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 업체가 같은날 조사했는데, 결과는 딴판…'이상한 여론조사' 조사 착수
알앤써치, 이재정-심재철 여론조사… 한번은 55:31, 또 한번은 44:40… "왜곡 조사" 검토 착수
총선 관련 여론조사의 공정성 문제가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한 여론조사 업체가 같은 선거구에 대해 같은 날 두 차례 조사했는데, 두 조사 결과가 딴판으로 나온 것이다.
문제가 된 여론조사 업체는 '알앤써치'다. 매일경제신문과 MBN이 이 업체에 경기도 안양시 동안을 선거 여론조사를 의뢰해 26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후보가 53.5%, 미래통합당 심재철 후보가 31.8%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알앤써치는 지난 23~25일 사흘간 만 18세 이상 남녀 53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고 밝혔다.
거의 같은 시기에 조사했는데…"21%p 차이" "4.3%p 차이" 결과 딴판
반면, 경인일보가 알앤써치에 의뢰해 26일에 발표한 조사결과에는 이재정(44.3%)·심재철(40%) 두 후보가 오차범위 내외인 4.3%p 차이의 박빙으로 나왔다. 이 조사는 24~25일 각 지역구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조사를 했는데도, 앞선 발표에서는 이재정 후보가 21.5%p 앞섰다고 했다가 이번에는 오차범위 내라고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여심위)가 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심재철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여론조사 왜곡 의혹을 강하게 주장했다. 심 의원은 "알앤써치는 2020년 올해만도 '선거여론조사기준 미준수', '피조사자 응답 강요·유도 및 의사 왜곡', '사실과 다르게 등록'의 이유로 경고(인도 보도 불가)를 비롯해 3차례 심의조치를 받은 바 있다"고 지적했다.
심재철 "설문부터 편향된 여론조사…대의민주주의 심각한 위협"
심 의원은 설문의 편향성 문제를 구체적으로 거론했다. 심 의원은 "매경과 MBN의 설문지에서는 대통령의 지지율 관련 질문을 넣어 '선생님께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얼마나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며 문재인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 채로 묻는 왜곡된 질문으로 편향된 답변을 유도한 것으로 밝혀졌다"며 "공정한 설계라면 '국정운영을 어떻게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로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 의원은 "지난 1월에도 KBS가 보수야당 심판론이 정부 심판론보다 우세하다는 내용의 왜곡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로부터 공직선거법 준수 촉구 통보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심 의원은 또 "선거를 목전에 둔 잘못되고 편향된 결과를 의도한 여론조사는 대의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며 유사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서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신속한 조사와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이번 조사는 신뢰성에 큰 문제가 있고 중도 표심을 자극해 선거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 만큼 MBN과 알앤서치는 즉각적으로 오류를 인정하고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조사에 성실히 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0/03/27/2020032700256.html
참 이상한 여론조사
오는 4월 15일 총선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하지만 아직도 각 정당들은 뚜렷한 대책 없이 세월만 보내고 있다. 물론 예비후보들의 대형 현수막은 도심 속에 현란하기 조차 하다. 그렇다고 유권자들이 지금 선거에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다. 한마디로 장사꾼만 요란한 격이다. 중앙의 정치는 여전히 이합집산의 이해득실만 넘쳐나는 듯하다. 선거철 대목을 보려는 야심찬 셈법만이 눈에 보인다. 국민들을 위한 고뇌보다는 달라진 준연동형비례대표제의 셈법이 복잡해지는 듯하다. 여기에다 만 18세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자 이 역시 유불리 셈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벌써부터 젊은 세대들을 위한 선심성 행정이 등장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이런 가운데 선거철을 앞두고 여론조사기관들이 가만있을 리가 없다. 곳곳에서 여론조사가 공공연히 펼쳐지고 있다. 지역 언론사들도 예비후보들의 여론조사를 발표하며 추이를 살피고 있다. 사실 유권자들은 무관심한데도 발동을 거는 형국이다. 예비후보들의 난립에다 기존에 유력 후보의 불출마 선언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물밑에서는 뜨거운 쟁탈전이 전개되고 있다. 그렇다고 지금의 여론조사가 제대로 들어맞는다고 보기에는 다소 성급한 느낌이라는 지적이 많다. 왜냐하면 작금의 정치상황이 국민 불신이 매우 큰 때문이다. 여론조사 기관만 ‘개발에 땀’이 나고 있다.
