때는 이러한 체계에 따라서 중화반응의 알짜반응을 산화-환원 반응으로 보지 않는다고 설명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림 참고사항으로 같이 수록해 두겠습니다.

  • 작성자 24.09.30 10:55

    선생님 ㅠㅠㅠ 그림까지...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행복한 한 주 보내시길 바랍니다🩵

  • 24.09.30 10:22

    위 선생님께서 완벽하게 설명해주셔서 쓸 말이 없네요..ㅎㅎ

    제 내용을 요약하자면(실제 학생들에게 설명했어요)
    1. 수소이온(H+)은 원래 하이드로늄이온(H3O+) 형태로 존재하므로 산소를 얻어서 산화된다라는 가정은 옳지 않다. 즉, 산화환원이 아니다.

    2. 전자의 이동 관점에서도 산화수의 개념을 배우지는 않지만, 차용하였을 경우에 모든 원자의 산화수 변화가 생기지 않으므로 산화환원이 아니다.

    정도로 학생들에게 간략하게 설명해줬습니다.

  • 작성자 24.09.30 10:46

    감사합니다 선생님..!! 몇가지만 더여쭤봐도 될까요?

    1. 선생님 그럼 혹시 하이드로늄이온(H3O+) 형태로 존재하던 것이 물(H2O)이 될때는 산소와 관계없이 수소이온을 하나 잃게 된다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그렇다면 또 궁금한 것이 생기는데요ㅠㅠ지도서에 보면 수소의 이동으로 산화환원을 설명할경우 수소를 잃는것이 산화라고 나와있는데 또 물화생지 어딘가에서 수소의 이동은 단지 잘 맞아떨어져서 제시하는 설명방법일 뿐, 맞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는 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2(1). 위의 중화반응의 알짜이온반응의 경우가 '수소의 이동으로 설명했을때 맞지 않는 사례'에 해당하는 것일까요??

    2(2). 아니면 '수소이온'의 이동이므로 수소의 이동과는 다른 것일까요?

  • 24.09.30 10:51

    @샘무울 1. 네 맞습니다. 하이드로늄이온은 수소이온을 하나 잃어서 물로, 수산화이온은 얻어서 물로 됩니다

    2. 수소의 이동으로 산화환원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중화반응의 경우도 수소의 이동이 맞습니다만
    제가 설명 드린것처럼 전자의 이동이 존재하지 않아(=산화수의 변화가 없어) 맞지 않는 사례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수소이온의 이동은 수소의 이동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수소가 단원자의 형태로 이동할때 수소이온 형태로 이동하거든요

  • 작성자 24.09.30 10:54

    @xeesoxee 정말정말 감사해요 선생님🥹🥹🥹 행복한 한 주 보내시길 바랍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