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은 총 2가지 입니다 rb 에 구멍 뚫은 알루미늄 호일 씌우고 이상기체상태방정식 이용해 기체의 분자량 측정하는 실험에 대한 질문입니다 알루미늄 호일 뚜껑에 구멍을 뚫는 이유는 뭔가요?? 실험 데이터 처리할 때 P에 대기압을 대입하는걸보니 플라스크 내부의 기체압력과 대기압을 같게 하기 위해서 라고 생각이 드는데 확실한 답이 궁금해서요ㅎㅎ
두 번째 질문은 질량인데요 w1은 빈 플라스크+알루미늄 뚜껑 w2는 플라스크 + 기화된 기체 + 뚜껑 으로 기체의 질량을 간단하게 w2-w1로 구하는 방법이 있고 w1을 플라스크+뚜껑+공기 로 두고 w2는 그대로 플라스크+뚜껑+기체 로 둬서 공기의 평균분자량 이용해 플라스크 내 공기의 질량 구해서 기체의 질량=w2-(w1-공기의 질량) 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있더라구요 두 번째가 더 정확한 방법이라는건 알겠는데 w2에서 왜 공기의 질량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가 궁금합니다 뚜껑의 구멍으로 공기는 다 날아가고 플라스크 내부엔 기화된 기체만 있는건지..
첫댓글첫번째 질문은 대기압과 같아지기 위해서가 맞습니다. 두번째 질문은 상온과 같이 식히게 되면 뚫린 구멍을 통해 공기가 들어옵니다. 플라스크 부피 정도로 기화된 시료는 다시 식혀서 액체가 되면 매우 작은 부피가 되기 때문에 기존에 시료가 없는 경우와 액화된 시료가 있는 경우의 공기의 양의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볼수 있어 오차를 줄일수 있습니다. 그래서 식힌 후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댓글 첫번째 질문은 대기압과 같아지기 위해서가 맞습니다.
두번째 질문은 상온과 같이 식히게 되면 뚫린 구멍을 통해 공기가 들어옵니다. 플라스크 부피 정도로 기화된 시료는 다시 식혀서 액체가 되면 매우 작은 부피가 되기 때문에 기존에 시료가 없는 경우와 액화된 시료가 있는 경우의 공기의 양의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볼수 있어 오차를 줄일수 있습니다. 그래서 식힌 후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