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쉐핑
한 여인이 말을 타고 전라도 일대를 한 달 여간 순회한 뒤 이런 글을 남겼습니다.
"이번에 만난 여성 500명 중 이름이 있는 사람은 열 명뿐입니다.
1921년, 조선 여성들은 큰년이, 작은년이, 개똥 어멈으로 불립니다.
이들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글을 가르쳐 주는 것이 저의 가장 큰 기쁨입니다."
간호 선교사로 조선에 발을 내디딘 엘리자베스 쉐핑(1880~1934)의 기록입니다.
당시 조선의 상황은 가난은 이루 말할 수 없었고 전염병으로 병자가 넘쳐나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들에게서 눈과 마음을 뗄 수 없었떤 그녀는 서양식 삶을 고수하던 여러 선교사와 달리 조선말을 익혀 '서 서평' 이라 이름 짓고, 한복을 입고 된장국을 먹으며 헐벗은 사람들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때 선교사에게 주어진 하루 식비는 3원, 그러나 서 서평은 10전으로 허기를 채우고 나머지는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썻습니다.
걸인들을 데려와 씻기고 옷을 사 입히는 가 하면 환자가 버린 아이를 수양 아들로 삼았습니다.
그렇게 데려다 키운 아이가 14명, 아이를 낳지 못해 쫓겨나거나 오갈 데 없는 여인 38명도 거두어 보살폈습니다.
한번은 병원 앞에 버려진 아기를 어느 집에 맡겼는데 잘 키우겠따는 약속과 달리 술 심부름을 시키는 것을 보고 그동안의 양육비를 주고 데려 오기도 했습니다.
서 서평이 이일 학교와(한일 장신 대학교 전신) 조선 간호부회 (대한 간호 협회 전신)를 세운 것도 이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서 였습니다.
조선에서 이렇게 헌신하다 휴가를 받아 잠시 미국에 가 어머니를 만났을 때 고된 생활에 찌든 딸을 보고 "몰골이 부끄러우니 돌아가라!" 하며 매몰차게 외면했습니다.
강냉이 가루 2홉, 현금7전, 반쪽짜리 담요,...
서 서평이 22년간의 선교사의 삶을 마치고 세상을 떠날 때 남긴 유품의 전부였습니다.
거적떼기를 덮고 자는 사람에게 그의 담요 반쪽을 찢어주고 남은 반쪽으로 가날픈 몸을 가린 채,... 이땅의 삶을 그렇게 마쳤습니다.
그의 장례 행렬을 뒤따르던 천여명은 통곡하여 한 목소리로 외쳤습니다.
"어머니,... 어머니,...!."
그로부터 80여년이 흐른 오늘까지도 서 서평이 묻힌 광주시 양림동 뒷동산에는 그의 참사랑과 헌신을 추억하는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녀의 침대맡에는 이런글귀가 적혀있습니다.
Not Success But serve 성공이 아니라 섬김이다.
잘 산다는것이 무엇인지 진정한 성공이 무엇인지 깨닫게 하는 글입니다.
~ 옮겨온 글 ~
漢陽 Jun.
|
첫댓글 가슴이찡하네요 잊으면 않데겠어요 그런분 계셨기 지금우리가 잘살고있읍니다 감사합니다
가요소리와 엘리자베스 쉐핑에 대한글을 읽으면서
저런분들이 있기 때문에 현재 우리가 편히살고 있지않나 생각이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