요즘 정치 불신만 큰 것이 아니다. 여론조사에도 그다지 큰 신뢰를 보내지 않고 있다. 여론조사기관이 휴대폰으로 조사 의뢰를 시작하면 곧바로 끊어버리는 사례가 다반사이다. 그런데 문제는 다름이 아니라 희한한 여론조사가 펼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에 유명 여론조사기관의 설문에 응대하던 응답자가 황당한 경우를 당했다고 밝혔다. 모 유명여론조사기관의 전화를 받고 응답도중 연령대를 밝히고 나서 질문이 이어졌는데 지지하는 정당의 설문에 답변을 하자 곧바로 응답자는 설문조사대상이 아니라며 끊어버렸다는 전언이다. 참으로 황당한 여론조사를 접했다고 밝혔다. 한마디로 여론조작을 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었다.
여론조사를 입맛에 맞게 하는 것인지 무작위 추출을 잘못하는 것인지 모집단 선정을 주먹구구식으로 하여 전화를 하는 것인지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행위가 드러나고 있다. 여론조사기관에서 여론을 조작하여 발표한다고 한다면 이는 엄청난 범죄행위에 다름 아니다. 무시로 펼쳐지고 있는 여론조사가 조사기관 입맛대로 이뤄진다면 이는 여론조사가 아니다. 공정한 여론조사를 통하여 진실에 대한 접근이 이뤄져야 하는데도 조작을 통하여 여론이 공개되어서는 결코 안 된다. 이런 여론조사결과가 시중 여론인양 대변이 된다면 이는 사기극에 다름이 아니다. 설문조사 도중에 조사대상이 아니라는 황당한 말이 어떻게 나오는지 모를 일이다. 마치 무슨 음모가 숨어있는 듯한 이런 여론조사의 행태가 버젓이 성행하고 있다니 이 무슨 시대착오적인 작태인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이러다 보니까 국민들 사이에는 여론조사 자체를 불신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런 불신을 받는 여론조사를 언제까지 의존해야 하는지 국민들도 답답하다. 메뚜기도 한철이라고 선거철 여론조사로 한 몫 챙기는 곳도 있으리라 생각이 되지만 그래도 여론조사만큼은 불공정이 아니라 공정한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 이상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유권자들을 우롱하는 작태는 즉각 멈춰야 한다. 이제는 선거관리위원회도 여론조사를 불공정하게 실시하는 업체들이 난립하여 선거질서를 어지럽히는 행위를 가려내야 할 시점이다. 대한민국의 유명 여론조사 기관들도 예외가 아니다. 요즘 같은 시기에는 어느 여론조사 기관이 공정한 곳인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중의 이야기이다. 그것은 하도 황당한 설문조사가 유권자들을 우습게 알며 공공연히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여론조사는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진실을 호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도 바로서고 나라가 바로서기 위해서는 모든 것이 순리대로 이뤄져야 한다.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어리석은 짓은 하지 말아야 한다. 공적인 일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국민 불신을 자초하는 여론조사는 그 방법이나 절차, 조사기관들이 공신력을 갖출 수 있도록 장치를 강화해야 한다. 유도성 질문이나 황당한 문답으로 본질을 훼손하는 것은 여론조사가 아니라 여론조작에 다름이 아니다. 국민들의 의식수준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다가오는 4월 15일 21대 총선은 매우 중요한 선거이다. 개정된 선거법인 ‘준연동형비례대표제’가 시금석이 될 것이다. 그래서 지지하는 정당의 표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고 지지하는 정당에 대한 여론조사조차도 갈지자를 걷는다면 이 또한 국민 불신을 자초하는 것이다.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준연동형비례대표제를 놓고 정치적 잔머리와 셈법이 엄청나게 펼쳐지고 있구나 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는 것이 세간의 지적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선거는 공정하고 깨끗하게 치러져야 한다는 기본 원칙은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여론조사기관 가운데 참 이상한 여론조사로 엉뚱한 셈법을 하는 곳이 있다면 그 결과는 국민심판과 법적 조치뿐임을 명심해야 한다. 여론조사가 바로 서야 공정하고 깨끗한 선거가 치러지고 정치가 바로 설 수 있음을 자각해야 할 시점이다.
http://www.sejongtimes.kr/609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