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면 만들던 날의 풍경
김녹희
누군가는 잔칫집에 시집 가는 게 꿈이었다는데, 시댁이야말로 조용히 자란 나에게 늘 잔칫집 같았다. 남편의 동기가 구남매 인데다 결혼해서 분가를 했어도 거의 매일 모이다시피 했다. 때로는 번갈아 가며 머무르는 친척들까지 합해 스무 사람 정도가 식사를 하곤 했다. 황해도 사리원에서 월남하신 시부모님은 식구들에게 잘 해먹이는 것을 가장 기쁘게 여기셨다. 그렇기에 시장사람들은 매일같이 장을 많이 보는 시어머님께 여관을 하느냐고 묻기까지 했었단다. 정말 여관인 것처럼 부엌은 거의 언제나 음식 준비로 바빴다. 묵을 쑤는가 하면, 녹두를 갈아 무쇠 솥뚜껑에 빈대떡을 부치고, 콩을 불려 두부를 만들고, 둥그렇게 둘러앉아 예쁜 모양내기 경쟁을 하며 만두를 빚었다. 그뿐 아니라 그 복잡한 과정을 다 거치려면 온종일이 걸리는 순대를 만드느라 분주하기도 하며, 마당의 진달래 꽃잎을 따다 화전을 지지고 시루에 떡을 찌기도 했다.
시댁은 특별음식을 꼭 집에서 손수 장만했다. 시부모님은 그것에 남다른 자부심을 갖고 계셨다. 아버님 친구 분이 식구들을 데리고 불고기를 사드렸다며 친구가 음식솜씨 없는 부인 만난 것을 불쌍히 여겼다. 그런 점에서 나는 남편과 아주 다른 생활문화 속에서 살아왔다. 식구가 단출해서인지 친정 부모님은 유난히 '기분'을 중요하게 여겨, 집에서 저녁준비를 다 해놓고도 기분전화하자며 외식을 하셨기 때문이다. 이렇게 분위가가 다른 시댁에서 나는 해외로 갓 입양되어 간 아이같이 앉을 자리를 찾지 못했었지만 조금씩 그 분위기에 젖어 들었다. 그런데 커피엔 적응하기 힘들었다. 커피를 즐기시던 어머님은 식후에 언제나 식구들에게 커피를 커다란 잔 하나 가득씩 타 주셨다. 나는 그 큰 잔으로 하루에 세 번씩이나 마신 커피 때문에 매일 배가 아팠다. 내색을 못하다 어느날 용기를 내어 커피 반 잔을 주문했지만, 어머님이 "원, 넌 참 별나기도 하다. 그까진 게 뭐가 많다고 반 잔을 마시냐." 하며 한 잔 가득 주시는 바람에 보약 먹듯 삼키고는 쓰린 속을 달래야만 했다. 커피뿐 아니라 무슨 음식이든 아주 맛있게 드시던 어머니는 유머도 넘쳐서 식사도중 느닷없이 이렇게 소리치곤 하셨다."헷바닥 꼭 붙들라!" 처음 그 말을 들었을 때 나는 뭐를 붙잡으라고 하는 건지 어리둥절했다. 하지만 그건 하도 맛있어서 혀까지 넘어갈까봐 정신 차리라는 이북식의 농담이었다.
고향음식을 좋아하던 대식구의 식사준비로 부엌은 한가할 새가 없었다. 그 중에서도 더 분주했던 날은 어머님의 진두지휘로 냉면을 만들 때였다.그런 날은 솜씨 좋은 누님들이 이른 아침부터 불려왔다. 냉면육수로는 겨울엔 슴슴한 동치미 국물과 닭을 폭 곤 국물을 섞었고, 여름엔 동치미 대신 나박김치를 담가 놓았다.
부엌에서 메밀가루와 녹말가루를 섞어 손을 벌겋게 데어가며 끓는 물로 익반죽하기 시작하면 둿마당의 가마솥엔 뜨거운 물이 설설 끓었고, 가마솥 위의 육중한 수동 국수틀이 놓였다. 잘 주무른 메밀반죽을 한주먹씩 떼어 국수틀 위에 얹으면, 남자들이 팔뚝
불끈 힘줄이 솟도록 근력을 다해 손잡이인 쇠막대를 눌렀다. 오래된 국수틀이어선지 손잡이는 쉽게 내려가지 않았다. 앙다문 얼굴에서 굵은 땀방울이 사정없이 흘렀다. 그제야 제면기에서는 천천히 국수가닥이 뽑혀 나오며 뜨거운 김이용암처럼 뿜어 오르는 가마솥으로 떨어졌다. 시원한 냉면 국수를 만들려면 사람들이 땀으로 흠뻑 젖을 수밖에 없다는 건 역설적이었다. 가마솥을 데우느라 장작불 지피는 이, 땀범벅이 되어 국수틀 누루는 이, 가마솥에서 막 건져 뜨거운 물이 떨어지는 냉면국수를 식히려 수돗가로 뛰어가는 이, 차가워진 냥냉면사리를 그릇에 담아 준비된 육수를 붓는 이, 국수 위에 닭고기와 오이 겨자초를 만들어 얹는 이,...숨 가쁘게 릴레이를 하듯 온통 떠들썩하고 바쁘게 돌아가고 나야 냉면그릇이 상 위에 올랐다. 한바탕 전행을 치른 것 같았다.
