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장시간 이어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
리드: 무선 이어폰 사용으로 20대 한 남성의 청력이 손상됐다.
.
평소 무선 이어폰을 항상 사용하며 이동하는 손(28)모씨는 장시간의 착용으로 청력에 적신호가 켜졌다.
2016년 A사의 무선이어폰 출시로 주목 받기 시작하며 2023년까지 20대의 83%가 무선이어폰을 사용한다고 밝혀졌다. 이로 인해 청년 난청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원인은 후천적 난청의 한 종류인 ‘소음성 난청’이다.
소음성 난청이란 지속적으로 큰 소리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난청으로 지하철과 같은 소음이 큰 곳에서 무선 이어폰을 사용해 소리를 듣게 된다면, 음악의 볼륨을 높일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은 상황이 지속될수록 귀 속의 섬모세포가 피로해져 난청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설문조사를 보면 이어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대는 20대이며 이어폰 사용으로 인해 이비인후과에 방문한 경험이 한 번씩은 있다고 답 했다.
이처럼 청년 난청이 증가함에 따라 유/무선 이어폰의 적절한 사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무선 이어폰은 노이즈캔슬링(Noise Cancellation) 기술이 들어간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이 귀 건강에 도움이 된다. 주변의 소음을 잡아 주기 때문에 집중하고자 하는 음악의 소리를 작게 해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권장하지만 장시간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유선 이어폰의 경우 노이즈캔슬링(Noise Cancellation) 기술이 들어간 무선 이어폰으로 변경하거나, 대중교통이나 카페 등 소음이 많은 곳에서는 착용하지 않는 것이 건강하게 귀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이다.
WHO는 청력 보호를 위해 60-60 규칙(볼륨을 60% 이하로 설정하고, 60분 이상 연속 사용을 피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첫댓글 -“손씨 청력에 적신호”가 나와야. (그 문장 다음에 “00한 것이다” 형식으로)
-무선이어폰 사용량 증가 데이터 출처 표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같은 기관 등에서) 난청 환자 증가 수치도 최신 것을 구해 넣어주기
-12명을 설문조사했다는 표현은 좀 그렇고 “12명에 대해 질문해본 결과...”
-노이즈캔슬링 기술이 들어간 제품이 좋다는 정보의 출처 밝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