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워홀이 직접 말을 걸고, 고흐의 작품들이 아름다운 물결을 그리며 움직이고, 꽃잎들이 바람을 따라 하늘위로 휘날리고…
미디어 아트(media art)란, IT 신기술들을 활용하여 예술작품을 제작하는 융합예술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개념이자,
수동적이었던 예술작품과 작품을 바라보는 관객의 특성을 능동적으로 전환한 새로운 예술의 흐름이다.
국내에서는 강릉시의 ‘아르떼 뮤지엄’, 부산광역시의 ‘뮤지엄 원’, 담양군의 ‘딜라이트 담빛관’ 등 미디어아트 작품 상설전시관들이 있다.
<한림랩뉴스팀> 기자는 지난해 12월 강릉 경포호 인근에 개관한 몰입형 미디어아트 상설전시관 ‘아르떼뮤지엄 강릉’을 방문하여, 미디어아트의 세계에 빠져봤다.
(박물관 및 미디어 아트 개괄적 소개)
강릉시 난설언로 131번길에 위치한 ‘아르떼뮤지엄 강릉’은 강릉시와 디지털 디자인 전문기업 디스트릭트홀딩스와의 업무협약(MOU)하에, 지난해 12월23일에 개관했고, 제주·여수에 이어 국내 세 번째로 선보인 몰입형 미디어아트 상설 전시관이다.
‘아르떼뮤지엄 강릉’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Forest" , "Cave", "Beach" 등 자연을 테마로 한 12개의 다채로운 미디어아트 전시가 1,500평(연면적4,975㎡)의 공간에서 펼쳐진다. ‘시공(時空)을 초월한 자연(ETERNAL NATURE)’을 콘셉트로 준비된 총 12개의 전시 공간은 시각적 강렬함과 감각적인 사운드, 품격있는 향기와 함께 완벽한 몰입 경험을 제공한다. 작품들은 관객의 몰입경험을 위해 작품 공간에 어울리는 사운드 연출과 프랑스 조향스쿨 GIP의 아시아대표부인 ‘센트바이’와 협력해 각 테마에 맞는 감성적인 향기를 각각의 개성을 지닌 전시관 테마에 어울리게 배치했다. 그리고 작품에 프로젝션 맵핑, 모션 트래킹 기술 알고리즘을 작품에 적용하여, 관람객들에게 보다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고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관인만큼, 모든 작품을 다 감상하려면 최소 1시간 반은 소요되며, 자유 관람 방식으로 마음에 드는 작품을 원하는 만큼 감상할 수 있다. 특히, ‘ARTE TEA BAR, ‘Garden’, ‘COSMOS’ 등 강원도의 모습을 직관적으로 담은 ‘아르떼뮤지엄 강릉’만의 지역적 특색을 담은 미디어아트 작품들이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있다. 그렇다면 어떠한 미디어아트 작품들이 지역적 특색을 담고 있는지 함께 살펴보자
(작품 제작에 대한 설명) 아르떼뮤지엄 강릉의
1.COSMOS
전시관에 첫 발은 디딘 순간, 봄바람에 흩날리고 있는 형형색색의 꽃잎이 반겨준다. 바닥과 벽면을 포함해, 눈에 보이는 모든 공간에서 강원도를 상징하는 꽃 코스모스가 실시간으로 피어나고 바람에 부드럽게 날리는 환상적인 공간이었다. 피어있는 코스모스 사이를 지나다 보면 아름다운 꽃 향기를 직접 맡을 수 있었고, 손이 직접적으로 닿은 꽃잎은 다채로운 컬러로 변하며 힘차게 자라나고, 코스모스와 바람이 만들어내는 끊임없는 순환은 새롭지만 질서 있는 하나의 우주를 만들어내는 신비한 광경을 볼 수 있었다. 플라워 전시공간 내에서 강원도의 코스모스를 주제로 하여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었다. 플라워 전시공간은 바람·풍경·소리의 다양한 조합을 경험할 수 있도록 연출된 테마룸, 만개한 코스모스 가운데서 아날로그 피아노를 연주할수 있는 피아노룸, 투명한 3면 유리공간에 크리쳐가 날아다니는 유리월, 신비로운 달을 마주하는 타임랩스, 삼각형의 거울방에서 대형 코스모스가 무한 반사되는 미러룸으로 구성되어 있다.
2. GARDEN
기획 전시 공간인 “GARDEN”에서는 “강원, 자연의 시간이 빚은 아름다움” 이라는 주제에 맞춰 프로젝션 맵핑기술을 사용한 15분 가량의 몰입형 미디어아트 쇼가 진행되었다. 프로젝션 맵핑기술은 특정한 물건이나 공간, 건물 등을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빛으로 새롭게 꾸며냄으로써, 대상에 새로운 느낌(생동감,역동성)을 부여하는 미디어 작업의 일종이다. 프로젝션 맵핑기술을 통해 아르떼뮤지엄 강릉에서는 영월 섶다리, 인제 자작나무 숲, 철원 고석정, 설악산 백담사와 토왕성폭포, 함백산 만항재, 정동진 등 강원도를 상징하는 30여 가지가 넘는 명소와 야생식물들이 마치 실제 그 장소에 온 듯, 실시간으로 바람에 흩날리고, 단오제의 등불이 연기처럼 피어올랐고, 이를 통해 강원도의 아름다움과 고결한 가치를 느낄 수 있었다.
3. ARTE TEA BAR
아르떼뮤지엄 강릉의 TEA BAR는 관람이 끝나는 지점에 위치해있다. TEABAR에서는 강릉의 숨결을 담은 다양한 종류의 차(TEA)를 즐길 수 있고, 아름다운 선율과 미디어아트로 표현되는 라이브 가니쉬를 감상하며 넓은 공간을 이동하며 생긴 피로를 풀 수 있는 공간이었다. 특히, 아르떼뮤지엄 강릉 “Tea Bar”에서는 경포대의 서정성을 담은 '달'을 상징화하여, 찻잔을 테이블에 올리게되면, 잔 안에 달이 서서히 떠오르는 색다른 미디어아트를 즐길 수 있었다. 이는 테이블 전체를 찻잔에만 반응하도록 알고리즘기술을 구현하여, 찻잔의 위치에 따라 초승달이 찻잔위에 피어오르게 되고, 꽃들이 찻잔의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으로 피어 오르게 되는 것 이다. TEA BAR에서 사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아르떼뮤지엄 강릉의 관계자에 따르면, 강원도의 자연을 소재로 만든 작품들을 미디어아트로 재해석된 초현실적이고 몰입감 있는 작품을 통해 새로운 감동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고 있고, 실제로 ‘자연’이라는 대중적이고 직관적인 소재를 다룬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젊은 세대 뿐 아니라 중년층 이상의 관람객에게 역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오늘 방문한 아르떼 뮤지엄 강릉에서 자연을 주제로 미디어아트를 관람하며,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흐름의 예술을 경험을 할 수 있었고, 강원도의 특색이 담긴 여러 작품을 관람하며 강원도를 더 아름답게 바라볼 수 있는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첫댓글 코스모스 가든 tea bar 사진 한장씩 설명과 함께 올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