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알림]----------------- 지우지 마세요!
1. 매매글 금지 ★★★
- 전자상거래법 강화로 매매글은 예고 없이 삭제됨을 알려드립니다.
- 바로 삭제되는 글 : (글과 '비댓' 모두 해당)
① '삽니다' 또는 '팝니다' 언급.
②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무단 복사 전재 배포 금지)의 PDF 파일 언급.
③ 금액 언급.
- 비댓에 언급되어도 삭제됩니다. 쪽지 권장합니다.
- 저작권 없는 자료에 한하여 무료나눔은 가능합니다.
2. 비댓 금지입니다! ★★★★★
------------------------------------------------------- 지우지 마세요!
문제에서 포도당에 의한 조절 기작에 해당하는 것은 (다)라고 했는데
원래 포도당이 존재하면 오히려 젖당 오페론의 전사를 억제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왜 (다)가 포도당에 의한 조절 기작인건가요.. 따지고보면 (라)여야하지 않나요?
첫댓글 포도당에 의한 조절기작에서 cAMP는 저해자가 아니라 보조촉진자로 작용하니까요!
포도당이 존재하면 오른쪽처럼 된다! 라고 제시한게 아니라 포도당에 의해 조절될 때 두 형태가 상호 전환된다는걸 <->로 표시한거라 (다)에서 화살표 앞쪽을 포도당 농도가 높을때, 화살표 뒤쪽을 포도당 농도가 낮을때라고 이해하시면 될거같아요!
그러면 선생님 말씀대로 하면
그림에서 나타난 촉진 단백질이 CAP이고
보조촉진다가 cAMP로 봐야하는걸까요?
@슈부웅 네 맞습니다!!
@에피네프린 감사합니다 선생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