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진통제.. 과사용은 금물
부제: 진통제 걱정... 내성보단 과사용을 걱정해야 해
통증은 현대인들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다.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통증을 느끼며 이를 대비해 근처 편의점에서 진통제, 해열제 등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케어인사이트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8월 한 달간 일반의약품 매출이 가장 높은 10개의 제품 중 3개(1, 6, 9위)가 진통제였으며 다른 2개(3, 5위)의 제품은 진통제 성분이 들어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진통제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마약성 진통제와 비마약성 진통제다. 그리고 비마약성 진통제는 소염진통제와 해열진통제로 나뉜다. 마약성 진통제는 모르핀, 코데인 등이 있으며 주로 암 환자들에게 마약 성분의 진통 효과를 기대하며 사용한다. 우리가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진통제들은 비마약성 진통제들이며 염증을 완화하는 소염 효과의 유무로 구별한다. 소염진통제는 이부프로펜 같은 성분이 있는 약으로 소염, 진통, 해열의 기능이 있고 해열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이 대표적인 성분이며 소염 기능을 제외한 진통, 해열의 기능을 갖고 있다. 위 자료에서 1위에 있는 타이레놀이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해열진통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진통제를 자주 복용하면 내성이 생기는가?’에 대한 질문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델타 변이가 한국에서 유행했던 2021년 7월의 경우 ‘진통제 내성’이라는 키워드의 검색 빈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도 했다.
서준완(22)씨는 ‘어렸을 때는 진통제를 1정만 먹어도 효과가 들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며 2정을 복용해야 효과가 있거나 아예 효과가 없을 때도 있다.’라고 답을 하며 내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박용순(48)씨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질병의 변화로 통증의 강도가 증가하거나 복합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약물 사용에 대한 기대감과 심리적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다. 어릴 때는 강한 믿음의 효과가 약물 효과를 강화했을 수 있고, 반대로 성인이 되면서 의심 혹은 반복 사용으로 약효에 대한 기대감이 줄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간이나 신장의 약물 대사 능력에 변화도 의심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서 박씨는 내성에 대해 약물 과사용 두통을 설명했다. ‘약물 과사용 두통이란 무분별한 약물 사용에 의해 약효가 떨어지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일차성 두통 질환에서 두통 발작 치료를 위한 약제를 자주 사용해 두통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는 이차성 두통이 있다. 이는 내성이라기보다 약물 과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라고 보는 것이 더 맞는 표현이다.’고 했다.
추가로 박씨는 ‘진통제는 저마다 고유의 특성과 부작용, 주의 사항을 갖고 있다. 해열진통제의 경우 간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고 간 질환이 심각하면 약 처방을 제한하게 된다. 이부프로펜 같은 소염진통제의 경우 위장 기능을 떨어뜨려 속쓰림을 느끼기도 한다. 신장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는 소염진통제가 신장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어 다른 계통의 약물로 처방을 대체한다. 불필요한 약물 사용을 줄이고 꼭 필요한 치료를 제때 받을 수 있도록 평생주치의를 정해놓고 건강관리를 꾸준하게 받는 것을 추천한다.’고 전했다.