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수거 대란’ 대학가 쓰레기 불법 투기 단속
이달 말까지 강원대·한림대 주변 집중 점검
지난 단속 때 적발된 ‘45명 중 40명이 대학생’
춘천시가 이달 말까지 매일 강원대와 한림대 주변 원룸 밀집지역의 쓰레기 불법 투기 행위를 집중 단속한다.
이는 최근 중국의 폐자원 수입 금지 조치 등으로 인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대란과 함께 대학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늘었기 때문이다.
시는 청소행정과 직원들과 두 대학 학생회 임원들을 단속 현장에 투입한다. 불법으로 버리거나 배출 방법을 어긴 쓰레기는 수거하지 않고, 경고 스티커를 붙여 정상 배출을 유도하기로 했다. 경고 스티커 부착 대상은 ▲종량제봉투 미사용 ▲대형폐기물 무단 투기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 혼합 배출 ▲재활용품과 일반쓰레기를 혼합 배출했을 경우다. 경고 스티커를 부착했는데도 수거하지 않은 쓰레기 배출자를 색출해 과태료 10만원을 부과한다.
시는 2015년부터 쓰레기 불법 투기가 심한 두 대학 원룸 밀집지역에 단속반 100여명을 투입해 단속활동을 벌이고 있다. ‘쓰레기 미수거’라는 강경 대응과 함께 불법 투기된 쓰레기를 뒤져 인적사항을 찾아내 과태료 부과 등 행정처분을 내렸는데, 적발된 45명 중 무려 40명이 대학생이었다.
6일 한림대 후문 주변 원룸 앞에 불법 투기된 쓰레기들이 널려 있다.
시의 강력한 대응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은 “단속할 때만 줄어들 뿐, 끝나면 속수무책”이라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시 청소행정과의 한 담당자는 “단속을 매일 실시해 쓰레기 불법 투기가 근절될 수 있도록 하고, 분리배출 방식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환경부가 발표한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방식에 따르면 ▲깨끗한 비닐류는 모아서 분리배출 ▲음식물 등 이물질로 오염된 비닐류는 종량제봉투에 담아 배출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은 테이프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분리배출해야 한다.
글·사진=박민우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