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식물이 대단한 것으로 알았다. 자생지가 거의 파괴되어 이제 번식도 어렵고 증식도 어려운 품종인 줄 알았다. 그리고 식물 자체도 매우 희귀하고 아름다운 줄 알았다.
우리나라 미선나무는 식물을 좋아하는 분들은 모두 키워보고 싶을 것이다. 세계에서 우리나라에 유일한 그것도 1속1종인 나무를..
몇 년 동안 키워본 결과 이 식물은 '정말 아니올시다'이다. 꽃도 개나리만도 못하고, 나무 수형도 (우리 무궁화나무가 인기없는 것처럼) 형편없다. 겨우 이리저리 강제 이주당하다가 밭끝 어디서 명맥을 유지하는 줄 모르겠다. 3년전 구입한 분홍미선이 올해 처음 꽃을 달아 하우스에서 간신히 내눈을 끌고 있다.
우리나라 뻐꾹나리가 멸종위기식물이라 번식이 어려운 줄 알았지만 씨 100개를 심으면 101개가 나올 정도로 번식력이 왕성하다. 그리고 잘 키우면 그 당해년도에 씨를 단다. 땅나리도 마찬가지이다.
이미 우리 회원님이 설악산 꼭대기에서 어렵게 찍은 봉래꼬리풀은 우리 집에서 이리저리 주접떨다가 지금은 있는지 없는지(한 포기만 키우면 1년에 수백촉씩 불어나 너무 흔한 것이라 생각하여 없애 버렸을 것이다).. 멀대처럼 키만 커 이리 쏠리고 저리 쏠리는 땅나리도 이와같은 왕성한 번식력을 가지고 있어 밖으로 쫒겨나 어디 밭뚝에서 자라고 있을 것이다.
초본류만 그런 것이 아니라 1급 멸종위기식물인 섬개야광나무도 그렇고 가침박달도 너무 새끼를 많이쳐 조경하는 분이 묘목을 가져가고 대신에 우리 집에다 조경을 해주였다.
이렇게 왕성한 번식력을 자랑하는 것들이 왜 멸종위기 식물이 되었는가? 도대체 산림청이나 환경부 놈들은 뭐하고 있는 것인가?
산림갱신이라는 미명아래 전국토 산하를 돈 쏟아부며 간벌하여 산림을 망치는 삼림청 새끼들이나 대형공사를 무슨 환경영향평가를 해 면죄부를 주는 환경부 놈들이나 그러한 1년 예산 백분의 1이나 천분의 1만이라도 멸종위기식물 복원에 쓴다면 우리나라 전국토가 이 식물들로 주체를 못할 것이다.
중대가리(구슬꽃나무)는 우리나라에 극히 일부 자생하며(위 하릴없는 새끼들은 이 귀한 것이 있는 줄도 모를 것이다), 수형과 열매와 꽃이 모두 아름다워 분재하는 사람들이 아끼는 나무이다.(여름에 만났던 한 선배는 한 그루 있었는데, 누가 훔쳐갔다고 통탄해 했다). 올해 씨를 뿌렸는데, 1만개 이상 발아되어 너무 주체 못해 일부는 도태시켰다.
정부가 마음만 먹으면 멸종희귀식물들을 2-3년 안에 수억그루 이상씩 만들어 전국토에 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생각없는 종자들은 타성에 젖어 우리 회원이 설악산 그 꼭대기에서 모든 위험을 무릅쓰게하고, 공원지기에게 수모를 당하게 만들고 있다.
6천년 인류역사를 돌이켜 볼 때 정치나 관리들...이러한 잡종들을 전혀 믿을 게 못된다. 따라서 좀더 우리 회원들이 힘을 써 이 멸종위기 식물을 증식, 여러 곳에 나눔으로써 위기에서 구해내야 할 것이다.
미력이나마 푸르메도 최선을 다할 것이다.
첫댓글 푸르메님께 박수를 보냅니다. 오늘의 이 선언으로 말미암아 선조들이 사랑한 이 땅의 식물들이 살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미력하나마 저도 협력하겠습니다.
푸르메님 덕분에 이 땅에서 사라져가는 희귀종자들이 잘 보존이 되겠습니다. 화이팅~!!! 입니다^^
멸종위기식물의 개체수를 늘리는데 한종나가, 특히 푸르메님이 한 몫을 단단히 하시는군요. 화이팅~~ 좋은 성과 거두셔서 식물사전에 이름 남기시길 빕니다.
푸르메님 수고 많으십니다. 멸종위기식물 문제가 많지요...
ㅋㅋ씨앗100개에 101개의 싹이? ㅋㅋㅋㅋ산림청 환경부 놈, 새#들이 여기 회원이셔서 글 보시면 우짜실라고...ㅋㅋㅋㅋ
우리의 토종 &휘귀종에 대한 소고~다시 되새기게 하는군요!푸르메님 화이팅!!
동감 합니다 우리나라 희귀식물의 대부분은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모두 대량증식이 가능합니다 의지가 없는거지요.종자가 필요해서 육종연구소에 줄수있나 문의했더니 개인에게는 안준답니다.그러면 달리 구할수 밖에 방법이 없는겁니다 .
저두 산림청이나.....환경부나....농림부나....싸그리 없애버리든가 갈아치우든가 해야 될것같다는 생각입니다....
