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운하’ 사진을 보니 서울은 잠수 중
(서프라이즈 / 밥이야기 / 2011-07-27)
중부지방에 밤새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지금도 내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 내릴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침부터 서울, 경기권에 사시는 분들이 트위터에 올린 이곳저곳 침수 사진을 보니 역사는 반복하고 있다가 아니라, 비로 인한 침수는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재삼 확인하는 순간이었습니다.
서울시는 터진 독인가요? 독이 부실하니, 그래서 땜방으로 막기를 반복하다 보니 집중 호우 때마다 매번 물이 넘쳐 흐르고 있습니다. 침수로 가장 많은 피해를 보는 사람들은 서민들입니다. 트위터리안(트위터 사용자)들이 아침 출근길에 담아 낸 사진들을 먼저 보시지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5086F334E2F777635) |
8시 26분경, 강남역 @ColinBack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25F7F354E2F778E07) |
8시 23분경, 강남역 주변 @ahnz3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45EDB354E2F78650B) |
8시 54분경, 지하철 2호선 방배역 @_swansong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2620C354E2F78BC0A) |
물이 찬 광화문 역내 @juniuson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2B02384E2F78CF15) |
광화문 일대 @madeleine_sol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05EDB354E2F792E0E) |
8시 22분경, 강남역 주변 버스 @Jane0071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65DB1374E2F797434) |
8시 45분경, 강남역과 양재역 사이 대로 @appcokr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42D45384E2F798712) |
강남역 주변 상황 @cathyshon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0FE5374E2F79E604) |
연세대 새천년관 건물 안 @Chocoberryp |
이분은 연세운하 개통을 경축한다고 말을 남기셨네요. “연세대학교 새천년관 현재 1층 완전히 침수되어 교수님이 결국 수업중단. 강의실에도 물이 새는 상황”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131EF384E2F7A270F) |
양재초등학교 앞 차들이 잠수 중이네요 @__haru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40BF8484E2F82432A) |
“구로역 천안신창 방면 선로아래 자갈이 무너졌습니다” @kid633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30843F4E2F840B05) |
친구에게 살려달라는 문자가 왔어요. @Yourmemory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265373D4E2F849522) |
청계천 넘칠라…. 장난 아니네! 이번 비 @kjc321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80E6F554E2F92B327) |
여의도 사는 친구가 보내준 여의도 쪽 올림픽대로 나들목 상황입니다.@ceres82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47A74344E2F93840D) |
봉천동. 삼 년 연속 비 피해입니다. 같은 피해가 반복되니 허탈하네요. 다음 아고라 닥터KR (wan****)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274284A4E2F963527) |
남부순환로 우면산 산사태로 인한 참사현장. 차가 떠내려가는 모습이 충격적이었다. @kyung88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9470B564E2F981C13) |
물에 잠긴 신림동 골목 @DrYongjae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00E533D4E2F90CB04) |
서울광장 교체 중인 잔디 상황. 둥~둥 /미디어몽구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7456C524E2F99092C) |
강남역 진흥아파트 사거리 |
아직 강남, 분당에 근무지가 있는 분들은 출근 중이라고 합니다. 산사태와 지하철 침수 소식이 계속 들립니다. 서울 르네상스의 현주소인가요? 물의 르네상스를 열고 있는 서울시. 많은 비가 내릴 것을 알면서 서울광장 잔디를 교체(교체비용 6천만 원)하다가, 잔디 둥둥 떠내려가 다시 잔디를 교체해야 하는 상황을 보니 할 말이 없네요.
과연 서울시가 배수시설을 제대로 점검하고 예산을 썼는지 묻고 싶습니다. 예산을 감축한 것 아닌가요? 4대강 사업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과거 폭우 때 4대강 사업이 진행 중인 본류에는 큰 피해가 없었지요. 4대상 사업이 아니라 20조가 넘는 예산을 제대로 썼다면 폭우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아무쪼록 비 피해가 없었으면 합니다. 산사태로 숨진 분들과 유가족들에게도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이상 기온으로 집중 호우가 예전과 다르게 전개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비 피해가 계속 속출한다면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하나요. 천재지변이라고 어쩔 수 없다고 계속 변명만 늘어놓을 건가요. 공사 좋아하는 사람들의 안이한 공사 때문에 발생한 재난은 분명 인재입니다. 제발 이제 폭우 탓만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는 앞으로 많은 천재지변을 일으키겠지요. 너무 잘 아시는 전문가분들이 왜 시야가 그리 좁으신가요. 폭우에 따른 피해는 있을 수밖에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것은 바로 정부의 임무입니다. 왜 밥값을 못하시나요?
부칸소행인 줄 알았더니…. RT @bkly9: 수해가 왜 오세훈 탓이냐구요? 오세훈은 시장으로 부임하고서 2006년엔 482억 원이었던 수해 방지예산을 올해는 고작 66억 원으로 줄여 버렸습니다. 충격적이죠? 반면 홍제천 등 디자인 서울을 위한 인공하천 조성 예산엔 무려 1158억 원이 배정되었습니다.
약 10분 전 twtkr에서 작성된 글 Choi Youngjin
@blueocean01
Seoul,KOREA
자연 / 사람 / 분배 / 자유 / 배려 / 꿈 / 여행 / 영화 / 음악 / 그리고…… 사람사는세상만들기 / 尙友千古
※ 중부지방 수해피해 - 4대강 사업이 수해 피해 예방과 관련없는 이유
※ 서울시 비 피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살펴보시려면 > 위키트리
밥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