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알림]----------------- 지우지 마세요!
1. 매매글 금지 ★★★
- 전자상거래법 강화로 매매글은 예고 없이 삭제됨을 알려드립니다.
- 바로 삭제되는 글 : (글과 '비댓' 모두 해당)
① '삽니다' 또는 '팝니다' 언급.
②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무단 복사 전재 배포 금지)의 PDF 파일 언급.
③ 금액 언급.
- 비댓에 언급되어도 삭제됩니다. 쪽지 권장합니다.
- 저작권 없는 자료에 한하여 무료나눔은 가능합니다.
2. 비댓 금지입니다! ★★★★★
------------------------------------------------------- 지우지 마세요!
POE모형을 짤 때,
학생이 탐구 결과를 근거를 들어 예상하고,
탐구활동을 진행해보며 결과를 확인해보고,
실제 결과와 예상 결과를 비교해 오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바로잡는
형태로 지도안을 짜잖아요
그런데 예를 들어 효소의 구조와 특성 관련한 실험이라 쳤을 때, 애들이 물질의 이동이나 반투과성 막에 대한 걸 전혀 모르는 상태면 아무 조건도 없는 상태라 예상을 할 수가 없으니, 이러한 수업은 지식이 어느정도 있는 상태에서 가능하다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셨거든요. 아니면 예상 전에 물질의 이동과 관련된 자료? 들을 보여준 후, 이럴경우 어떻게 될지 예상을 시켜도 된다고 하셨는데요.
미리 자료를 보여준 후 예상을 시킨다면, 어느 수준까지 알려주고 시작해야할까요?
예를 들어, 광합성과 호흡의 관계 실험 시에,
광합성만 배우고 호흡을 전혀 모르는 상태로 , BTB 용액이 담긴 시험관에 식물을 뒀을 때 색변화를 예상해봐라 하면,
너무 터무니 없을 것 같아서, 미리 자료를 줘야하나 싶은데요
호흡에 대해 어느정도를 알려줘야 너무 답을 알려준 것 같지도 않고, 아리까리한 상태에서 예상도 가능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
또, 예상 단계에서 학생들의 모든 질문을 허락하라고 되어있는데, 만일 호흡에 관한걸 직접적으로 물으면 어찌 대답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첫댓글 예를 들어주신 내용을 보면
저라면 BTB용액이 산성 중성 염기성일때 무슨색인지 알려주고 산소가 많으면 무슨색, 이산화탄소가 많으면 무슨색 인거까지만 미리 알려줄것 같아요. 이정도만 말해주면 색변화는 잘 예상할듯 합니다.
호흡을 모르는 상태에서 광합성만으로 색변화를 예상했는데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면 인지부조화를 일으키게 되는거니까요. 아직 배우지 않았기때문에 엄밀히 따져서 오개념이라고 볼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고요.
그리고 학생들이 호흡을 전혀 모른다고 가정하셨으니 호흡과 관련된 질문은 없다고 보면 될것 같은데요. 수업실연 연습 하실때는 선생님이 유도하고 싶은대로 학생의 질문을 만들면 돼요.
아니면 실제 수업 현장에서의 상황이 궁금하신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