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옹설(舟翁說)(권근)
손(客)이 주옹(舟翁)에게 묻기를,
"그대가 배에서 사는데, 고기를 잡는다 하자니 낚시가 없고, 장사를 한다 하자니 돈이 없고, 진리(津吏) 노릇을 한다 하자니 물 가운데만 있어 왕래(往來)가 없구려. 변화 불측(不測)한 물에 조각배 하나를 띄워 가없는 만경(萬頃)을 헤매다가, 바람 미치고 물결 놀라 돛대는 기울고 노까지 부러지면, 정신과 혼백(魂魄)이 흩어지고 두려움에 싸여 명(命)이 지척(咫尺)에 있게 될 것이로다. 이는 지극히 험한 데서 위태로움을 무릅쓰는 일이거늘, 그대는 도리어 이를 즐겨 오래오래 물에 떠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으니 무슨 재미인가?" 하니, 주옹이 말하기를,
"아아, 손은 생각하지 못하는가? 대개 사람의 마음이란 다잡기와 느슨해짐이 무상(無常)하니, 평탄한 땅을 디디면 태연하여 느긋해지고, 험한 지경에 처하면 두려워 서두르는 법이다. 두려워 서두르면 조심하여 든든하게 살지만, 태연하여 느긋하면 반드시 흐트러져 위태로이 죽나니, 내 차라리 위험을 딛고서 항상 조심할지언정, 편안한 데 살아 스스로 쓸모 없게 되지 않으려 한다.
하물며 내 배는 정해진 꼴이 없이 떠도는 것이니, 혹시 무게가 한쪽으로 치우치면 그 모습이 반드시 기울어지게 된다. 왼쪽으로도 오른쪽으로도 기울지 않고,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끔 내가 배 한가운데서 평형을 잡아야만 기울어지지도 뒤집히지도 않아 내 배의 평온을 지키게 되나니, 비록 풍랑이 거세게 인다 한들 편안한 내 마음을 어찌 흔들 수 있겠는가?
또, 무릇 인간 세상이란 한 거대한 물결이요, 인심이란 한바탕 큰 바람이니, 하잘것없는 내 한 몸이 아득한 그 가운데 떴다 잠겼다 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한 잎 조각배로 만 리의 부슬비 속에 떠 있는 것이 낫지 않은가? 내가 배에서 사는 것으로 사람 한 세상 사는 것을 보건대, 안전할 때는 후환(後患)을 생각지 못하고, 욕심을 부리느라 나중을 돌보지 못하다가, 마침내는 빠지고 뒤집혀 죽는 자가 많다. 손은 어찌 이로써 두려움을 삼지 않고 도리어 나를 위태하다 하는가?" 하고, 주옹은 뱃전을 두들기며 노래하기를,
아득한 강바다여, 유유하여라.
빈 배를 띄웠네, 물 한가운데.
밝은 달 실어라, 홀로 떠 가리.
한가로이 지내다 세월 마치리.
하고는 손과 작별하고 간 뒤, 더는 말이 없었다. <동문선(東文選)>
어휘 및 어절 풀이
주옹(舟翁) : 배에서 사는 사내. 뱃사람
진리(津吏) : 나루터를 관리하는 벼슬아치
가없다 : 가이없다. 끝이 없다. 다함이 없다
만경(萬頃) : 만경창파(萬頃蒼波)의 준말로 끝없이 넓은 바다
혼백 : 넋 / 지척(咫尺) : 가까운 거리
다잡기 : 다그쳐 바로잡기
후환(後患) : 뒷날의 걱정과 근심
▶고기를 잡는다 - 왕래가 없구려. : 손[客]이 뱃사람[舟翁]의 생활 모습을 관찰하고 나름의 느낌을 표현한 부분. 고기를 잡는 것도 아니고, 장사를 하는 것도 아니고 진리(津吏) 노릇을 하는 것도 아니어서 뱃사람의 생활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 정신과 - 있게 될 것이로다. : 몸과 마음이 흐트러져 결국 물에 빠져 목숨이 위태롭게 될 것이다.
▶ 내 차라리 - 되지 않으려 한다. : 뱃사람[舟翁]의 생활 태도가 드러난 부분. 느긋함을 즐기다가 위태롭게 되기보다는 늘 위태로운 배에 사는 것처럼 조심스럽게 긴장하며 살겠다.
▶무릇 인간 - 큰 바람이니 : 인간들이 살아가는 세상이란 큰 물결과 같이 흔들림이 많으며, 이 가운데 사는 인간의 마음이란 바람처럼 변화무쌍한 것이니,
▶한 잎 조각배로 - 낫지 않은가? : 물 위에서는 배의 중심만 잘 잡으면 되지만 인간 세계는 자신만이 중심을 잡는다고 되지 않으므로 물 위에 떠 있는 것이 더 안전하다.
원문 읽기
舟翁說
주옹설
客有問舟翁曰。子之居舟也。以爲漁也則無鉤。以爲商也則無貨。
객유문주옹왈。자지거주야。이위어야즉무구。이위상야즉무화。
以爲津之吏也則中流而無所往來。泛一葉於不測。凌萬頃之無涯。
이위진지리야즉중류이무소왕래。범일엽어불측。능만경지무애。
風狂浪駭。檣傾楫摧。神魂飄慄。命在咫尺之間。蹈至險而冒至危。
풍광랑해。장경즙최。신혼표율。명재지척지간。도지험이모지위。
子乃樂是。長往而不回。何說歟。翁曰。噫噫。客不之思耶。夫人之心。
자내락시。장왕이불회。하설여。옹왈。희희。객부지사야。부인지심。
操舍無常。履平陸則泰以肆。處險境則慄以惶。慄以惶。可儆而固存也。
조사무상。이평륙즉태이사。처험경즉율이황。율이황。가경이고존야。
泰以肆。必蕩而危亡也。吾寧蹈險而常儆。不欲居泰以自荒。
태이사。필탕이위망야。오녕도험이상경。불욕거태이자황。
況吾舟也浮游無定形。苟有偏重。其勢必傾。不左不右。無重無輕。
황오주야부유무정형。구유편중。기세필경。부좌불우。무중무경。
吾守其滿。中持其衡。然後不欹不側。以守吾舟之平。縱風浪之震蕩。
오수기만。중지기형。연후불기불측。이수오주지평。종풍랑지진탕。
詎能撩吾心之獨寧者乎。且夫人世一巨浸也。人心一大風也。
거능료오심지독녕자호。차부인세일거침야。인심일대풍야。
而吾一身之微。渺然漂溺於其中。猶一葉之扁舟。泛萬里之空濛。
이오일신지미。묘연표익어기중。유일엽지편주。범만리지공몽。
蓋自吾之居于舟也。祗見一世之人恃其安而不思其患。
개자오지거우주야。지견일세지인시기안이불사기환。
肆其欲而不圖其終。以至胥淪而覆沒者多矣。客何不是之爲懼。
사기욕이부도기종。이지서륜이복몰자다의。객하불시지위구。
而反以危吾也耶。翁扣舷而歌之曰。渺江海兮悠悠。泛虛舟兮中流。
이반이위오야야。옹구현이가지왈。묘강해혜유유。범허주혜중류。
載明月兮獨往。聊卒歲以優游。謝客而去。不復與言。
재명월혜독왕。요졸세이우유。사객이거。불부여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