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저는 Ach이 분비되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윗분이 말씀 주신 건 체성운동신경에서는 전부 아세틸콜린이 분비가 되어요. 그런데 체성 감각경로로 피부나, 근육 관절 같은 것이 있고.. 피부 감각 수용기 중에 통각 수용기는 글루탐산이나 SubstanceP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것도 있다고 알고 있어요. ebs 문제지가 전부 아세틸콜린을 분비한다고 하면 잘못된 내용인 것 같구요.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체성감각신경ㅇㅣ 있는지는 (제 지식 내에서는) 잘 모르겠어요!
총론을 참고하면 일단 모든 체성운동뉴런,모든 신경절전뉴런과 대부분의 신경절후 부교감신경은 아세틸콜린을 신경전달물질로 방출한다. 라고 되어있구요. D.M.쌤 말씀대로 말초신경계의 체성신경은 감각뉴런과 운동뉴런으로 구성돼요.(수정) 총론을 더 참고하면 어떤 신경절후 자율축삭은 NE나 아세틸콜린을 이용하지 않으며 이를 비아드레날린 작동성, 비콜린 작동성 섬유라 한다. 라고 적혀 있어요. 이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에는 ATP, NO, CO, Gly, GABA, Glu, HNO3, 신경펩티드 Y가 제시되어있구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혹시 근거가 되는 책을 알고계신지요??
저도 체성운동뉴런 말단을 아세틸콜린이라고 당연하게 생각했는데
제가 봤던 동물생리학이나 일반생물학에는 체성감각뉴런 말단에 대한 내용을 읽은 기억이 없어서요.
@드디어 제 기억엔 그랬는데 아랫분들 댓 보니 잘못 알고 있었나 봐요 ㅜㅜ 원댓은 삭제하겠습니다
음.. 저는 Ach이 분비되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단 윗분이 말씀 주신 건 체성운동신경에서는 전부 아세틸콜린이 분비가 되어요.
그런데 체성 감각경로로 피부나, 근육 관절 같은 것이 있고.. 피부 감각 수용기 중에 통각 수용기는 글루탐산이나 SubstanceP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것도 있다고 알고 있어요.
ebs 문제지가 전부 아세틸콜린을 분비한다고 하면 잘못된 내용인 것 같구요.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체성감각신경ㅇㅣ 있는지는 (제 지식 내에서는) 잘 모르겠어요!
총론을 참고하면 일단 모든 체성운동뉴런,모든 신경절전뉴런과 대부분의 신경절후 부교감신경은 아세틸콜린을 신경전달물질로 방출한다. 라고 되어있구요.
D.M.쌤 말씀대로 말초신경계의 체성신경은 감각뉴런과 운동뉴런으로 구성돼요.(수정)
총론을 더 참고하면 어떤 신경절후 자율축삭은 NE나 아세틸콜린을 이용하지 않으며 이를 비아드레날린 작동성, 비콜린 작동성 섬유라 한다. 라고 적혀 있어요. 이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에는 ATP, NO, CO, Gly, GABA, Glu, HNO3, 신경펩티드 Y가 제시되어있구요.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저는 체성신경계에 운동뉴런과 감각뉴런이 포함되긴하나, 그 신경물질까지 같은가가 궁금한점인데요. 이경우에 체성운동신경은 체성신경계에 포함된 운동신경을 지칭하는 개념이 아닌가요? 감각뉴런도 포함이 된다고 보는건 타당하지 않은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운동뉴런과 감각뉴런은 구별되니까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단 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어요 ㅎㅎ
그런데 뉴탐스런에 아주 당연하다는 듯이 운동뉴런과 감각뉴런의
말단에서는 아세틸콜린이 분비된다고 해설이...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