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증동국여지승람 제32권 경상도(慶尙道) 함안군(咸安郡)
樂民 장달수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2권 경상도(慶尙道) 함안군(咸安郡)
동쪽으로 창원부(昌原府) 경계까지 25리이고, 서쪽으로 진주(晉州) 경계까지 31리이며, 남쪽으로 진해현(鎭海縣) 경계까지 27리이고 북쪽으로 의령현(宜寧縣) 경계까지 38리이며, 서울과의 거리는 8백 64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아시량국(阿尸良國) 아나가야(阿那伽耶)라 하기도 한다. 인데, 신라 법흥왕(法興王)이 멸망시키고 그 지역을 군(郡)으로 만들었으며, 경덕왕(景德王)이 지금 명칭으로 고쳤다. 고려 성종(成宗) 때에는 함주 자사(咸州刺史)로 만들었고, 현종(顯宗)이 지금 명칭으로 복구하여서 금주(金州)에 예속시켰다. 명종은 감무(監務)를 설치하였고, 공민왕(恭愍王) 22년에는 고을 사람인 주영찬(周英贊)의 딸이 명(明) 나라 궁인(宮人)이 되어 총애를 받는다고 하여 군으로 승격하였으며, 본조에서도 그대로 하였다.
【관원】 군수(郡守)ㆍ훈도(訓導) 각 1인.
【군명】 아시량(阿尸良)ㆍ아나가야(阿那伽倻)ㆍ함주(咸州)ㆍ금라(金羅)ㆍ사라(沙羅).
【성씨】 본군 이(李)ㆍ조(趙)ㆍ채(蔡)ㆍ윤(尹)ㆍ유(劉)ㆍ정(鄭), 최(崔) 죽산(竹山). 김(金) 금주(金州). 강(姜) 속성(續姓)이다.
【풍속】 습속이 검소하고 솔직하다 관풍안(觀風案)에 있다.
【산천】 여항산(餘航山) 군 서남쪽 15리 지점에 있으며 진산(鎭山)이다. 파산(巴山) 군 동남쪽 15리 지점에 있으며, 서쪽으로 여항산과 이어졌다. 생동산(生童山) 군 동남쪽 23리 지점에 있다. 방어산(防禦山) 방아산[確山]이라 하기도 한다. 군 서쪽 30리 지점, 진주(晉州) 반성현(班城縣) 경계에 있다. 대현(大峴) 군 남쪽 25리 지점에 있다. 용화산(龍華山) 군 북쪽 40리 지점에 있다. 정암진(鼎巖津) 군 서쪽 44리 지점에 있다. 의령현(宜寧縣) 편에 보인다. 풍탄(楓灘) 군 북쪽에 있으니, 곧 정암진 하류이다. 또 동쪽으로 흘러서 영산현(靈山縣) 기음강(岐音江)에 들어간다. 대천(大川) 군 동쪽 1리 지점에 있으며 도장연(道場淵) 하류이다. 또 북쪽으로 흘러서 풍탄에 들어간다. 파수(巴水) 여항산 서쪽에서 나오며, 군 북쪽에 이르러 대천과 합류하고 풍탄에 들어간다. 도장연(道場淵) 물의 근원이 여항산 동쪽에서 나온다. 군 남쪽 10리 지점에 이르러 고여서 못이 되었는데, 깊이는 헤아릴 수 없다. 날씨가 가물 때마다 범의 머리를 담그면 영험이 있다. 또 파산 서쪽에서 나오는 작은 냇물과 합치고 군 동쪽을 지나서 대천이 된다.
【토산】 표고[香蕈]ㆍ대[竹]ㆍ은어[銀口魚]ㆍ옻[漆]ㆍ종이ㆍ꿀[蜂蜜]ㆍ붕어[鯽魚]ㆍ모시ㆍ감ㆍ석류. 『신증』 잉어[鯉魚]ㆍ대추[棗].
【성곽】 읍성 석축(石築)이다. 둘레는 5천 1백 60척이고 높이는 13척이다.
【봉수】 파산 봉수(巴山烽燧) 남쪽으로 진해현(鎭海縣) 가을포(加乙浦)에 응하고, 북쪽으로 의령현(宜寧縣) 가막산(可莫山)에 응한다.
【누정】 청범루(淸範樓) 객관(客館)의 동쪽에 있다. 영락(永樂) 을사년에 군수 우승범(禹承範)이 지었고, 관찰사 하연(河演)이 명명하였다. 홍여방(洪汝方)의 기(記)에, “누 이름에 군수의 이름을 이용한 것은 그 사람의 공을 잊지 않게 하려는 것이고, 청(淸) 자를 보탠 것은 그 사람의 덕을 사모한 것이다.” 하였다.