농림부도 마찬가지입니다. 수십억 쏟아 부었으나 폐허가 된 유리온실이 전국에 수백개는 있을 것입니다. 그것 하나만이라도 이러한 프로젝트에 사용했다면 우리나라는 원예강국, 식물강국이 되었을 것입니다.
올쏘~~짝!짝!짝!
멸종위기식물이 대단한 것으로 알았다. 자생지가 거의 파괴되어 이제 번식도 어렵고 증식도 어려운 품종인 줄 알았다. 그리고 식물 자체도 매우 희귀하고 아름다운 줄 알았다....는 이 말씀에 공감이 가네요...번식도 잘되는 식물들이 멸종위기의 식물이라니...어이 없네요.
식물들이 멸종해가는 가장 큰 이유는 무관심과 무지 때문인것 같습니다. 많이 알수록 관심이 가고 그러면 저절로 애착이 갈텐데... 저또한 이곳 한종나를 통해서 많은 식물들을 알게 되었고, 그만큼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멸종위기.....희귀식물도 모르는게 많은데...멸종이라...가슴이 아프네요....푸르메님....홧팅입니다..^^
공감가는 말씀이예요... 우리가 조금씩이라도 힘을 모아야겠네요...
ㅎㅎㅎㅎㅎ 시원하게 통감 . . 동감 하는 말씀 이십니다. ......저도 노력하겠습니다..
7-13 수생식물이야기 179 사진- 흰어리연 3분께 한뿌리씩 보내드리겠습니다. 신청은 이 꼬리말 아래에 꼬리말 답글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3분 자동 마감합니다. 1 시간 이내만 신청받겠습니다. 끝내고 집에 가야하니까요. 가시연 씨앗을 신청하신 분은 더욱 환영합니다.
1번 신청 합니다..!! 우하하하하... 이거였군요~~저 당첨 된건가요?? 내년엔 저희 연못이 풍성해지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 숨은 이벤트.. 으하하하하.
그런데 아직 집에 못가셨다니..음.... 야근이신가봐여.. .. ^^ 조심히 들어가세요..^^
저요. 2 번 신청합니다 기뻐요 너무 기발하신 아이디어 셨습니다. 덕분에 멸종식물에 대해 생각해 보게 ?거든요.
그림사랑님 지우셨네요..
가시연 4번? ㅎㅎㅎ 간발의 차이군요~안되면 어리연도 환영합니다.
....................................................................................흰어리연 마감합니다. 늦은 밤 감사드립니다. 꽃님들의 고운 밤이 되길...
전 연꽃에 관심이 많아 연 이야기만 나오면 좋아라 달려온답니다... 사람도 멸종이 될수도 있을듯해요. 예전 공룡 시대 처럼..... 공룡이 다 전멸하고...... 이구 도대체 일년에 몇종류에 식물이 없어질까요? 보호합시다.
정말 공감가는 말씀이네요..저도 노력할께여..ㅋㅋ^^
저희 동네에도 무지 큰 유리하우스가 있는데 호기심에 들여다 보니 안은 썰렁하더라구요. 제가 걱정이 되 옆집분한테 유지비 걱정된다 하니까 꽁돈으로 지은 것이라 내버려 둬도 된다하더군요. 푸르메님글을 보니 갑자기 생각이 났습니다. 가끔 양재동 화원에 가 보면 새로운 품종이 보이고 집에와 식물 도감 찾아보면 희귀 식물로 분류 되 있는것도 있더라구요. 의지만 있으면 이렇듯 어려운일 만은 아닌것같습니다. 이렇듯 번식시키면 자연을 해치지않고도 희귀식물을 구했다고 뿌듯하겠죠?
아 그 유리 하우스.. 나라에서 맹글어줬나부네여.. 복순이님댁에 갈때 .. 그 하우스 쥔장 살짝 부러워 했다는.. ^^
멸종위기식물 목록 보시면 사리에 맞지 않는 것이 많습니다...현실과 동 떨어진 탁상위 멸종위기식물이지요....
가슴이 찡해옵니다. 정말 공감하는 마음입니다. 저도 작은 힘이나마 보태지요
여기 한종나에서도 멸종위기식물 가끔씩 보이는데요....아마도 가시연은 보호식물이었던가요?
우리 야생화들이 마구 뿌리채 뽑아가서 멸종위기가 되었다는 글을 읽고 부끄러워했던 적이 있습니다....그 범인 중 저도 손 들어야했으니깐요....부끄러운 과거지만 한종나를 만난 지금 젤로 성과는 전 절대로 길가에 풀 한포기도 그냥 안 뽑아온다는 점입니다....대신 씨앗은 가져 옵니다....^^.......이 정도는 괜찮을거 같아서용....^^
좋은 말씀에 부족함이 많은 저도 느끼는 점이 많습니다
글의 끝부분...6천년 인류역사를


위기에서 구해내야할것이다
"라는 말씀에..기립 
를 보내드립니다
우리꽃 지키기에 노력하시는 푸르메님의 글에 동감합니다. 그리고 며칠 전에 제가 푸르메님께 질문 쪽지 드렸는데 못보셨나요?
절대공감.. 한개인이 해 내는 일을 나라에서는 하지 못하죠.. 그게 다 책상앞에 앉아 머리만 굴리는 분들땜이겠지요..
수몰지구에 묻히는 꽃,풀 케다 보존 해보도록 노력 합시다
푸르메님 말씀과 여러 회원님들의 글 읽으면서 한종나의 존재 이유가 더욱 더 분명해짐을 느꼈습니다. 한종나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