냉면 맛있게 하는 집을 찾아가 가뿐하게 먹곤 했던 나에게 그건 이상스런 장면이었다. 냉면 한 그릇을 먹으려고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땀 흘리며 고생해야하다니......먹음직스러운 음식 한 그릇 뒤엔 오랜 준비와 헤아릴 수 없는 정성과 수고가 숨어있다는 걸 그때는 알지 못했다. 그런 데다 함경도가 고향인 친정에서 먹던 함흥냉면하곤 퍽 다른 평양식냉면의 맛이 밍밍해서 나는 한동안 시댁의 냉면에 대해 비판적인 눈길을 보내곤 했다. 하지만 차츰, 담백하고 시원한 '시댁표' 냉면을 좋아하게 되었다. 그건 어느 냉념집도 흉내 낼 수없는, 정성이 담뿍 담긴 독특한 맛이었으니까.
삼십여 년이 지난 지금, 커다란 잔에 하나 가득 커피를 타주시던 시어머님도 안 계시고 신교동 옛집의 가마솥도 국수틀이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지나간 날이 아름답게 느껴지는 건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부정적이었던 감정은 불순물처럼 가라앉고, 오직 투명한 그리움만 남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일까, 잔칫집 같아 힘들었던 시댁의 번거로움이 생동감 넘치는 삶의 모습으로 다가온다. 냉면 만들던 날의 분주함이 빨리 돌아가는 무성영화처럼 눈앞을 스친다. 그 진한 삶의 장면들 속에서, 잃어버린 고향의 전통을 이어나가던 어머님의 의지가 이제 보인다.
추억은 세월이라는 옷을 입고야 제 본 모습을 드러내는 걸까. 보석인 줄 모르고 심드렁했다가 훗날 그것이 보석이었다는 걸 깨닫기도 했고, 귀한 보석이라 철석같이 믿었는데 얼마 후 그건 번쩍이는 유리조각이었다는 걸 알기도 했다. 냉면을 만들던 날들은 긴 세월이 흐른 후에 더욱 반짝이는 귀한 보석이었다.
나는 뒤늦게 추억을 보듬어 안는다. 가슴이 촉촉해온다.
첫댓글 역시 글을 써온 세월이 보이는 작품이네요, 한편 여성 수필가 만이 깊이 들여다 볼 수 있는 소재이기도 합니다.
맛깔난 냉면육수처럼 맵고 짜지 않은 구수한 문체가 유독 돋보이네요. 뒷 맛이 개운한 글 잘 읽고 갑니다
국수틀이 있는 집은 상상만으로도 정이 우러납니다.
냉면은 역시 겨울에 먹어야 제맛이죠.
저는 한겨울 으슥할 때, 어머니가 해주시던 동치미 국수를 잊지 못합니다.
아련한 그 추억, 아련한 그 맛. 이젠 돌이킬 수 없는 추억의 한 페이지로....
작가의 시댁 풍경이 사람살이의 참모습 같아 부럽고 그리워집니다. 이제는 잘 찾아볼 수 없는 모습이 아닐까 싶어요.
덜 하지도 더 하지도 않는 담백한 문장이 그 풍경을 더 잘 그려내고 있어 아주 흡인력이 있습니다.
'헷바닥 꼭 불틀라'
맛난 음식은 그렇게 북적북적한 가운데 먹어야 헷바닥 걱정까지 하게 되겠지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올 해 설음식 만두를 빚었습니다.
떡만두국을 한다면서 동생이 끓여낸 사 온 야채만두가 영 입에 맞질 않았는데
만두피부터 반죽해서 소를 일일이 만들어 넣은 만두가 얼마나 담백하고 맛있던지요.
그래, 금년 부터 우리집 설음식은 만두로 하자..했지요.
손이 많이 가고 시간도 많이 들고 허리가 뻑쩌근하게 힘들지만
식구들이 맛있게 먹는 만두는 그대로 보람.. 사는 맛 이었습니다.
아이들이 좀 더 어렸을 적 부터 시모님께서 생존해계실 때 부터
설음식으로 둘러앉아 만들지 못한 아쉬움이 너무 컸는데
이 글을 보자니 보석 같은 추억을 만들지 못한 그것이 더욱 사무치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