【학교】 향교(鄕校) 군(郡) 남쪽 2리 지점에 있다.
【역원】 춘곡역(春谷驛) 군 서쪽 11리 지점에 있다. 파수역(巴水驛) 군 서쪽 4리 지점, 파수 가에 있다. 이현원(伊峴院) 군 동쪽 31리 지점에 있다. 인비원(仁庇院) 군 동쪽 10리 지점에 있다. 이음원(梨陰院)ㆍ대평원(大平院) 모두 군 남쪽 7리 지점에 있다. 어속원(於束院) 군 서쪽 27리 지점에 있다. 월촌원(月村院) 군 서쪽 37리 지점에 있다.
【불우】 주리사(主吏寺)ㆍ미산사(眉山寺) 모두 여항산(餘航山)에 있다. 사자사(獅子寺) 용화산(龍華山)에 있다. 아견사(阿見寺) 풍탄(楓灘) 남쪽 언덕에 있다. 청송사(靑松寺) 용화산에 있다.
【사묘】 사직단(社稷壇) 군 서쪽에 있다. 문묘(文廟) 향교(鄕校)에 있다. 성황사(城隍祠) 군 북쪽 5리 지점에 있다. 여단(厲壇) 군 북쪽에 있다.
【고적】 현무현(玄武縣) 본래 신라의 소삼현(召彡縣)이다. 경덕왕(景德王)이 명칭을 고쳤고 뒤에는 소삼부곡(召彡部曲)으로 강등하였다. 본산부곡(本山部曲) 군 서쪽 20리 지점에 있다. 감물곡부곡(甘勿谷部曲) 군 북쪽 25리 지점에 있다. 간곡소(杆曲所) 군 남쪽 18리 지점에 있다. 지곡소(知谷所) 군 서쪽 37리 지점에 있다. 추자곡소(楸子谷所) 군 남쪽 20리 지점에 있다. 비사곡소(比史谷所) 군 남쪽 27리 지점에 있다. 손촌소(損村所) 군 서쪽 40리 지점에 있다. 방어산성(防禦山城) 석축(石築)이다. 둘레가 9백 23척이다. 성안에 우물 하나가 있었는데, 지금은 못쓰게 되었다.
【명환】 본조 우승범(禹承範)ㆍ정조(鄭慥)ㆍ권형(權衡) 모두 정적(政績)이 훌륭하다는 명성이 있었다.『신증』 이충걸(李忠傑).
【인물】 고려 이방신(李芳實) 충목왕(忠穆王)을 따라 원 나라에 들어갔는데, 시종한 공로가 있어, 충목왕이 즉위하자 중랑장(中郞將)에 보임되었고, 공민왕 때에는 대호군(大護軍)으로 전임되었다. 선성 달로화적(宣城達魯花赤) 노연상(魯連祥)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방실이 용주(龍州) 군사를 이끌고 가만히 강을 건너 바로 노연상의 집에 들어가서, 그 부자(父子)를 찔러 죽이고 그들의 머리를 서울에 보냈다. 7년 뒤에 홍건적(紅巾賊)인 위평장(僞平章)ㆍ모거경(毛居敬) 등이 의주(義州)를 함락시키고 부사와 주(州)의 백성 천여 명을 죽이자, 방실이 안우(安祐)ㆍ김득배(金得培) 등과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진격하여 아홉 차례 싸운 다음 개선(凱旋)하였으므로, 추성협보공신(推誠協輔功臣)의 호(號)를 받았다. 10년 만에 홍건적이 삭주(朔州)를 침입하자, 방실이 도지휘사(都指揮使)가 되어 군사를 거느리고 공격하였다. 적에게 서울이 함락되자, 방실은 급히 진격하여 적군 20여 만을 베어 죽이니 적이 드디어 평정되었다. 김용(金鏞)은 방실 등이 큰 공을 세워서 임금이 중하게 여길까 두려워하여서 가짜 조서(詔書)로 방실 등을 시켜 정세운(鄭世雲)을 죽이게 하고, 이로 인하여 죄를 얽어 죽였다.『신증』 본조 조순(趙舜) 과거에 올랐고 벼슬이 이조 참판(吏曹叅判)에 이르렀다.【우거】 본조 어변갑(魚變甲) 평안도(平安道) 함종현(咸從縣) 편에 보인다. 이호성(李好誠) 벼슬이 지중추(知中樞)에 이르렀다. 이맹현(李孟賢) 경진년 과거에 장원으로 뽑혔고 벼슬이 관찰사에 이르렀다.
『신증』 【효자】 본조 다물(多勿) 아버지가 악질에 걸렸을 때 손가락을 잘라 피를 약에 타 들게 하여 효과를 보았다. 금상(今上) 2년에 정려(旌閭)하였다. 이교(李郊) 성품이 효성스럽고 우애가 있었다. 아버지가 죽자 상례(喪禮)와 장례(葬禮)의 예를 다하였다. 그 뒤에 조모 상을 입자, 또 여묘(廬墓)하였다. 무덤에서 어머니 있는 집까지 15리쯤 되었는데, 아침저녁으로 전(奠)을 올리고, 거두면 곧 가서 어머니를 뵈었다. 금상(今上) 13년에, 벼슬에 서용(敍用)하도록 명하였다.
【제영】 고수창창압로방(古樹蒼蒼壓路傍) 한종유(韓宗愈)의 시에, “고목이 푸르디 푸르게 길가를 덮었는데, 지금까지 남은 풍속에는 오얏나무라 부르네. 길 가는 사람도 심상하게 보지 마소, 자라난 후손들이 서울에 가득하이.” 하였다.
《대동지지(大東地志)》
【연혁】 세조 12년 군(郡)으로 고쳤고, 선조 34년에 진해(鎭海)와 합쳤다가 광해주 9년에 나누었고, 인조 7년에 다시 진해와 합쳤다가 17년에 나누었다.
【방면】 상리(上里) 처음이 1리이고, 끝이 10리이다. 산내(山內) 처음이 1리이고, 끝이 5리이다. 산외(山外) 북쪽으로 처음이 5리이고, 끝이 20리이다. 산익(山翼) 동쪽으로 처음이 5리이고, 끝이 10리이다. 병곡(竝谷) 남쪽으로 처음이 10리이고, 끝이 25리이다. 안인(安仁) 동쪽으로 처음이 10리이고, 끝이 25리이다. 내대산(內代山) 북쪽으로 처음이 20리이고, 끝이 40리이다. 외대산(外代山) 북쪽으로 처음이 15리이고, 끝이 40리이다. 우곡(牛谷) 북쪽으로 처음이 10리이고, 끝이 20리이다. 백사(白沙) 서쪽으로 처음이 15리이고, 끝이 20리이다. 비사곡(比史谷) 남쪽으로 처음이 15리이고, 끝이 40리이다. 산니(山尼) 서쪽으로 처음이 25리이고, 끝이 30리이다. 안도(安道) 서쪽으로 처음이 20리이고, 끝이 30리이다.
○ 본산부곡(本山部曲)은 서쪽으로 20리, 감물각부곡(甘勿各部曲)은 서북쪽으로 25리, 간비사곡소(杆比史谷所)는 남쪽으로 27리, 손촌소(損村所)는 서쪽으로 40리이다.
【성지】 가야고성(伽倻古城) 북쪽으로 5리에 있으며, 옛터가 있다.
○ 군 북쪽 백사리(白沙里)에 옛날 국가[古國]의 유적이 있고, 또 우곡(牛谷) 동서쪽 경계에 높이 5장(丈)의 고묘(古墓) 40여 개가 있는데, 가야(伽倻) 때 임금을 장사지냈다고들 한다. 방어산고성(防禦山古城) 현무현(玄武縣) 때의 성인데, 둘레는 9백 23척이며, 우물이 있다. 서쪽에 있는 장군대(將軍臺) 아래에는 마제현이 있으며, 북쪽에는 장군 철상(鐵像)이 있다. 고성(古城) 동으로 5리에 있는데, 성재[城岾]라 부르며, 둘레는 3천 6백 척이다.
【창고】 읍창(邑倉)ㆍ서창(西倉) 서쪽으로 25리에 있다.
【진도】 도흥진(道興津) 북쪽으로 40리이며 영산과의 경계이다. 정암진(鼎巖津) 서북쪽으로 38리이며, 의령(宜寧)과의 경계이다.
【토산】 밤ㆍ대추.
【누정】 이사정(二謝亭).
【사원】 서산서원(西山書院) 현종 병술년에 세우고 계묘년에 사액하였다. 조려(趙旅) 자는 주옹(主翁)이며 호는 어계(漁溪)이고, 본관은 함안이다. 이조 판서를 추증하였고 시호는 정절(靖節)이다. 원호(元昊) 호는 관란(觀瀾)이며, 본관은 원주(原州)이다. 벼슬은 직제학(直提學)이었는데, 이조 판서를 추증하였고, 시호는 정절(貞節)이다. 김시습(金時習) 양주(楊州)편에 있다. 이맹전(李孟專) 선산(善山) 편에 있다. 성담수(成聃壽) 호는 문두(文斗)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성희(成熺)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를 추증하였고, 시호는 정숙(靖肅)이다. 남효온(南孝溫) 고양(高陽) 조에 있다. 이상의 육현(六賢)은 단종(端宗)에게 절의(節義)를 다하였으므로 세칭 생육신(生六臣)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